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박심원의 사회칼럼
2017.10.16 22:55

반복되는 일탈에서 행복을 찾아야 한다

조회 수 139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Extra Form

반복되는 일탈에서 행복을 찾아야 한다


산다는 것은 신비 그 자체이다. 아침에 눈을 떴을 때 들려오는 모든 소리들은 지상에 존재하는 최고의 오케스트라가 흉내 낼 수 없는 아름다움을 선물해 준다. 저녁이 되면 눈이 감겨지고 해가 돋으면 눈이 떠져서 새 아침을 맞는 것은 살아 있음의 기본행위가 된다. 산다는 것은 화려한 것을 떠나 지극히 평범한 사건들이 멈추지 않고 지속되는 것을 느끼는 것이다. 지극히 작은 것을 할 수 없다는 것은 자기 의지대로 움직일 수 있는 고통 중에 있다는 증거일 것이다. 건강할 때는 작은 일에 대한 감격과 감사를 느낄 수 없다. 

한 젊은이가 민주화와 관련하여 몇 해 동안 영어의 몸이 되었다. 그의 희망은 하늘을 마음껏 보는 것이었다. 손바닥으로 가릴 수 있는 작은 창살 사이로 보이는 하늘을 보면서 미래에 대한 희망의 끈을 놓지 않았다. 그렇게 희망하던 하늘을 마음껏 볼 수 있는 자유가 주어졌을 때 정작 그는 하늘에 대한 특별한 은총을 망각하게 된다. 이는 젊은이가 경험한 것만이 아닐 것이다. 최악의 상황에서는 작은 것 하나에 감사를 느낄 수 있다. 영어의 몸이 되었을 때 젊은이가 느꼈던 손바닥 보다 작은 하늘은 세상 그 어느 하늘보다 아름다움을 초월한 감동의 하늘이었다. 그러나 현실의 삶에선 그저 평범하게 존재하는 하늘일 뿐이다. 누릴 수 있을 때 느끼는 것은 오히려 제한적일 수 있다. 물 한 모금 삼킬 수 있는 것에 대한 감사를 느낄 수 없다. 하늘을 마음껏 볼 수 있는 자유에 대한 감격은 없다.


2008년 6월 27일 런던에서 4만5천명이 참석하는 특별한 콘서트가 열렸다. 이름 하여 46664 콘서트다. 남아공의 전 대통령 넬슨 만델라의 90회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런던 하이드파크에서 열린 대규모 콘서트는 인권을 위해 싸우다 27년간 옥살이를 했던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최초의 흑인 대통령인 넬슨 만델라의 수인번호를 따서 만든 콘서트다. 46664의 의미는 그의 수인번호 466번과 1964년에 수감된 년도를 합친 것이다. 민주주의를 위해 무저항운동으로 젊음을 바쳐 온 몸으로 버티다 종신형으로 영어의 몸이 된다. 하늘을 볼 수 없고, 땅을 딛을 수 없으며 바람을 느낄 수 없었을 것이다. 지극히 평범한 일상을 경험하는 것 자체가 기적이 된다. 

자유가 주어졌기에 자유를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은 지극히 평범한 일상의 소중함을 느낄 수 없게 된다. 자유를 열망하는 것은 자유를 잃었을 때 느끼는 것이다. 건강할 때는 건강의 중요함을 느낄 수 없다. 건강의 중요함을 느낀다는 것은 건강을 잃었다는 증거일 것이다. 사랑을 할 때는 사랑의 소중함을 느낄 수 없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을 때 그 사랑의 힘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만델라를 기억하여 아름다운 음악을 하며 소외된 자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콘서트는 어떻게 보면 아픔을 경험하지 못한 사람에게는 그저 격조 있는 음악회 정도로 생각할 수 있게 된다.


만델라는 영어의 몸이 되어서도 작은 땅에 생명을 가꾸는 일을 멈추지 않았다고 한다. 그 땅은 무한대의 땅이 아닐 것이다. 지극히 작은 땅이다. 영어의 몸이 된 젊은이 역시 생명을 가꾸는 일을 했다. 그곳은 다름 아닌 우유를 먹고 남은 곽에 들풀을 키우는 일이었다. 손바닥 보다 작은 공간이다. 그곳에서 생명을 키워 내는 것은 생각보다 쉬운 일은 아니었다. 파릇파릇 새싹이 돋는 것을 보며 희망을 잃지 않았다. 영국에는 잡초만 자라게 하는 공원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그 넓은 땅에 곡식을 심지 않고 들들이 스스로 자라게 한다. 영국을 방문하신 분들에게서 여러 차례 이야기를 들었다. 이 넓은 땅을 놀게 놔두는 것이 안타깝다는 것이다. 그분들의 이야기는 두 부류로 나눠진다. 한 부류는 농사를 지었으면 하는 이야기이며, 한 부류는 아파트나 건물을 지었으면 하는 이야기다. 이렇게 말할 수 있다는 것은 자유가 있다는 의미일 것이다. 자유가 제한되었을 때는 손바닥만 한 우유 곽의 땅도 세상에서 가장 넓은 옥토가 된다.


