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에이미리의 파리에서 랑데뷰
2019.05.08 00:47

1901, 조르주 뒤크로 (Georges Ducrocq) 의 조선기행

조회 수 146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파리에서 에이미와 헝데부 (Rendez-vous) (13)


1901, 조르주 뒤크로 (Georges Ducrocq) 의 조선기행



"가진것이 별로 없어도 조선인들은 행복하다" (조르주 뒤크로)


조선말기때 기록된 프랑스인들의 조선에 대한 인상은 항상 많은 여운과 아득함을 남긴다.


지금으로부터 118년전 1901년 26세의 감수성이 예민한 프랑스 시인 조르주 뒤크로( Georges Ducrocq 1874-1927) 는 시베리아 만주 북경을 거쳐 배를타고 민속학 학자였던 루이마랭 ( Louis Marin 1871-1960)과 12월 5일 제물포에 도착했다. 조르주 뒤크로는 예민하고 섬세한 시각으로 가난하고 무지했던 조선을 가련하고 정다운 나라라는 표현으로 조선에서의 기록을 1904년 책으로 발표했다(Pauvre et Douce Coree).


특히 조선시대 여인들의 아름다움, 부지런함과 총명함을 발견하고 또 서민들의 한양거리에서의 일상생활이나 조선의 생활풍습들을 전혀 다른 문화가 아닌 어디서나 발견할 수 있는 우리의 내면으로 따뜻하게 이해하였음을 엿볼 수 있다.



IMG_0251.jpgIMG_0278.jpg


루이 마랭은 자신의 민속학 분류에 따라 사진을 찍고 정리하였으며 그의 사진은 형식적이지 않고 자연스러우며 역동적으로 조선에 대한 기록을 표현하였다. 


백인 우월의 편견이 배제된 시각에서 조선의 문화와 역사를 인간적인 관점에서 관찰하고 표현하며, 형식적인 역사적 사실보다는 미래에 갖게 될 의미를 우리에게 부여하고 있다.


-책속으로


"처음에는 굴뚝 연기에 휩싸인 이 초가가 가득한 이 마을이 조선의 수도인 한양이라고 믿어지지가 않는다. 그러나 끝없이 늘어선 초가집과 시가를 둘러싸고 있는 성곽, 웅장한 성문들을 보게 되면 더 이상 의심의 여지가 없어진다. 


여기가 바로 한양이며, 한양은 마치 겉보기가 볼품없는 농촌의 아낙 같아 보인다. 초가을은 꾸밈이 없어 보이며 무척 가난해 보이기는 하지만 결코 처량하지는 않다. 아주 맑고 은은한 햇빛이 이 가난해 보이는 정경을 감싸 앉는다.


맑은 날 북한산 정상에 오르면 조선 영토의 대부분이 보인다. 이 나라는 산지가 많은 데 사방으로 솟은 산으로 인해 마치 바둑판처럼 나뉘어졌고 많은 바위와 계곡들은 옛 풍속과 고지식한 관습을 굳게 지키고 있다. 


남산에 오르면 한양의 넓은 공간과 연기가 피어오르는 지붕의 소박함, 이것들을 둘러싸고 있는 산들을 모두 다 볼 수 있다.


북악산은 수도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성벽과 정상에는 망루 등이 남아있다, 북악산에 오르려면 사대문중 하나를 빠져나와 북경까지 이루게 되는 황제로를 따라간다.


 이 길은 예전에 중국사신들이 오가던 길로 한양에 연호를 가져오거나 지참금을 가진 왕녀를 동반하고 오던 길이였지만, 일본군이 중국으로부터의 독립을 경축하기 위해 '독립문' 을 세웠다.


 그렇지만 조선인들은 이런식의 독립에 큰 긍지를 느끼지 않았다.


