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하재성의 시사 칼럼
2019.02.12 03:26

명분과 실리 (5회)

조회 수 120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하재성의 시사 칼럼 (5) -


명분과 실리



2017년 개봉한 '남한산성'은 김훈의 동명 소설을 영화화한 것으로 1636년 병자호란 당시 고립무원의 남한산성에서 갇혀 나라의 운명을 결정했던 47일간의 역사를 다룬다. "적의 아가리 속에서도 분명 삶의 길은 있다." "그 삶은 곧 죽음이다. 한 나라의 군왕이 어찌 치욕스러운 삶을 구걸하느냐." 영화는 현실에서 삶의 길을 찾는 주화파(主和派)의 대표 최명길과 대의명분을 목숨보다 중시하는 척화파(斥和派)의 대표 김상헌의 치열한 설전을 잘 담고 있다. 당시 조선의 지배사상은 명분과 체면을 중시한 주자학이었다. 이런 조선의 지배사상 하에서는 명분이 실리보다 훨씬 정의롭고 바른 길로 보였을 것이다.

크게는 국내외 정치에서, 작게는 개인의 일상에서 명분과 실리는 끊임없이 충돌한다. 영화에는 나오지 않지만, 자결을 시도한 김상헌은 죽지 않고 살아남았고 나중에 청나라로 끌려갔다. 최명길 역시 이후에 명나라와 비밀 교섭을 도모한 사실이 발각돼 청으로 압송됐다. 이 때 조우한 두 사람은 의심을 풀고 서로의 진심을 이해했다고 전해진다. 결국 두 사람은 명분주의자면서 동시에 실리주의자였던 것이다. 정치에서 명분과 실리를 억지로 나누는 일은 부질 없는 일일지도 모른다. 어쩌면 정치란 영원한 숙제 같은 명분과 실리 사이의 황금률을 찾아가는 과정일 수도 있다.


신헤원 부동산.jpg

(손혜원 측근들이 구입한 부동산 : 출처 한국일보)


영국에서 브렉시트를 둘러싼 논쟁이 치열한 동안, 한국에서는 신혜원 의원을 둘러싼 정치권의 공방이 장기간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전라남도 목포의 낙후한 구도심의 부동산을 대량 매입한 것이 투기 (개인의 실리추구)냐 아니면 문화 사랑에서 우러난 정책결정 행위 (국회의원으로서 공무 행위)냐를 놓고 벌어지고 있는 논란의 핵심은 선출직 국회의원으로서 이익충돌의 의무를 위반했느냐와 행동규범을 준수했느냐의 문제일 것이다. 

손혜원 의원의 이익충돌 의혹과 관련하여 제기된 사항은, 그가 친인척과 지인들을 설득하거나 정보를 제공해 목포 구도심에 있는 부동산을 집중적으로 매입했고, 그 와중에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여당 간사로 활동하면서 해당 지역의 등록문화재 지정을 촉구하는 취지로 발언하여 공직자로서 이해충돌 금지 의무를 저버렸다는 것이다. 이 주장은 ‘공직자가 자신이 수행하는 직무가 자신의 재산상 이해와 관련해 공정한 직무 수행이 어려운 상황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공직자윤리법 등에 기반한다. 

반면 손의원은 국회의원이 되기 전부터 문화재단을 운영했고 문화재에 관심이 많았다면서 2017년 대통령 선거를 돕기 위해 목포에 방문했다가 목포에 있는 버려진 목조 주택과 공장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문화적으로 목포가 재생시킬만한 곳이라는 생각이 들어 주변 사람들에게 목포에 내려가라고 독려했다고 항변하고 있다. 

국회의원 행동 규범은 선출직 의원으로서 공식적인 자격으로 행동하거나 발언할 때 적용된다. 즉, 소속위원회에 참석하여 발언하거나 국회의원으로서 이메일을 보내거나, 국회의원 자격으로 공청회 등에 참석할 때에는 이 규범이 적용된다. 당연히 개인 자격으로 결혼식에 참여한다거나 모임에 참석하는 경우에는 이 규범이 적용되지 않는다. 

킹스톤 시의 경우 선출직 의원에게 요구하는 기본 자세는 사심 없는 행동, 진실성, 객관성, 책임감, 개방성, 정직성, 리더쉽 등이다. 또, 의무사항으로는 타인을 존중하고, 타인을 괴롭히지 말고, 누구나 평등하게 대하고, 관리들을 공평하게 절충하고, 자신의 사무실이나 조직을 분쟁에 끌어들이는 않도록 행동하고, 기밀사항을 유출하지 말고, 타인에게 부적절한 이익이나 불이익을 주지 말고, 자신이 사용하는 공적자산을 사적으로 부당하게 사용하지 말 것 등을 요구하고 있다.


