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15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트랜스아방가르드의 선구자, 옥토버 갤러리(October Gallery) (2)
 Elisabeth Lalouschek Artistic Director (left) & Chili Hawes, (right) Director, October Gallery, London. Photo Jonathan Greet.jpg
[Elisabeth Lalouschek Artistic Director (left) & Chili Hawes, (right) Director, Courtesy of October Gallery]

: 옥토버 갤러리가 상업적으로 지금처럼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이유를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호스 : 2019년이면 옥토버 갤러리가 오픈한지 4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컨템포러리 아트를 다루는 갤러리로 40년을 이어온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며 그런 갤러리는 전세계적으로 손에 꼽힐 정도입니다. 저는 옥토버 갤러리가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요인 중 하나로 특정한 장르-트랜스아방가르-에 집중하는 상업갤러리로서의 새롭고 창의적인 전략을 고수해왔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주력하는 트랜스아방가르드의 장르는 파푸아 뉴기니에서 아마존까지, 런던에서 사우스 아프리카까지 다양한 형태의 문화와 커뮤니티와 결합하여 21세기 미술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 우리는 미술과 관련하여 주로 값비싼 그림과 같은 자극적인 뉴스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그런 이유로 이따금씩 미술계에 속해 있지 않은 사람들은 갤러리라는 공간이 부담스럽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옥토버 갤러리는 그런 사람들에게 더욱 친숙한 작품을 전시하거나 그들이 미술에 대해 더 알아갈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의향이 있으신가요?
라루스첵 : 우리는 갤러리라는 공간은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사람들이 미술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옥토버 갤러리는 특화되고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어린 아이들, 학생들, 성인에 이르기까지 전 연령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그것을 통해 사람들이 작품을 더 이해할 수 있도록 서포트하고, 그 작가가 태어난 곳의 문화까지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October Gallery. Kenji Yoshida Exhibition. Photo Jonathan Greet.jpg
[Kenji Yoshida Exhibition, Courtesy of October Gallery]

: 이렇게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특별한 이유도 있나요?
호스 : 옥토버 갤러리는 상업갤러리이지만 교육성을 띈 자선단체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교육을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문화와 예술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아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특히 우리 갤러리의 교육프로그램 담당자는 어린이들과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는 등의 노력을 들이고 있습니다.

: 그렇다면, 기술과 경제의 발전에 의해 문화 발전도 융성해진 현재, 갤러리는 공간의 사회적인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지요?
라루스첵 : 옥토버 갤러리는 그 시작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트랜스아방가르드의 좋은 작가를 엄선해서 소개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작가의 출신지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전세계에서 훌륭한 트랜스아방가르드 작가를 서치하고 있는 것이지요. 이는 타 갤러리와 시작부터 작가를 대하는 매우 다른 방식일 수 있습니다. 옥토버 갤러리가 처음 문을 연 1979년, 런던에서 소개되는 작가의 대부분은 서방국가출신이었습니다. 하지만 지난 몇 년, 이러한 흐름에는 큰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사람들이 서양 그 외의 국가들의 문화와 예술, 그리고 작가들에게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것이지요. 물론 그러한 현상은 인터넷의 발달이나, 세계화(globalization)의 대두를 통해 90년대 이후에는 공간에 대한 새로운 관념들이 확산된 까닭도 있습니다. 때문에 현재는 유사한 갤러리들이 많이 생겨나기도 했으나, 우리는 그 이전부터 꾸준히 국적을 불문하고 전세계에서 역량있는 작가들을 발굴하는 갤러리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Jukhee Kwon Redemption 2013 Paper  8 books 450 x 125 x 125cm photo Jonathan Greet Image courtesy October Gallery London.jpg
[Jukhee Kwon Redemption, Courtesy of October Gallery]

 Jukhee Kwon Vita 2013  Paper 1 book  15 x 35 x 30cm Collection of the V&A, London. Photo Jonathan Greet Image courtesy October Gallery London.jpg
[Jukhee Kwon, Vita, Courtesy of October Gallery]

