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157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유기농 와인, 비오(Bio) 와인, 네츄럴(Natural) 와인, 비오디나믹(Biodynamic) 와인...

한번쯤 들어봤을 법한 이런 용어들은 요즘 와인 업계의 세계적인 추세다. 관련 인증 마크는 와인 판매에도 큰 영향을 준다. 소비자들은 이왕이면 이런 마크가 있는 와인에 지갑을 연다. 

하나하나 뭐가 다른 건지 들여다보자.



와인칼럼03.jpg


< 사진 1. 다양한 와인 인증 마크 >


‘비오 와인’은 비오 인증 협회의 가이드라인을 따르면 비오 와인 마크를 받을 수 있는데, 주로 포도 농사에만 국한된다. 양조는 마음대로 할 수 있다는 뜻이다. 살충제, 제초제, 비료의 사용 등 밭농사에 제한이 있다. 유기농 와인은 비오 와인의 우리식 표기이다. ‘비오디나믹 와인’도 비오 와인과 같이 협회의 가이드라인을 따라야 하는데 밭농사 뿐만 아니라 양조 방식에도 그들만의 규정이 있다. 비오와 다른 점은 천체력을 사용하고 소뿔에 담은 천연 비료를 사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자연의 에너지를 따르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예를 들면 한 달에 두 번 달이 뜰 때 두 번째 달이 뜨는 시기에 바람이 불지 않고 비가 오지 않는 날을 택해 와인의 여과 작업을 하면 불순물이 적고 더 맑은 와인이 된다고 믿는다. 우리에게는 상당히 미신적인데, 비오디나미 생산자들은 이 방식이 굉장히 논리적이라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네츄럴 와인’은 이들보다 더 자연에 가깝게 만들어진 와인이라 여겨진다. 그러나 협회도 없고 지정된 가이드라인도 없다. 내가 네츄럴 와인이라 우기면 그만인 지라 말도 많고 탈도 많다. 보졸레 Beaujolais에서 전설의 네츄럴 와인이라 불리는 도멘 마흐셀 라피에르 Domaine Marcel Lapierre를 방문해서 그들이 생각하는 네츄럴 와인에 대해 들어봤다. 아이러니하게도 네츄럴 와인의 거장이라 불리는 그들은 당장에 네츄럴 와인이라는 말부터 없애야 한다고 주장한다. 


‘네츄럴 와인’이란 용어는 80년대 마흐셀 라피에르 씨가 처음 사용했던 말이라고 한다. 당시 보졸레 지역에서 5명의 와인메이커들이 모여 새로운 방법으로 농사를 짓고 와인을 만들었는데, 그들만의 농사법과 양조법을 뭐라고 부를까 고민하다가 네츄럴 와인이라는 말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2010년, 도멘을 창시한 마흐셀 라피에르씨의 사망 후 현재는 그의 아들 마티으 라피에르, 딸 까미 라피에르 씨가 도멘을 물려받아 운영하고 있다. 까미 라피에르 Camille Lapierre 씨의 이야기를 한번 들어보자.


와인칼럼02.jpg 

< 사진 2. 까미 라피에르 > 


까미 씨는 ‘네츄럴’이라는 단어 때문에 다양한 오해가 생기고 있다고 말한다. 사람의 개입 없이 포도가 저절로 ‘네츄럴’한 와인이 되니 네츄럴 와인을 만드는 사람들은 일을 안 하는 ‘게으른’ 와인메이커라고 여겨진단다. 실상은 첨가물 없이 와인을 만들기 위해 남들보다 더 열심히 일하고 있는데도 말이다. 


네츄럴 와인은 ‘무 첨가물’의 이미지가 강하다. 특별히 아황산염(SO2)의 사용 여부로 네츄럴 와인을 구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아황산염은 와인뿐만 아니라 각종 견과류, 건과일 등에 널리 사용되는 식품 보존제인데 일반적인(컨벤셔널) 와인에는 사용되고 네츄럴 와인에는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고 여겨진다. 몇몇 네츄럴 와인 신봉자들은 일반 와인을 마시면 그 안에 함유된 아황산염으로 인해 즉시 두통을 느끼고 다음 날 숙취를 겪는 데 비해 네츄럴 와인은 한 병을 다 마셔도 다음날 괜찮다고 한다. 정말 그럴까.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반은 맞고 반은 틀렸다. 저가 컨벤셔널 와인은 아황산염을 비롯한 각종 화학 첨가물이 사용되었을 확률이 높은 게 사실이다. 공장식으로 대량 생산 하는 와인도 그러하다. 안타깝게도 이런 와인을 마신 후엔 두통이 올 수도 있다. 


