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212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 임주희의 살롱 뒤 뱅 ] #5 
디오니소스의 축복, 산토리니 와인

너무 파란 바다와 너무 하얀 건물. 시속 30킬로미터로 얼굴을 때리는 보슬비를 맞으며 검은 포도밭에 낮게 깔린 바구니 모양의 포도나무를 지나 계속 걸으면 붉은색, 초록색, 검은색 절벽 위로 산꼭대기까지 이어진 포도밭이 눈에 들어온다. 와인을 만나기 위해 찾아갔던 산토리니의 풍경은 몹시 기이했다.

사진 1 산토리니섬.jpg
< 사진 1. 산토리니섬 >

산토리니는 그리스 최고의 화이트 와인 산지이자 달콤한 빈산토 와인의 고향이다. 아실티코Assyrtiko라는 고급 토종 품종과 함께 아이다니Aidani 및 아씨리Athiri라는 품종이 재배된다. 오늘날 이탈리아 디저트 와인으로 유명한 빈산토Vinsanto 와인은 사실 ‘Vino di Santorini(산토리니의 와인)’라는 뜻으로 산토리니가 원조이다. 베네치아 상인들이 달콤한 산토리니 와인을 가져다 전 세계에 팔면서 유명해졌다고 한다. 이탈리아의 빈산토는 주로 레드 품종을 사용하는 반면 산토리니의 빈산토는 화이트 품종을 섞어 만든다.
산토리니섬을 걷다 보면 불에 그을린 듯 검은 밭이 종종 눈에 띈다. 화산 폭발의 잔재이다. 기원전 1600년대의 화산 폭발로 생겨난 산토리니섬은 척박하기 그지없다. 바람이 많이 불고 비가 오지 않는다. 땅의 표면은 붉은색, 초록색, 검은색, 회색의 화산석과 석회암이 주를 이루고 심층부로 갈수록 점토질이 형성되어 있다. 산토리니의 포도나무는 건조한 기후에서 살아남으려 뿌리를 25m 이상 뻗어 겉흙 아래 점토에서 수분을 끌어당긴다. 

사진 2 쿨루라 포도나무.jpg
< 사진 2. 쿨루라 포도나무 >

쿨루라Kouloura(바구니) 혹은 스테파니Stefani(왕관)라 불리는 모양의 포도나무는 산토리니 와인의 상징이다. 척박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한 일종의 생존 전략인 셈이다. 저절로 바구니 모양으로 자라는 건 아니고 겨울에 비가 온 후 수분을 머금고 유연해진 포도나무를 가지치기하면서 일일이 형태를 잡아준 것이다. 포도나무는 겨우 일년에 20cm 정도 자란다니 작고 어설퍼 보이는 쿨루라도 10살이 훌쩍 넘는다. 쿨루라의 둥글게 둘린 포도 가지는 가운데 맺힌 포도 열매의 바람막이 역할을 한다. 그 위를 덮은 포도나무의 잎사귀는 그늘막처럼 강한 햇살을 막고 포도의 수분을 보존해준다. 
실제로 종일 마른 태풍이 몰아치는 듯했다. 몸이 휘청거리고 발걸음을 옮기는 것조차 쉽지 않았다. 이 난폭한 바람을 견디고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느라 포도나무가 참 고생이 많다. 기특하다. 
산토리니는 1870년대 유럽을 강타한 포도나무 해충 필록세라의 영향을 받지 않아 포도나무의 평균 연령이 높다. 프랑스에서는 40년만 되어도 오래된 포도나무(Vieille Vigne)라는 표현을 쓰는 반면 그리스 나무들은 100년은 되어야 오래되었다는 명함을 내밀 수 있다. 
섬 전체에는 크고 작은 와이너리들이 20여개 있다. 본 칼럼에서는 산토리니 와이너리의 큰형인 알기로스Argyros Estate를 소개해 볼까한다. 1903년에 설립되어 현재 4대째 와인을 만들고 있는 알기로스 와이너리는 산토리니에서 46 헥타르 규모의 가장 큰 포도밭을 경작하고 있다.
이번 방문에서 7가지 알기로스 와인을 시음했는데 먼저 화이트 와인부터 보자. 

1 아이다니 Aidani 2017  
아이다니 품종 100%로 만들었다. 굉장한 산도와 함께 달콤한 꽃 향이 예술이다. 단순하고 매력적이다. 귀엽게도 라벨에 물고기 모양이 그려져 있다. 가벼운 해산물 혹은 생선과 마시라는 친절한 가이드이다. 

2 알기로스 산토리니 Argyros Santorini 2016 
아씰티코 100%로 만든 기본 등급 화이트 와인이다. 묵직한 바다 향이 난다. 레몬처럼 톡 쏘는 산도와 더불어 잘 익은 패션 프푸트같은 과일 풍미가 있다. 생굴에 레몬즙을 짜서 백후추를 뿌려 같이 먹는 맛이다. 

3. 에스테이트 알기로스 Estate Argyros 2016
100년 이상 된 포도나무로 만들었다. 높은 산도와 바다 소금 맛 미네랄은 여전하다. 프렌치 오크를 조금 사용하여 기본 등급에 비해 부드러운 질감을 가졌다. 타임 같은 허브향도 특징적이었는데, 섬 전체에서 재배되고 있는 각종 허브의 영향을 받았을 수도 있단다. 묵직한 해산물 요리 및 가벼운 가금류와 잘 어울린다.