: 갤러리에서 전시를 통해 소개할 작가는 어떻게 선정하시나요?
라루스첵 : 우리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작가들은 간단하게 정의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간단히 말하면 우리가 흥미를 느끼는 작가들의 대부분은 다양한 문화에 걸쳐 작업을 하는 작가들입니다. 그런 작가들의 작품에는 이를 테면 전혀 새로운 방식의 ‘탄력성’(서로 다른 문화나 예술에 걸쳐 작업하기 때문에 그 자체로 매우 탄력적인 유연함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작가들의 작업에서는 확인할 수 없는 활력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다시말해 작품에 그 자체로 드러나는 ‘에너지’는 그 무엇보다 우리에게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겠지요. 물론 전세계의 많은 예술가들이 직접적으로 우리에게 연락을 해오기도 하지만, 우리는 기본적으로 좋은 예술가를 발굴하기 위해 항상 주의를 기울이고 있습니다. 
 Nnenne Okore in front of Unleashed, 2017. Newspaper, acrylic paint and wire, 366 x 457 x 69 cm. photo the artist. Courtesy October Gallery, London.jpg
[Nnenne Okore in front of Unleashed, Courtesy of October Gallery]

: 미술계도 이전에 비해 확실히 글로벌해졌습니다. 전세계에 걸친 미술계에서 일어나는 일들과 어떻게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계시나요?
라루스첵 : 우리가 함께 일하는 작가들은 말씀드린바와 같이 전세계 다양한 국가 출신의 작가들입니다. 때문에 우리는 항상 글로벌한 소식들에 ‘접속’되어 있는 셈이지요. 그리고 우리는 뉴욕과, 중동, 남아프리카, 런던 등지에서 열리는 국제 아트페어에 꾸준히 참여하며 전세계 미술의 흐름에 함께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습니다.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19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817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56
860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프랑스에서 인생은 먹고 마시면서 지나간다 (1) file 편집부 2019.08.19 1538
859 박심원의 사회칼럼 박심원의 영화로 세상 읽기: (45) A I (Artificial Intelligence) file 편집부 2019.06.17 1538
858 영국 이민과 생활 2012년 7월 전과 후 동반비자 영주권시기 eknews 2016.07.12 1536
857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뮤즈들과 찾아가는 예술이야기, 단테의 뮤즈 베아트리 file 편집부 2019.11.18 1534
856 아멘선교교회 칼럼 영생은 곧 유일하신 참 하나님과 그의 보내신 자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것이니이다 eknews02 2018.10.10 1534
855 박심원의 사회칼럼 검정고무신 file eknews 2017.06.03 1534
854 에이미리의 파리에서 랑데뷰 귀족과 수집가의 집 file 편집부 2020.06.01 1531
853 김선국 박사의 건강칼럼 유로저널 단독 건강 칼럼 (13) : 두통 eknews 2014.04.13 1531
852 오지혜의 ARTNOW 트랜스아방가르드의 선구자, 옥토버 갤러리(October Gallery) file eknews03 2017.11.06 1530
851 최지혜 예술칼럼 주목해야 할 전시 2 - 한국 비엔날레(Biennale) 축제보다 더 바쁜 미술 시장들 3 file eknews 2016.12.05 1528
850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테오가 걸으며 이야기 하는 서사시와 같은 프랑스 - 르 아브르의 앙드레 말로 현대 박물관 file eknews02 2018.06.24 1527
849 그리니의 명상이야기 명상의 힘 eknews 2016.05.02 1527
848 김선국 박사의 건강칼럼 유로저널 단독 건강 칼럼 (12) : 안구건조증 eknews 2014.04.06 1527
847 최지혜 예술칼럼 자연과 소통하기 위해서는 고독이 필요하다 file 편집부 2019.03.25 1526
846 에이미리의 파리에서 랑데뷰 전설적인 음악의 반항아 세르쥬 갱스부르 Serge Gainsbourg file 편집부 2020.03.02 1523
845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한 사람 이야기, 예수 이야기 (8) file 편집부 2018.01.17 1522
844 아멘선교교회 칼럼 어떤 병든 자가 있으니 편집부 2019.10.08 1521
843 김선국 박사의 건강칼럼 유로저널 단독 건강 칼럼 (15) : 불면증 eknews 2014.05.05 1521
842 영국 이민과 생활 주재원비자와 솔렙비자 첫신청 file 편집부 2019.09.23 1520
841 에이미리의 파리에서 랑데뷰 파리에서 에이미와 헝데부 (Rendez-vous) (2) file 편집부 2019.03.26 1520
Board Pagination ‹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