산다는 것은 신비로운 일이지만 지극히 제한적인 한계를 벗어 날 수 없게 된다. 자신에게 주어진 환경에서 세상을 판단하고 해석하기 때문이다. 농사를 짓는 사람에게는 세상의 모든 땅이 농토로만 보일 것이다. 비좁은 땅에서 빈 공터 없이 건물을 지어야 하는 우리 민족에게 영국의 많은 땅을 보면 건물을 짓지 않는 것을 이해할 수 없게 된다. 내가 처한 환경을 초월하여 다른 환경을 이해할 수는 없을까? 쇼핑할 때 과소비를 막기 위해서는 든든하게 식사를 한 후에 쇼핑을 하라는 이야기를 듣고는 무릎을 치지 않을 수 없었다. 배가 고픈 상태에 쇼핑을 하게 되면 이것저것을 많이 사게 된다는 것이다. 내 배가 부르면 다른 사람의 배도 부를 것으로 착각하게 된다. 반대로 내 배가 고프면 다른 사람의 배도 고프다는 생각에 먹을 것을 함께 나누게 된다. 내가 처한 환경이 생각이 되고 사상과 철학이 된다.


템즈강변을 산책하면서 할머니께서 의자에 앉아 계시는 것을 한참이나 바라봤다. 할머니의 뒷모습을 보면서 산다는 것이 무엇일까 깊이 묵상하게 된다. 흐르는 강물을 보며 할머니는 무슨 생각을 하고 계실까? 어느 작가의 글에서 여자가 시집와서 김장 서른 번 담그면 할머니가 된다는 표현이 있었다. 지금이야 김장의 개념이 없지만 과거에는 일 년에 한 번 담그는 김장은 가족행사로 큰 행사가 아닐 수 없었다. 서른 번 담근다는 것은 30년의 세월이 지났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곱디고왔던 새색시에서 머리가 허옇게 새어가는 할머니가 된다는 것이다. 의자에 앉아 사색을 하는 영국 할머니에게도 새색시 시절이 있었을 것이다. 꿈이 많고 생기가 넘치는 그 시절에 생각했던 노년의 모습과 지금의 모습이 다른 것일까 의문이 생긴다. 떨어지는 낙엽을 주워 깨알 같은 글을 써서 책갈피로 사용했던 그 소녀의 감성이 지금도 남아 있을까? 드물지만 카브츠(Car Boot)에서 오래된 책을 사곤 한다. 그 책속에 누군가가 넣어둔 책갈피가 끼워져 있다. 낙엽을 말려서 그곳에 시를 적거나 글을 적어놓았다. 꿈을 꿀 수 있는 나이에 적어둔 책갈피는 이제 누군가의 손에 넘겨져 추억을 남겨준다.


산다는 것은 누군가의 추억의 길을 걷는다는 생각이 든다. 그 추억이 힘이 되고 격려가 되고 위로가 된다. 물론 모든 것이 위로가 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누군가의 추억이 아픔이 되기도 한다. 선택은 개인의 몫이다. 길에 걸려 넘어지는 사람은 세상에 무수히 많다. 그러나 그 길이 있기 때문에 인생의 꿈을 펼칠 수 있는 사람이 더 많다는 사실이다. 일상에서 발생하는 작고 사소한 일일지라도 그것을 누릴 수 있고 느낄 수 있다는 것은 누군가의 땀 흘림의 헌신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눈물로 그 삶을 살았기 때문에 그 눈물의 길이 다른 이에게는 아름다운 추억이 되고 희망이 된다. 세상사 모든 일은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말하며 노래하고 있다.


