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최지혜 예술칼럼
2018.10.07 22:01

욕망의 고리의 열쇠

조회 수 120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욕망의 고리의 열쇠

1. 게이즈 (Gaze, 응시)

라깡은 스스로가 데카르트적인 사유하는 주체가 아닌 욕망하는 주체임을 인정할 때 인간은 실재와 불행하지 않은 만남을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 
우리 의식은 보기만 하는 시선(eye)이 아니라 보여짐(gaze, 응시)이 함께 하는 중첩적인 것이다. 라캉의 '욕망하는 주체'는 보여짐을 강조한다. 이 세계 속에서 인간은 보여지는 존재다. 

응시는 주체가 상상계에서 상징계로 들어서듯 바라보기만 하는 것에서 보여짐을 아는 순간 일어난다. 자신이 세상에 의해 보여짐을 의식할 때 주체는 고립과 소외를 벗어나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타자의식'이다. 

우리의 삶도 어떤 대상에 대해, 있는 그대로 보기보다는 자신의 상상과 관념을 투사하여 보는 경향이 많다. 라캉은 '주체가 스스로를 발견하고 제일 먼저 느끼는 곳은 타자 속에서다' 라고 했다. 

인간은 타자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인정받을 때만 주체로서 존재할 수있다. 그래서 구조적으로 인간의 욕망은 나의 것이 아니라 타인의 욕망과 그것이 겨냥하는 대상을 향하게 된다.

[크기변환]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향수'의 포스터(왼쪽)와 코코 샤넬.jpg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향수>의 포스터(왼쪽)와 코코 샤넬

욕망은 인간을 살아가게 하는 동력이다. 그리고 이 욕망을 이루고자 하는 것은 꿈이다. 이런 꿈을 향한 욕망, 그 꿈을 잡을려고 하는 욕망, 이런 것이 없으면 우리는 살아갈 수가 없다.

그러나, 그 욕망을 잡으려는 순간 또 다른 욕망이 생겨난다. 이렇게 우리는 욕망에만 집착하면서 사는 수 밖에 없는 걸까? 


2. 컴패션 (Compassion, 연민)

자신을 바라보는 나와 또한 보여지는 나를 동시에 인식한다면, 끊임없이 돌고 도는 욕망의 고리에서 조금은 풀려날 수 있는 방법이 있지 않을까? 

[크기변환]compassion2.jpg
Compassion

그래서 우리는 좀 더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게 될 것이다. 이것을 위한 열쇠가 바로 연민(compassion)이다
연민은 다른 사람의 신체적, 정신적, 또는 감정적 고통을 도와주고자 하는 것이다. 이것은 공정함이나 공평함, 그리고 상호의존함이라는 좀 더 이성적인 개념과도 관련이 있지만, 무엇보다 고통이라는 감정적인 측면의 세심함을 가지는 것으로 더 자주 인식되어진다. 

[크기변환]compassion3.jpg
Compassion


이것은 다른 사람의 감정을 함께 느끼는 감정이입(앰퍼씨, empathy)이라는 의미도 포함한다. 그래서 연민은 사람의 고통을 완화하고자 하는 욕망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크기변환]compassion1.jpg
Compassion

지난 주말, 멕시칸 레스토랑에서 롱 아일랜드 칵테일과 치킨 퀘사디아를 먹고 나오면서 남편은 우리 옆 테이블에 앉아 있는 젊은 한 커플의 음식값까지 지불했다. 그들이 돈이 없어 보이거나, 어떤 방식으로든 도움이 필요해 보여서가 아니었다. 오히려 그 반대였다.

베품, 그리고 그것으로 인해 우리가 받는 기쁨, 그는 이것을 컴패션(compassion, 연민)이라고 늘 말하면서 그 젊은 커플의 예쁜 데이트에 감정적 지원을 보내고 싶다고 했다. 


3. 앰퍼씨 (Empathy, 감정이입)

[크기변환]앤디 워홀.jpg
앤디워홀

대학 시절 아르바이트로 앤디 워홀(Andy Warhol, 1928-1987)의 일기를 대신 써 주었던 팻 해캣은 앤디 워홀이야말로 굉장한 컴패션(compassion)을 가진 예술가라고 말했다. 

워홀의 작업실 '팩토리(The Factory)'에서 일을 하면서 다른 사람의 감정을 존중하고 그들에게 감정이입(앰퍼씨, empathy)을 느꼈던 앤디 워홀은 늘 고맙다는 말을 달고 살았다고 한다. 

 "그는 예의 바르고 겸손한 사람이었다. 누군가에게 일을 '시키는' 적은 거의 없었다. 대신 기대에 찬 어조로 '이거 할 수 있을 것 같아?'라고 물어보곤 했다." 그러면서 "그는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이 중요한 존재라고 느끼게 해주었다. 

나는 지금까지 워홀처럼 감사하다는 말을 많이 하는 사람을 본 적이 없고, 말 뿐만 아니라 정말로 고마워하는 느낌을 받았다. 
그가 죽기 전 나에게 마지막으로 한 말도 '고마워요'였다." 