까미 씨에 의하면 네츄럴 와인이라 불리는 그들의 와인은 가능한 한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고 만들고 있다고 한다. 꼭 필요할 경우 미량의 아황산염을 사용할 수도 있단다. 까미 씨는 아황산염의 사용 여부로 네츄럴 와인의 경계를 구분할 수 없다고 한다. 소금도 적당히 쓰면 보존제, 많이 쓰면 독이듯 아황산염도 마찬가지라고 한다.


비오 와인, 비오디나믹 와인이라는 용어들은 90년대 후반 인증 협회가 생기면서 대중화되었다. 덕분에 무분별한 화학 첨가물의 사용에 대한 경계심이 늘었다. 그러나 이미 수십 년간 자연에 충실한 와인을 만들어 온 많은 와인 생산자들은 인증 마크가 없으면 유기농이 아니라는 인식 덕분에 판매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몇몇은 울며 겨자 먹기로 협회에 큰 비용을 내고 인증마크를 획득하기도 한다.


까미 씨는 이런 와인의 구분법에 크게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듯 보였다. 대신 이렇게 말했다. “무엇보다 와인은 맛있어야 하고, 내 혀를 믿고 그 맛을 즐기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와인을 두고 건강에 좋은지 아닌지 논쟁하는 건 의미가 없습니다. 이미 술은 건강에 좋지 않기 때문에."






임주희 칼럼 리스트 

jhee1209@gmail.com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17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811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52
320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의 예술칼럼 (12) 죽었어도 100억원을 움직일 수 있는 남자 file eknews 2015.02.16 3847
319 영국 이민과 생활 외국서 자녀들 한국말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유로저널 2009.02.11 3857
318 영국 이민과 생활 내년 영국 학생비자 제도 어떻게 바뀌나? 유로저널 2010.12.15 3863
317 최지혜 예술칼럼 예술가가 사랑한 예술가 1 ; 검은 피카소,바스키아 3 file eknews 2016.05.15 3864
316 영국 이민과 생활 비자신청 시 범죄여부 기록과 영향 eknews 2016.09.06 3866
315 영국 이민과 생활 영어성적 2년 지난 것 사용 가능한가요? 유로저널 2010.06.22 3868
314 오지혜의 ARTNOW yBa(young British Artist)의 대부 마이클 크레이크 마틴(Michael Craig-Martin) file eknews 2015.12.14 3868
313 최지혜 예술칼럼 최후의 초현실주의 화가, 최초의 추상표현주의 화가 file 편집부 2020.02.16 3873
312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지중해 문명지역 문화 예술 산책 ( 4 ) 에로스 이야기 file eknews 2016.11.06 3881
311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프랑스의 음식과 음료 문화 (5) file eknews 2014.05.06 3884
310 영국 이민과 생활 10년 거주 영주권 신청과 배우자비자 eknews 2013.09.26 3888
309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 (37) -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만나랴 file 편집부 2020.08.04 3889
308 영국 이민과 생활 교회, T5R단기 종교비자와 그 활용 eknews 2014.05.20 3893
307 영국 이민과 생활 솔렙비자 후 셋팅과 동반비자 추가신청 file eknews 2012.01.25 3898
306 사브리나의 오페라 칼럼 리하르트 쉬트라우스(Richard Strasuss)의 장미의 기사(Der Rosenkavalier) file eknews 2016.06.12 3898
305 영국 이민과 생활 학생비자에서 취업비자 전환 eknews02 2011.08.07 3908
304 영국 이민과 생활 PSW비자에서 T1G비자 혹은 T2G비자 전환방법 유로저널 2010.08.11 3911
303 유로저널 와인칼럼 박 우리나라 기자의 프랑스 와인 기행 3 와인은 살아있다? file 편집부 2014.01.06 3927
302 단순 취업비자와 영주권 취업비자 eknews 2012.08.02 3929
301 영국 이민과 생활 영국비자 영어시험 지정 시험장소 것만 인정 eknews 2015.04.12 3934
Board Pagination ‹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