감사할 수 있는 것은 살아 있어서 모든 것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심지어는 불평할 수 있다는 것 역시 살아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산다는 것은 이 땅에 무한대로 주어지지 않는다. 산다는 것은 목숨이 활동한다는 의미이다. 목숨은 시간에 제한을 받는다. 무한대의 시간이라 할지라도 내가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은 제한적인 것이다. 인생은 그 제한적 시간 안에서 느끼며 사랑하며 살아야 하는 것이다. 해아래 새것은 없다. 현재 것은 과거에 이미 증명되어진 것이고 고민했던 결과물이다. 산다는 것은 어쩌면 같은 것의 반복이다. 수없이 반복됨 속에서 삶의 의미를 느낄 수 없다면 새로운 그 무엇이 온다 할지라도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없게 된다. 산다는 것은 지극히 단순한 것들의 반복이며 연속적인 것이다. 같은 것을 먹어야 하고, 같은 사람을 만나야 하고, 같은 공간에서 꿈을 꿔야 하고, 같은 옷을 입고 같은 환경에서 사는 것이다.


그래서 때로는 삶의 일탈을 벗어나고 싶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분명한 사실은 그 벗어난 일탈에도 수 없이 많은 사람들이 반복적으로 질주하는 삶의 공간이다. 어렸을 때 설악산 자락에서 자랐다. 그곳 사람들은 설악산을 원망했다. 산자락을 무서워했다. 봄, 가을이면 수많은 인파들이 관광을 왔다. 이 산골짜기에 뭐 볼 것이 있다고 돈을 써가며 오냐며 어른들은 욕을 하곤 했다. 산을 찾은 관광객이 자신들의 환경의 일탈을 벗어나서 찾은 절경의 산자락, 그곳에 사는 사람들은 오히려 그들의 일탈을 벗어나고 싶어 했다. 지구촌이 다그러할 것이다. 내가 사는 곳은 누군가의 일탈에서 벗어나 새 힘을 얻을 수 있는 곳이다. 그래서 내가 발 딛고 숨을 쉬고 사는 환경이 중요한 것이다. 산다는 것은 전혀 새로운 것을 경험하는 것이 아니라 반복되는 일탈에서 행복과 의미, 자유를 찾아 누리는 것이다.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798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34
716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지중해 문명지역 문화 예술 산책 ( 5 ) - 지중해 문명권에서 발생하여 세계로 전파된 종교 3 file eknews 2017.01.09 1406
715 영국 이민과 생활 취업비자 연장거절과 대책 및 연봉 file 편집부 2018.02.28 1405
714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유럽의 예술과 문화가 꽃피운 땅을 찾아가는 여정 - 지중해 문명 지역 문화 예술 산책 (4) file 편집부 2017.10.23 1405
713 아멘선교교회 칼럼 길 가실 때에 혹이 여짜오되 편집부 2019.09.09 1403
712 최지혜 예술칼럼 이 시대 우리 심층의 갈망을 일깨워 줄 영웅은?(2) file 편집부 2018.12.02 1403
711 영국 이민과 생활 EEA 패밀리 거주카드 소득 체류 증명 eknews 2017.01.17 1403
710 그리니의 명상이야기 먼저 손을 내밀어야 eknews 2015.11.24 1403
709 최지혜 예술칼럼 모더니즘의 기본 개념 file 편집부 2019.11.18 1402
708 박심원의 사회칼럼 영화로 세상 읽기 (6) : 침묵 file 편집부 2018.04.16 1402
707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테오가 걸으며 이야기 하는 서사시와 같은 프랑스 -프로방스 깊숙히 시간이 정지된 아름다운 흔적들 file eknews02 2018.09.17 1399
706 박심원의 사회칼럼 박심원의 영화로 세상 읽기 (26): 협상 file eknews02 2018.10.07 1396
705 아멘선교교회 칼럼 너희 중에 병든 자가 있느냐, 믿는 자들로... 편집부 2019.06.11 1395
704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먹고 마시면서 발전하는 문화-아메리카 식민지로부터 온 음식의 혁명 file 편집부 2019.06.24 1393
» 박심원의 사회칼럼 반복되는 일탈에서 행복을 찾아야 한다 편집부 2017.10.16 1392
702 최무룡의 영국 회계 칼럼 전자계좌시스템 도입과 전자정부 eknews 2015.04.07 1391
701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21)-G7 정상 회담과 바스크(Basque) 와인의 추억 (1) file 편집부 2019.08.27 1390
700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유럽 문화 예술 산책 예수 이야기 file 편집부 2018.04.10 1388
699 영국 이민과 생활 해외서 1-2년후 배우자비자 신청시 미리 준비 할 사항 eknews 2016.02.16 1386
698 오지혜의 ARTNOW UK’s FREE Museums file eknews 2016.02.07 1386
697 프랑스 정종엽의 미디어 칼럼 정종엽 기자와 함께하는 미디어칼럼 - 구역질 나는 국정원 댓글 조작과 언론 file eknews03 2017.08.08 1385
Board Pagination ‹ Prev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