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109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유럽연합(EU) 의회는 지난 21일 EU 역외(EU이외지역) 수입제품에 대해 원산지 표기를 의무화하는 법안을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 통과시켰다. 이는 이탈리아가 2003년 EU 역외국 수입제품에 대한 원산지 표기 의무화 도입을 처음으로 제안한 이후 지난 7년간 줄기차게 노력해온 법제화 시도의 결과로 평가된다. 이 법안이 정식으로 채택되려면 그동안 이 법안의 도입을 거부해온 EU 각료회의의 심사를 한 번 더 거쳐야 하나, 리스본 조약 이후 권한이 막강해진 유럽의회에서 통과됐다는 사실로 미루어볼 때 각료회의에서도 통과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법안이 통과될 경우 역외국과의 무역수지 불균형 문제로 골머리를 앓는 EU 회원국들은 자국의 이익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립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경쟁에서 경쟁력을 상실하는 자국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이탈리아 EU 의원들은 이 법안 통과에 여야(輿野) 할 것 없는 초당적 협력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는 이번 법안이 통과될 경우 앞으로 EU에 수출되는 특정 품목  제품들은 원산지 표기가 의무화되어 유럽 소비자들은 제품 소비 시 제품의 원산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지난 7년간 원산지 표기를 지속적으로 주장해온 이탈리아는 제조업과 수출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편으로, 기업들이 원가절감을 위해 해외 아웃소싱에 나서기 시작하면서 자국산업 공동화 현상을 겪고 있다. 또한 2008년 이후 세계 금융위기와 남유럽 재정위기로 경제불황에다 내년 7월 발효 예정인 한-EU FTA까지 겹치면서 이탈리아산 제품 수출에 빨간불이 켜진 상황이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이탈리아 정부는 이미 강력한 원산지 표기 법안을 채택해 자국산 제품의 브랜드 가치를 보호하는 한편, 신흥국으로 이전하려는 산업을 자국 내에 묶어두는 정책 시행 중이다.

섬유, 패션, 가구, 공구 등 이탈리아의 전통적인 주력산업 가운데 최근 중국 등 신흥국과의 경쟁으로 활력을 상실하는 산업들이 원산지 표기 강화 정책의 대표적인 수혜 산업이다. 과거 공정 대부분을 중국, 인도 등 저임금 신흥국에서 마친 뒤 극히 미미한 부분만을 이탈리아 내에서 제조한 제품도 "Made in Italy“ 레이블을 부착할 수 있었던 제도적 허점을 보완해 지난 2월 생산공정 중 최소 2단계 이상을 이탈리아 내에서 완성한 제품만이 ”Made in Italy"로 인정될 수 있도록 개정한 바 있다. Made in Italy를 브랜드 마케팅에 활용하는 이탈리아로서는 범EU 차원의 원산지 표기 의무화 제도가 채택될 경우 상당한 수혜를 입을 전망이다.

이번에 채택 예정인 원산지 표기 법안은 발효시점으로부터 5년간 유효할 예정이며, EU 역외국으로부터 수입하는 다양한 품목을 망라한다. 원산지 표기 법안의 규제대상이 최종 소비재로 국한되는 대신 섬유부터 타이어, 공구류에 이르기까지 규제품목은 당초 예상보다 더욱 확대된 것으로 알려졌다.  EU의 움직임과 함께 미국, 캐나다, 멕시코 등도 원산지 표기법 강화에 나서는 등 원산지 표기를 둘러싼 전 세계적인 힘겨루기가 진행됨에 따라 글로벌 시장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이탈리아 유로저널 김대식 통신원
eurojournal@eknews.net




자료원 : 이탈리아 경제개발부, Il Sole 24 Ore, Il Tempo, 코트라 밀라노KBC 자체 분석

< 저작권자 ⓒ KOTRA & globalwindow.org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 >



@유로저널 ONLY 뉴스 에 게재된 각국 기사 내용은 한국 언론들이나 포탈싸이트에 보도되지 않았거나, 본지가 직접 취재한 기사들만을 보도합니다.

www.eknews.net는 최대발행부수와 최대발행면을 통해
전유럽 16 개국 한인사회로 유일하게 배포되고 있는 주간신문 유로저널의 홈페이지입니다.
기사 제보를 비롯한 광고 문의 등은 아래 연락처를 이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44 (0)208 949 1100, +44 (0)786 8755 848
eurojournal@eknews.net 혹은 eurojournals@hotmail.com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85 EU-메르코수르 FTA 타결, 20여년 협상만에 결실 file 편집부 2019.07.03 1618
684 EU-베트남, FTA 및 투자보호협정 최종 서명 편집부 2019.07.03 1984
683 유로존 경기 둔화 지속에 경기 침체 우려 점증 file 편집부 2019.07.03 4085
682 EU, 한국의 노동규약 비준 의무 미이행에 분쟁해결 요구 (1면) file 편집부 2019.07.09 2010
681 EU 회원국과 환경단체, EU-메르코수르 FTA 반대 확산 file 편집부 2019.07.17 2091
680 유럽의 경기 침체 속에 유로존 위기 6 개월간 지속 (1면) file 편집부 2019.07.17 1801
679 EU, 美와 무역분쟁 해결책없어 '전전긍긍' file 편집부 2019.07.24 2660
678 EU, 이란 핵문제 둘러싼 미국-이란 대립 중심에 휘말려 file 편집부 2019.07.24 2225
677 아일랜드, 노딜 브렉시트시 영국 육류 등에 통관검사 불가피 file 편집부 2019.07.24 5114
676 유럽, 두 번째 사하라 플룸 몰아쳐 여름 열파 겪어 (1면) file 편집부 2019.07.24 1958
675 스위스-EU, 기본협정 통합 실천 지연에 주식시장 혼란 장기화 file 편집부 2019.08.07 2532
674 영국, 노딜 브렉시트 준비 안되어 혼란 불가피 file 편집부 2019.08.07 2792
673 유럽 3대 경제 대국, 경기 침체 벼랑에 몰려 file 편집부 2019.08.21 2857
672 브렉시트 후 EU 회원국민, 영국 '이동의 자유' 'STOP' 공식화 (1면) file 편집부 2019.08.21 2187
671 미국·프랑스, 프랑스 디지털세 도입에 조건부 합의 편집부 2019.08.28 1596
670 독일과 프랑스, 영국-EU 딜 체결 가능성 시사로 긍정적 분위기 file 편집부 2019.08.28 3053
669 프랑스·아일랜드, EU-메르코수르 FTA협정 비준 반대 (1면) file 편집부 2019.08.28 2445
668 유럽내 한인 대상 각종 범죄 급증해 주의 요망 (1면) file 편집부 2019.09.04 2997
667 EU-英, 'backstop' 대안 마련 실무협상 개시 편집부 2019.09.04 2256
666 유럽 재활용업계, 중국 폐지 수입금지로 위기상황 편집부 2019.09.04 3320
Board Pagination ‹ Prev 1 ...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 303 Next ›
/ 303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