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최지혜 예술칼럼
2018.02.12 03:06

“Do it yourself” 플럭서스2

조회 수 251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Do it yourself”
플럭서스2

플럭서스 아트의 가장 독특한 형태로 알려진 것은 이벤트 스코어(event scores)와 플럭서스 박스(Fluxus boxes or Fluxkits)다. 
플럭서스 박스는 인쇄된 카드나 게임, 아이디어 등을 모아서 작은 플라스틱 또는 나무상자에 넣어둔 것에서 유래한 것이다. 
 
백남준, Zen for Film  from Fluxkit, 1965.jpg
백남준, Zen for Film  from Fluxkit, 1965

한편, 헨리 코웰(Henry Cowell)의 음악철학에서 이벤트 스코어의 아이디어가 나오게 된다. 그는 플럭서스 아티스트의 대표적인 인물들,  존 케이지(John Cage)와 딕 히긴스(Dick Higgins)의 스승이었다.  
스코어라는 용어는 음악에서 사용되는 악보(score)와 본질적으로는 비슷한 의미를 가진다. 음표로 표기한 내용을 가지고서 어느 누구나 이를 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악보인데, 이것을 다른 예술에 접목한 것이 이벤트 스코어다.  
이벤트 스코어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던 예술가 중의 한 명이 바로 백남준이다.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비디오 아티스트인 그는 이벤트 스코어의 아이디어를 "do it yourself"라고 명명을 하고, 이를 널리 보급한 예술가다. 
 
백남준, N129_listening for music 1, 1963.jpg
백남준, N129_listening for music 1, 1963

사실 음악에 있어서 악보를 만들고 이를 이용한 다양한 연주가 이루어진 것은 수백년간 일반화되어 온 일이다. 하지만, 다른 예술분야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시도하여 보급한 것은 플럭서스 예술가들인 백남준과 존 케이지, 딕 히긴스에 의한 것이다.  
특히, 존 케이지(John Cage, 1912~1992)는 ‘비구성주의 작곡가’로 불린다. 그는 근대 유럽의 고전음악이 추구하는 음악관을 정면으로 거부했었다.
서양음악사에서의 존 케이지의 가장 큰 업적은 ‘우연성(chance)의 도입’이라 할 수 있다. 사실 클래식 음악 외에도 대부분의 음악은 계획을 가지고 주어진 음악적 재료를 배열하는 구성주의의 산물이다.  
치밀한 구조를 지닌 바흐 음악 같이 배열이 촘촘한 음악이든, 좀 더 즉흥적인 재즈 같이 배열이 느슨한 음악이든 구성주의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다. 하지만 존 케이지는 이러한 구성주의에서 탈피하고 우연성을 도입했다. 
이것은 그의 가장 널리 알려진 작품인 <4분 33초>에서 잘 표현되어 있다. <4분 33초>에서 연주자는 무대에 올라서 4분 33초 동안 아무 것도 하지 않다가 다시 무대를 내려온다. 
존 케이지는 동시대 화가인 라우센버그의 작품 <백색 페인팅>에서 <4분 33초>의 모티브를 찾았다고 한다. 당시 라우센버그의 <백색 페인팅> 시리즈의 주제는 회화를 지워 없애버리는 것이었다.  
 
