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산업 올 수출 14.3% 증가로 일자리 3만6천명 증가 전망
보건산업 수출은 2016년 102억 달러에서 2017년 연말까지 약 117억 달러로 증가가 전망되어 무역수지는 약 10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고, 일자리는 2016년 79만5천명에서 2017년 연말까지 83만1천명으로 증가가 예상된다.
2017년 3분기(1~9월) 기준 보건산업 수출액 86억 달러로 전년 동기 15.5% 증가했고, 82만4천명으로 3.7% 증가했다.
보건복지부는 2017년 보건산업 수출은 2016년 102억 달러 대비 14.3% 증가한 117억 달러 내외, 일자리는 2016년 79만5천명 대비 4.6% 증가한 83만1천명 내외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또한, 2018년 보건산업은 선진시장 진출 등 질적 성장을 이어 나가 수출액은 2017년 117억 달러에서 16.0% 증가한 약 136억 달러, 무역수지 흑자는 약 24억 달러로 전망했다.
보건산업 수출은 2016년 최초로 100억 달러를 돌파하고 무역수지가 흑자로 전환된 데 이어 2017년에도 견고한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2018년에는 수출 다변화, 선진시장 진출 등 질적 성장이 이루어지면서 수출액이 16.0% 증가한 약 136억 달러에 달하는 등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2017년 3분기까지 보건산업(의약품ㆍ의료기기ㆍ화장품) 수출액은 총 86억 달러(9조7천억원)로 전년 동기대비 15.5% 증가하고, 수입액은 81억9천만 달러(9조3천억원)로 5.9% 증가하여, 4억달러 흑자를 기록하였다.
제약 분야의 경우 2017년 3분기까지 의약품 수출액은 27억2천만 달러(3조1천억원)로 전년 동기대비 12.3% 증가하였으며, 수입액은 43억6천만 달러(4조9천억원)로 3.9% 증가하였다.
바이오시밀러는 미국ㆍ유럽 등으로 총 의약품 수출액의 30.1%인 8억2천만달러, 백신은 브라질ㆍ페루 등으로 1억2천만달러, 면역글로불린은 브라질ㆍ이란ㆍ인도 등으로 5천3백만달러 수출액을 기록하였다.
바이오시밀러란 이미 제조판매ㆍ수입품목 허가를 받은 품목과 품질 및 비임상ㆍ임상적 비교동등성이 입증된 생물의약품(생물학적제제 등의 품목허가ㆍ심사 규정 제2조)/’17년 트룩시마ㆍ루수두나ㆍ임랄디 유럽 허가, 렌플렉시스 미국 허가 획득한 의약품이다.
면역글로불린은 혈청성분 중 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항체 작용을 하는 단백질의 총칭이다.
국가별 수출액은 미국(3억 달러), 일본(2억9천만 달러), 중국(2억3천만 달러), 브라질ㆍ헝가리(각 1억5천만 달러) 순으로 나타났다.
바이오시밀러 수출 등의 영향으로 對 미국 의약품 수출액은 전년 대비 173.7% 증가하면서 수출 1위 대상국이 되었고, 수출 상위 20개국 중 유럽 국가가 헝가리, 크로아티아, 독일, 아일랜드, 네덜란드, 스위스, 이탈리아, 영국, 스페인 등 9개국에 해당되는 등 선진국 시장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다.
의료기기의 경우 2017년 3분기까지 의료기기 수출액은 22억6천만 달러(2조6천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13.9% 증가하였으며, 수입액은 26억5천만 달러(3조원)로 8.1% 증가하였다.
의료기기 수출을 이끄는 주요품목은 초음파 영상진단기(3억9천만 달러, 17.0%↑), 내과용ㆍ외과용ㆍ치과용ㆍ수의용 진단기기(2억3천만 달러, 43.7%↑), 정형외과용 기기(2억 달러, 34.6%↑) 등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수출액은 미국(3억9천만 달러), 중국(3억4천만 달러), 일본(1억8천만 달러), 독일(1억1천만 달러), 인도(8천만 달러) 순이다.
수출 상위국가 중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이 큰 국가는 터키(63.1%), 인도네시아(56.9%), 브라질(53.7%), 인도(44.4%), 러시아(40.2%)로 나타났다.
터키의 경우 의료기기 국제입찰 및 의료기기 전시회에서 이루어진 수출계약 등의 영향을 받아 최대 증가율을 나타냈다.
화장품의 경우 2017년 3분기까지 화장품 수출액은 36억2천만 달러(4조1천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19.1% 증가하였으며, 수입액은 11억8천만 달러(1조3천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8.6% 증가하였다.
분기별 수출액 증가율은 1분기 34.5%, 2분기 6.7%, 3분기 19.2%로 3분기 들어 점진적으로 회복되는 추세이다.
국가별 수출액은 중국(13억4천만 달러), 홍콩(9억1천만 달러), 미국(3억5천만 달러), 일본(1억7천만 달러), 대만(1억2천만 달러) 순이다.
수출 다변화 노력에 따라, 수출 상위 국가 중 독일(435.6%), 러시아(119.8%), 영국(99.7%), 네덜란드(92.8%) 등 유럽지역에서 전년 동기대비 수출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다.
의약품의 경우, 2017년 3분기까지 상장 제약기업(95개사)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8.8% 증가한 11조9천억원, 연구개발비는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한 9,245억원으로 나타났다.
상장 혁신형 제약기업(33개사)와 제약 벤처기업(23개사)의 연구개발비는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6%, 27.2% 증가하였다.
화장품의 경우 2017년 3분기까지 상장 화장품 기업(21개사) 매출액은 외래관광객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감소한 8조1천억원, 연구개발비는 전년 동기 대비 3.6% 감소한 1,028억원으로 나타났다.
상장 화장품 벤처기업(6개사)의 연구개발비는 전년 동기 대비 28.1% 증가하였다.
일자리로는 2017년 3분기까지 의료서비스를 포함한 보건산업 일자리는 82만4천명으로, 2016년 말(79.5만명) 대비 3만명 증가(3.7%)하였다.
보건제조산업인 제약ㆍ의료기기ㆍ화장품 일자리는 14만2천명으로, 작년 말(13만7천명)보다 3.6%(5천명) 증가하였다.
부문별로는 제약산업 일자리가 6만4천명으로 작년 말 대비 2.9% 증가하였고, 의료기기산업 일자리는 4만5천명으로 작년 말 대비 4.5%, 화장품산업 일자리는 3만3천명으로 작년 말 대비 3.8% 증가하였다.
병ㆍ의원 등 의료서비스 일자리는 작년 말(65만7천명) 대비 3.8% 증가하여 68만2천명으로 늘었다.
전 분야에서 고르게 일자리가 늘어, 보건산업이 성장하면 일자리도 함께 창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17년 3분기 기준 보건산업 일자리는 전산업의 6.4%를 차지하며, 2017년 3분기까지 새로운 일자리의 12%가 보건산업에서 창출한 반면, 제조업 전체 고용증가율(△0.3%)은 감소했다.
2017년 3분기 성과와 산업계ㆍ전문가 패널조사 결과 등을 종합할 때, 2017년 연말까지 보건산업 수출액은 2016년 102억 달러 대비 14.3% 증가한 117억달러 내외, 수입액은 6.0% 증가한 107억달러 내외로 예상된다.
2016년 최초로 무역수지가 흑자(1억달러)로 전환된 이후, 흑자추세가 지속되어 2017년에는 무역수지 흑자가 10억달러 내외로 확대될 전망이다.
한국 유로저널 안규선 기자
eurojournal12@ek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