촛불혁명.jpg

(손혜원 측근들이 구입한 부동산 : 출처 한국일보)


항상 대중의 평가 앞에 자신을 내보여야 하는 정치인에게 있어 대의명분과 국가적, 사회적 실리는 반드시 추구해야 할 가치기준의 중심에 있다. 이는 윤리적 기준과 법적 잣대에서 앞서 정치인으로서의 존재의 이유이기도 하다. 손의원 사태를 보면서 법률 위반 여부를 떠나 막강한 권한과 정보를 가진 손의원이 국회의원으로서의 정치적 윤리나 사회정의에 어긋나는 행위를 하지 않았는지 궁금하다. 

1,000만명 이상이 참여해 국정농단을 심판한 '촛불혁명' 이후 실시된 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촛불혁명의 종착점은 권위주의 통치의 종식과 반칙과 특권 없는 공정사회가 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당시 정치권은 이원집정부제나 4년중임제 등 권력구조 개편에 더 관심을 보이지만, 국민은 재벌과 권력의 유착 철폐에 더 주목하고 있었다. 특히 2030세대가 비리의 온상이 된 재벌-권력 유착관계에 분노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직도 국민의 뜻을 헤아리지 못하고 제 밥그릇 챙기기에 더 바쁜 정치인과 고위 공직자는 없는지 국민의 철저한 감시와 견제가 필요하다.




하재성.jpg 

하재성

jaesungha@yahoo.com

유로저널 칼럼니스트

킹스톤 시의원 (Councillor of Kingston upon Thames)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798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34
1556 유로저널 와인칼럼 프랑스 와인 기행 55 : 2015년 서울, 불멸의 와인 마데이라 file eknews10 2015.12.14 3567
1555 오지혜의 ARTNOW yBa(young British Artist)의 대부 마이클 크레이크 마틴(Michael Craig-Martin) file eknews 2015.12.14 3868
1554 허유림의 문화예술 경제 칼럼 21세기 새로운 자본, 그림 값의 가격 결정 요소 file eknews 2015.12.14 7548
1553 영국 이민과 생활 비자용 IELTS와 자녀동반체류 가능여부 eknews 2015.12.15 1710
1552 최무룡의 영국 회계 칼럼 국세청 세무감사 – 벌금 HMRC Tax Investigations – Penalties eknews 2016.01.01 2326
1551 영국 이민과 생활 올 11월 변경된 학생비자 과정별 수업연한 eknews 2016.01.01 1930
1550 최지혜 예술칼럼 54 -삶의 기쁨에서의 절정과 아름다움의 서비스를 모두 함께 전달해 주는 것은 바로 예술이다2 file eknews 2016.01.01 2443
1549 허유림의 문화예술 경제 칼럼 21세기 새로운 자본, 그림값의 결정요소 2 file eknews 2016.01.01 4101
1548 사브리나의 오페라 칼럼 작곡가 사브리나의 오폐라 이야기 5 쥬세폐 베르디(Giuseppe Verdi)의 맥베스(Macbeth) file eknews 2016.01.01 4546
1547 오지혜의 ARTNOW 런던 아트씬의 새로운 거점, 이스트엔드(East End)의 First Thursday file eknews 2016.01.02 3734
1546 그리니의 명상이야기 자존심 건드리기 eknews 2016.01.02 1337
1545 그리니의 명상이야기 한마디 툭 eknews 2016.01.10 1297
1544 최지혜 예술칼럼 55 -삶의 기쁨에서의 절정과 아름다움의 서비스를 모두 함께 전달해 주는 것은 바로 예술이다3 file eknews 2016.01.10 2369
1543 오지혜의 ARTNOW 게임의 법칙을 지배하는 자, 데미안 허스트 file eknews 2016.01.12 6149
1542 허유림의 문화예술 경제 칼럼 21세기 새로운 자본, 그림값의 결정요소 3 file eknews 2016.01.12 3048
1541 사브리나의 오페라 칼럼 사브리나가 읽어주는 음악이야기 6 주세폐 베르디(J Verdi)의 오폐라 운명의 힘(La Forza deldestiono) file eknews 2016.01.12 9509
1540 최무룡의 영국 회계 칼럼 국세청 세무감사 – 벌금 2 HMRC Tax Investigations – Penalties 2 eknews 2016.01.12 2271
1539 영국 이민과 생활 2016년 올해 영국이민 정책과 비자별 방향 eknews 2016.01.12 2617
1538 최지혜 예술칼럼 삶의 기쁨에서의 절정과 아름다움의 서비스를 모두 함께 전달해 주는 것은 바로 예술이다4 file eknews 2016.01.17 9563
1537 유로저널 와인칼럼 이제는 스페인이다! 2015 럭셔리 스페인 와인. file eknews 2016.01.18 16811
Board Pagination ‹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