[크기변환]Andy Warhol, Campbell's Soup Cans, 1962.jpg
Andy Warhol, Campbell's Soup Cans, 1962


앤디 워홀은 1950년대 중반에 영국에서, 그리고 1950년대 말에 미국에서 출발해1960년대 초엽에 뉴욕을 중심으로 성장한 미술의 한 장르인 팝 아트(Pop Art)의 대표적인 작가 중 한 명이다. 

1950년대 미국과 영국에서는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가 최고치에 이른 것을 배경으로 한편으로는 당시 주류를 이루던 추상 표현주의에 반작용 또는 확장으로 팝 아트의 붐이 일어났다. 


[크기변환]Roy Lichtenstein, Pop Art Issue, 1966.jpg
Roy Lichtenstein, Pop Art Issue, 1966

(다음에 계속…)

유로저널칼럼니스트아트컨설턴트 최지혜

메일 : choijihye107@gmail.com

블로그 : blog.daum.net/sam107

                                                 페이스북 : Art Consultant Jihye Choi

유로저널광고

  1.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Date2024.06.02 Category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By편집부 Views15
    read more
  2.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Date2021.05.03 Category이윤경의 예술칼럼 By편집부 Views4806
    read more
  3.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Date2019.01.29 Category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By편집부 Views19844
    read more
  4. 누구나 아는, 누구나 사용하는 것이 예술작품이 되다.

    Date2018.10.28 Category최지혜 예술칼럼 By편집부 Views1219
    Read More
  5. 취업비자자 결혼 및 동반비자와 영주권

    Date2018.10.28 Category영국 이민과 생활 By편집부 Views997
    Read More
  6. 33. 불행의 영역, 자기 의

    Date2018.10.28 Category제임스강의 행복나침반 By편집부 Views821
    Read More
  7. 영국이민 솔렙비자와 해외체류

    Date2018.10.16 Category영국 이민과 생활 By편집부 Views1543
    Read More
  8. 영생은 곧 유일하신 참 하나님과 그의 보내신 자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것이니이다

    Date2018.10.16 Category아멘선교교회 칼럼 By편집부 Views1510
    Read More
  9. 테오가 걸으며 이야기 하는 서사시와 같은 프랑스 -프로방스 깊숙히 시간이 정지된 아름다운 흔적들

    Date2018.10.15 Category테오의 프랑스이야기 By편집부 Views1161
    Read More
  10. 32. 불행이 불가능한 영역

    Date2018.10.15 Category제임스강의 행복나침반 By편집부 Views799
    Read More
  11.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 (5) - 아를르(Arles)에서 만난 순수한 와인들

    Date2018.10.15 Category유로저널 와인칼럼 By편집부 Views1163
    Read More
  12. 박심원의 영화로 세상 읽기 (27): 뷰티 인사이드

    Date2018.10.15 Category박심원의 사회칼럼 By편집부 Views1744
    Read More
  13. '일단 유명해져라, 그렇다면 사람들은 당신이 똥을 싸도 박수를 쳐 줄것이다.'

    Date2018.10.14 Category최지혜 예술칼럼 By편집부 Views1450
    Read More
  14. 휴학과 방문입국 및 10년 영주권

    Date2018.10.10 Category영국 이민과 생활 Byeknews02 Views1275
    Read More
  15. 영생은 곧 유일하신 참 하나님과 그의 보내신 자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것이니이다

    Date2018.10.10 Category아멘선교교회 칼럼 Byeknews02 Views1534
    Read More
  16. 테오가 걸으며 이야기 하는 서사시와 같은 프랑스 -프로방스 깊숙히 시간이 정지된 아름다운 흔적들

    Date2018.10.10 Category테오의 프랑스이야기 Byeknews02 Views1027
    Read More
  17. 31. 행복을 추구한 불행의 손길

    Date2018.10.07 Category제임스강의 행복나침반 Byeknews02 Views956
    Read More
  18. 박심원의 영화로 세상 읽기 (26): 협상

    Date2018.10.07 Category박심원의 사회칼럼 Byeknews02 Views1396
    Read More
  19. 욕망의 고리의 열쇠

    Date2018.10.07 Category최지혜 예술칼럼 Byeknews02 Views1204
    Read More
  20. 박심원의 영화로 세상 읽기 (25): 굿모닝 프레지던트

    Date2018.10.03 Category박심원의 사회칼럼 Byeknews02 Views930
    Read More
  21. T2비자 영주권자격과 비자연장

    Date2018.10.03 Category영국 이민과 생활 Byeknews02 Views1234
    Read More
  22. 생은 곧 유일하신 참 하나님과 그의 보내신 자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것이니이다

    Date2018.10.03 Category아멘선교교회 칼럼 Byeknews02 Views3265
    Read More
  23. 테오가 걸으며 이야기 하는 서사시와 같은 프랑스 -프로방스 깊숙히 시간이 정지된 아름다운 흔적들

    Date2018.10.01 Category테오의 프랑스이야기 Byeknews02 Views1431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