4. 에스테이트 알기로스 오크 발효 Estate Argyros Oak Fermented 2016
150년 이상 된 포도나무로 만들었다. 6개월 이상 프랑스 오크에서 발효시킨 화이트 와인이다. 아씰티코 특유의 산도와 미네랄에 굉장한 풀바디를 가졌다. 버터, 바닐라, 꿀, 견과류 향이 함께 잘 어우러진다. 화이트 와인이지만 각종 허브로 요리한 육류와도 곁들일 수 있다.
바다 한가운데 섬에서 만들었다고 바다 맛이 나고, 주변에 허브를 많이 키운다고 허브 향이 나는 와인이라… 이 강한 햇살에도 미친 듯이 높은 산도는 또 어떻고. 참 솔직하고 독특한 화이트 와인이다. 
다음으로 달콤한 빈산토 와인을 시음했다. 
빈산토 와인은 14일 동안 자연 건조해 당도를 높인 백 포도로 만든 와인이다. 알코올 발효 후 나무통에서 장기숙성을 하는데 숙성기간에 따라 4년, 12년 그리고 최대 20년으로 나눠서 출시된다. 숙성기간 동안 나무통 안의 와인이 조금씩 증발하고 와인이 줄어든 양만큼 공기가 채워져 술이 천천히 산화되는데, 여기서 빈산토 와인의 독특한 풍미가 나온다.
산토리니 빈산토 와인이라고 원산지를 표기하려면 고급 품종인 아실티코 품종이 51% 이상 사용해야하며 그 외 아이다니, 아씨리 품종을 블랜딩한다. 

사진 3 알기로스의 빈산토 와인.jpg
< 사진 3. 알기로스의 빈산토 와인 >

알기로스의 3가지 빈산토 와인 - 빈산토 4, 빈산토 12, 빈산토 20을 시음해 봤다. 전반적으로 높은 산도와 함께 캐러멜, 바닐라 향이 지배적인데 햇수가 올라갈수록 부드럽고 풍부한 디저트 와인의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20년 숙성한 빈산토 와인은 바닐라, 버터, 스카치 캔디, 볶은 커피와 같은 복잡하고 힘 있는 풍미에 혀가 얼얼할 지경이었다. 엄청난 당도와 산도 때문에 100년이상 보관이 가능하다고 한다. 
산토리니의 와인은 술의 신 디오니소스가 이 섬에 가져다준 축복이라고 한다. 섬에서 만났던 따뜻한 산토리니 사람들만큼 그들의 와인도 솔직하고 음식 친화적이었다. 내 마음을 홀랑 뺏긴 이 디오니소스의 축복을 나만 누릴 순 없지. 사랑하는 사람들과 나누고 싶어 산토리니 와인을 몇 병 쟁여 들고 프랑스로 돌아오는 비행기를 탔다.

임주희 칼럼리스트 jhee1209@gmail.com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13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805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41
1300 유럽 벤처기업의 부흥 file eknews 2014.10.21 2131
1299 아멘선교교회 칼럼 아멘선교교회 9월 23일자 말씀 file 편집부 2020.09.28 2129
» 유로저널 와인칼럼 [ 임주희의 살롱 뒤 뱅 ] #5 디오니소스의 축복, 산토리니 와인 file 편집부 2018.04.09 2129
1297 프랑스 정종엽의 미디어 칼럼 정종엽 기자와 함께하는 미디어칼럼- 지켜 보자는 프랑스 국민들... file eknews03 2017.06.21 2129
1296 최지혜 예술칼럼 나는 스타일이 없는 것을 좋아한다 file 편집부 2019.09.09 2128
1295 김선국 박사의 건강칼럼 유로저널 단독 건강 칼럼 (40) : 독감과 감기 eknews 2014.11.04 2128
1294 영국 이민과 생활 요즘 취업비자 신청시 총 소요비용 eknews 2017.07.12 2126
1293 최무룡의 영국 회계 칼럼 국세청 세무감사 용어 2 REASONABLE CARE AND EXCUSE eknews 2015.12.14 2123
1292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상식의 회복 - 먹거리에서 file eknews 2014.11.17 2123
1291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유럽에서 프랑스에서 먹고 마시는 전통과 상징 (2) file 편집부 2019.09.09 2122
1290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예술과 일상에서 만나는 손과 손가락 이야기 (3) file 편집부 2019.05.06 2122
1289 영국 이민과 생활 박사후 T4 DES비자와 그 자격 편집부 2019.02.06 2122
1288 오지혜의 ARTNOW Turner Prize 2016 file eknews 2016.05.23 2122
1287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테오가 걸으며 이야기 하는 서사시와 같은 프랑스 - 옹플뢰르(Honfleur) file eknews02 2018.05.23 2116
1286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그림이 있는 여행 - 고갱과 함께 ( 1 ) file eknews 2016.06.20 2115
1285 영국 이민과 생활 T1E사업비자 고용의무와 회사 합병 경우 eknews 2015.01.19 2114
1284 유로저널 와인칼럼 [임주희의 살롱 뒤 뱅] #7 상 조세프의 거장, 도멘 피에르 고농 file 편집부 2018.05.07 2112
1283 에이미리의 파리에서 랑데뷰 미투에 고발당한 폴란스키의 작품 나는 고발한다 file 편집부 2019.11.26 2111
1282 에이미리의 파리에서 랑데뷰 프랑스인과 바게트 Baguette file 편집부 2020.03.31 2110
1281 박심원의 사회칼럼 마음을 전하는 세상에서 가장 큰 우체통 file eknews 2017.02.13 2110
Board Pagination ‹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