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181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자정 능력 없는 사법부, 국회가 나서서 탄핵하라


법이 국민들을 보호해주지 못한다는 생각의 반대편에서는 법이 권력과 돈 앞에서만 관대한 태도를 보인다는 목소리로, 우리 국민들에게는 의지와 다르게 영원한 진리로 인식되어온 지 오래다. 마치 한 국가의 숙명적인 관습처럼 되어 버렸다.


트렌드모니터가 전국 만 19세~59세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우리나라의 '법(法)'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살펴본 결과, 우리 국민 전체 10명 중 9명(88.8%)이 여전히 한국사회는 '유전무죄, 무전유죄'의 사회라는데 공감함으로써, 사법부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도는 공공기관중에서 최하중에 하나일 정도로 신뢰가 크게 무너졌음을 여실히 보여 준다.


또한,  '법원'을 신뢰하는 편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10명 중 2명(19.9%)에 불과할 정도로 법원에 대한 신뢰도는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국민을 보호하는 '최후의 보루'라고도 불리던 사법부에 대한 신뢰가 얼마나 실추되었는지를 느낄 수 있다. 결국은 사법부는 우리 국민들에게는 '적폐의 대상'일 뿐이다.


이러한 사법부에 사법농단의 핵심 기구인 법원행정처 대체안, 막강한 인사권을 휘둘러왔던  ‘제왕적 대법원장’ 체제 개혁 등에 대해  ‘셀프 개혁’을 기대했던 것은 역시나 애시당초부터 무리였다.


김명수 대법원장이 12일  법원행정처를 통해 국회에 제출한 사법개혁안은 대법원장에게 집중된 권한을 대부분 넘겨받게 될 사법행정회의의 권한과 역할을 축소했을 뿐만 아니라,  일선 판사들을 통제하는데 이용돼온 대법원장의 무소불위의 인사권도 별반 개선되지 않아 대법원장 1인에게 쏠린 권한을 분산해 사법농단 사태 재발을 막겠다는 취지가 퇴색했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이번 사법부의 '셀프 개혁안'은 법원 내부 기득권과 대법원장의 권한 유지를 고집하고 있어, 김 대법원장의 사법개혁 의지에 대해 의구심을 갖을 수 밖에 없게 되었다.


게다가 사법부는 임종헌 전 법원행정처 차장이 구속된 이래 사법농단 수사에 탄력을 가할 것으로 기대된 박병대·고영한 전 대법관에 대한 구속영장을 기각시킴으로써 또다시 ‘방탄법원’이라는 비아냥을 듣고 있다. 


결국 헌정 질서를 교란하며 무고한 피해자를 양산한 사법농단의 죄를 명백히 밝히고 철저히 단죄할 생각 없이 개혁 운운해 온 데다가, 18일에는 대법원 법관징계위원회가 사법농단 관련 법관 3명에게 정직 3~6개월, 4명에게는 감봉 3~5개월, 1명 견책, 나머지 5명은 불문에 부치거나 무혐의 결정을 내리는 등 심의 결과를 발표했다. 


김명수 대법원장은 이들을 징계위에 회부하며 “살을 도려내는 아픔을 감수”한다고 했으나, 시늉만 낸 솜방망이 처벌로 끝내 사법농단 사태를 보는 사법부의 안이한 인식과 국민 시선은 개의치 않겠다는 오만한 태도가 고스란히 묻어난다.


법관은 헌법상 신분이 보장돼 최고 징계는 정직 1년이고 감봉은 1년까지만 가능해 애초부터 한계가 있음은 인정하지만, 우리 국민들은 또한 청와대와 상고법원 거래를 위해 양승태 대법원이 ‘협력 사례’로 꼽은 판결 목록과 동료 법관 사찰 결과를 정리한 리스트도 다 알고 있다. 


자신들의 말처럼 '살을 도려내는 아픔'을 감내해야 하는 것을 거부하는 등 법원 스스로 자정능력을 상실한 것이 밝혀진 이상, 더이상 어뭇거림없이 국민의 대표인 국회가 나서 탄핵절차를 밟아 엄단해야 한다.



다운로드.jpg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2119 통진당 해산과 민주주의,그리고 헌재의 미래 file 2014.12.25 2574
2118 임진년 그 시작을 맞아 file 2012.01.24 2572
2117 국가안보의 기본부터 다져야 file 2012.10.18 2569
2116 감세정책 철회 논쟁 2010.11.17 2565
2115 영국도 개천에서 용이 나지 않는다 2009.07.24 2559
2114 대한민국 저출산의 늪, 대책 마련에 더 적극 나서야 file 2014.11.25 2549
2113 정권의 눈치만 보고 있는 대한민국 공영방송의 몰락 file 2014.05.13 2549
2112 자살 공화국에 대한 책임은 그 사회와 국가에 있다. file 2014.06.03 2543
2111 일제지배와 친일, 독재조차도 찬사하는 역사 왜곡 교과서는 영구히 추방되어야 한다. file 2014.01.07 2540
2110 국민들은 진정한 사과를 원한다 file 2013.04.03 2538
2109 작은 정부, 큰 정부 2006.05.29 2538
2108 김미화씨의 한국방송(KBS) '블랙리스트' 2010.07.20 2530
2107 유럽 한인 사회에 가장 필요한 정신, 나눔 2010.02.03 2529
2106 박 대통령이 직접 친박 해체하고 탕평책 통해 창조정치해야 file 2016.04.26 2526
2105 재영 한인 런던올림픽 지원단에 대한 유감 2012.03.10 2523
2104 PIGS의 재정위기와 유럽연합 2010.02.23 2522
2103 새로운 60년을 위해 2006.05.29 2518
2102 연평도 도발에 대한 중국의 과제 2010.11.30 2514
2101 네팔 지진 복구 아낌없는 지원을 바란다. file 2015.05.05 2498
2100 씁쓸한 4대강 준공행사 2011.10.25 2496
Board Pagination ‹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15 Next ›
/ 1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