라우센버그, 백색 페인팅(White Painting), 1951.jpg
라우센버그, 백색 페인팅(White Painting), 1951

존 케이지는 “귀를 기울여라. 그대 주변의 모든 것이 음악이다. 귀 기울이는 자가 곧 작곡가다”라고 말했다. 즉, 작곡가가 조직한 음으로 구성된 작품 대신에 작곡가가 제안한 특정한 시간대에 청중들 자신의 주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소리에 대해 의식하라는 것, 이것이 <4분 33초>을 작곡한 그의 의도였다. 
이 작품을 통해 청중들은 자기가 듣고 있는 것에 각자 어떤 의미를 부여한다. 이런 점에서 그들은 스스로 작곡가가 된다. 이것은 구성주의적 작품의 개념과 이러한 작품을 작곡하는 작곡가라는 개념을 모두 해체시킨 것이다.  
이른바 연주는 아무나 할 수 있다는 말이다. 연주의 장소도 어디든 가능해진다. 당시 <4분 33초>는 엄청난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다. 일종의 해프닝과 같았던 <4분 33초>의 연주는 이후 백남준, 요제프 보이스 등의 플럭서스 예술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1957년 프라이부르그고등음악원에 다니던 백남준은 다름슈타트 국제현대음악 여름특강수업에 참가하면서 존 케이지를 만났다. 
이후, 1959년 뒤셀도르프의 갤러리22에서 두 대의 피아노와 테이프 레코더, 계란, 장난감 등을 동원한 백남준은 '존 케이지에게 바치는 경의'로 이름 붙인 자신의 최초의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케이지를 상징하는 피아노를 부수는 행위에 이어, 불과 1년 뒤에는 케이지에게 돌발적인 행동을 감행했다. 백남준은 사실 존케이지의 열렬한 신봉자였다. 그런데 그는 존 케이지의 와이셔츠를 찢고 가위로 그의 넥타이를 잘랐다. 
 
백남준, 피아노포르테를 위한 연습곡(Performance of Etude for Piano),1960.jpg
백남준, 피아노포르테를 위한 연습곡(Performance of Etude for Piano),1960

심지어 존 케이지의 머리에 샴푸를 쏟아 붓고, 백남준은 재빨리 스튜디오를 빠져나갔다. 그리고 전화벨이 울렸다. 그것은 백남준의 퍼포먼스가 끝났다는 신호였다. 이런 그의 돌발적인 퍼포먼스는 그 자리에 모인 모든 사람들을 경악하게 만들었다.
 
백남준이 존 케이지의 머리에 샴푸를 붓는 퍼포먼스.jpg
백남준이 존 케이지의 머리에 샴푸를 붓는 퍼포먼스

아시아에서 온 20대 후반의 백남준이 자신이 존경해 마지않았던 존 케이지에게 바친 이 돌발적 퍼포먼스는 정신분석학적 해석이 필요하다. 넥타이는 남성 즉, 아버지의 상징이다. 따라서 케이지의 넥타이를 가위로 자르는 행위는 아버지 우라노스를 거세시킨 크로노스의 행위를 연상시킨다. 그것은 곧 법이자 권위의 상징인 아버지로부터의 독립을 상징하는 것이다.
아울러 샴푸는 자신으로 인해 흘린 피의 정화(淨化)를 상징한다. 그래서 백남준은 이 퍼포먼스를 통해 자신에게 절대적인 영향을 끼친 존 케이지로부터 벗어나, 성인식을 마치고 소년이 마침내 성인이 되듯이 알을 깨고 나온 것이다.  
이 퍼포먼스 후 1961년, 백남준은 다다정신을 계승하여 삶과 예술 통합을 지향했던 플럭서스(Fluxus)란 전위예술단체에 들어갔다. 그해 10월 그는 독일의 전위음악가 칼하인츠 스톡하우젠이 쾰른의 시어터 암 돔에서 개최한 '오리지날레' 음악 연극 페스티발에 참가해, 토마토즙을 잔뜩 담아놓은 큰 그릇에 머리를 푹 적셔 붉은 액체가 뚝뚝 떨어지는 머리로 바닥에 깔아놓은 종이 위에 긴 선을 그었다. 
 
백남준, '머리를 위한 선(Zen for Head)', 1962.jpg
백남준, '머리를 위한 선(Zen for Head)', 1962
백남준은 머리로 굵고 긴 선을 그은 이 작품에 '머리를 위한 선(禪)'이라 이름 붙였다. 1962년 비스바덴에서는 토마토즙 대신 먹물에 머리를 적셔 선을 그었다. 얼핏 보기에 선승이 수행의 한 방편으로 그어놓은 선처럼 보이지만 이 퍼포먼스를 선적(禪的) 행동으로 볼 수는 없을 것 같다. 
실제로 그가 존경하던 존 케이지는 당시 자신에게 현대음악을 배우러온 지타 사라브하이란 인도 여성으로부터 인도 전통음악과 사상을 배웠으며, 미국에서 일본 선불교를 강의하던 스즈키 다이세츠에게 영향을 받아 선사상에 바탕을 둔 새로운 작품활동을 시작했었다. 
그런데 이런 그의 옷을 찢고 넥타이를 자른 백남준이 이번엔 직접적으로 선을 내세운 퍼포먼스를 선보인 것이다. 그는 한국에서 태어나 자랐고, 일본에서 미학과 미술사를 배웠다. 그런 그가 선에 대해 모를 리가 없다. 훗날 그가 발표한 'TV부처' 를 보면, 그가 선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짐작할 수가 있다.  
 
백남준, TV 부처, 1974 (2002).jpg
백남준, TV 부처, 1974 (2002)

서양 현대음악을 배우기 위해 독일로 갔던 백남준은 반대로 동양 선사상에 심취해 있던 존 케이지를 생각하면서, 머리에 먹을 잔뜩 묻혀 바닥에 깔아놓은 종이 위에 선을 그음으로써, 물리적 오브제로서의 작품을 만든 것이 아니다. 
그의 퍼포먼스는 그의 악보와 그것의 실연이다. 

(다음에 계속…)

유로저널칼럼니스트, 아트컨설턴트 최지혜
메일 : choijihye107@gmail.com
블로그 : blog.daum.net/sam107
페이스북 : Art Consultant Jihye Choi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9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802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37
1919 영국 이민과 생활 취업비자자 결혼 및 동반비자와 영주권 편집부 2018.10.28 997
1918 취업비자의 동반비자로 해외체류와 영주권 eknews 2012.07.26 5268
1917 영국 이민과 생활 취업비자와 사업비자로 영주권 eknews 2016.11.22 1771
1916 영국 이민과 생활 취업비자서 벤쳐캐피탈 사업비자로 전환 eknews 2016.06.07 1948
1915 영국 이민과 생활 취업비자로 일하는 중 정리해고 될 경우 file 편집부 2017.12.18 2568
1914 영국 이민과 생활 취업비자로 영주권과 배우자의 비자 eknews 2013.07.16 5067
1913 영국 이민과 생활 취업비자, CoS발행 후 일 시작일 변경된 경우 eknews 2015.03.09 2963
1912 영국 이민과 생활 취업비자 중 EU인, 영국인과 결혼비자 eknews 2014.03.26 4074
1911 영국 이민과 생활 취업비자 재정증명과 자금 부족시 편집부 2021.06.30 879
1910 영국 이민과 생활 취업비자 이직 올해와 내년 차이점 file 편집부 2020.10.27 721
1909 영국 이민과 생활 취업비자 영주권 신청 시 연봉 얼마나 돼야 하는가? eknews 2016.08.02 2533
1908 영국 이민과 생활 취업비자 영국이민 알아야 할 사항들 file 편집부 2019.03.27 1216
1907 영국 이민과 생활 취업비자 영국신청과 해외신청 차이점 file 편집부 2019.06.17 1196
1906 영국 이민과 생활 취업비자 연장심사 중 비자만료와 거절 및 항소 eknews 2016.08.23 2539
1905 영국 이민과 생활 취업비자 연장거절과 대책 및 연봉 file 편집부 2018.02.28 1406
1904 영국 이민과 생활 취업비자 심사와 고용주 인터뷰 eknews03 2017.08.21 1321
1903 영국 이민과 생활 취업비자 신청시기 및 주택임대 file 편집부 2018.09.05 1100
1902 영국 이민과 생활 취업비자 소요시간과 RCoS심사 eknews 2016.03.15 2456
1901 영국 이민과 생활 취업비자 단기에서 장기로 전환 할 경우 eknews 2015.04.05 2337
1900 영국 이민과 생활 취업비자 관련비용 누가 지불하는가? file 편집부 2018.04.03 1218
Board Pagination ‹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