한양의 사대문밖 들판은 아름답다. 여기저기 언덕이 보이며, 습격이 많고 고요해보이는 계곡들과 소를 끌고가는 농부들, 머리에 항아리를 이고 우물로 가는 아낙네들, 아무도 서두르지 않고 햇빛이 맑고 바람이 가볍게 이는 이렇게 평온한 나라에 사는 조선인들은 평화롭게 보인다.


한양의 문앞에 있는 시골은 웃음이 넘치고 언덕이 많으며 여러 겹의 조용한 골짜기가 있어 마을 사람들은 밤나무 아래에서 잠을 자고 있다. 밭은 논밭이 있지만 문화는 나무를 존중하며 항상 버드나무의 멋진 줄기가 떨리고 있다.


여인네들은 아름다운 긴 검은머리를 만지며 여유롭고 서두르지 않는다. 


조선의 빛은 아름답다. 공기 빛, 평온한 나라의 좋은 사람들.


한국학자들은 중국어를 배우고 고전처럼 중국어로 시를 작곡하며 그들의 삶, 슬픔, 꿈을 노래한다.




이 산, 푸른바다


하루만에 만들어지지 않았다.


그들은 크게 증가했고 나의 젊음은 성장했다.


한 해를 보내고 내 인생의 절반은 벌써 가 버리고


다시는 나는 젊지 않을것이다. 결코 다시는 없을것이다.


적어도 내가 늙어가는 것을 멈출 수만 있다면!


내 머리가 다시는 백발로 변하지 않을 비밀을 알았다면! 



IMG_0253.PNG 조르주 뒤크로의 책 속의 루이 마랭 사진 ‘1901년 한양’2.PNG

조르주 뒤크로의 책 속의 루이 마랭 사진 ‘1901년 한양’.jpg


그는 조선에 대해서-


"중국이나 일본과는 다른 독특함이 있다"


"얼굴 표정은 온화하며 눈은 꿈을 꾸는 듯하고 행동에는 무사태평과 관용이 엿보인다"


"한민족은 항상 눈을 맞은 듯한 그들의 아름다운 의관을 고수하고 있다"


"아이들은 미래의 운을 띄워 연날리기를 한다... 얼마나 재미있게 사는 민족인가"


"친절하고 우아하고 가난하지만 꿈을 꾸는 이 민족에게 악한 점은 찾아 볼 수가 없다"


그는 조선 사람들은 소박하고 평화로운 삶을 살기를 바란다고 생각했다,


한국인은 근본적으로 친근한 민족이며 외국인에게 적대적이거나 폐쇄적이지 않았다는 조선을 방문했던 서양인들의 기록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풍운의 한말사를 접하면서 100년 한 세기의 짧고도 긴 시간속에 묻힌 과거 이지만 조선이 겪어야했던 구한말의 역사상 비극적 운명을 우리는 가슴아프게 기억한다. 갑오경장, 청일전쟁, 을미사변을 겪으며 지냈던 이 역사의 경험으로 우리의 역사는 어디서 왔고 또 어디로 갈 것인지 깊이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그가 보았던 조선은 10년후인 1910년 역사속으로 사라지고 말았지만 한민족의 눈 같은 맑고 순수함은 동방의 아름다운 나라로 영원히 기억되고 있을 것이다.


"정복자들이 조선의 내밀한 곳은 거들떠보지도 않고 대로를 통해 지나가는 까닭에


독특한 조선에 외국인의 발길이 닿지 않는 한산하고 은밀한 오솔길은 언제나 남아있을것 이다 "


-조르주 뒤크로


참고 문헌: << Pauvre et Douce Coree>> 조르주 뒤크로 글( Georges Ducrocq ) / 루이 마랭( Louis Marin ) 사진



<< 가련하고 정다운 나라 조선>> 번역본 최미경 역주



 프랑스 유로저널 에이미리 기자


eurojournal29@eknews.net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8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799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37
619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프랑스 예술산책 : 살인의 시대, 혁명의 바람이 피 바람으로.. (1) file eknews 2015.09.22 3196
618 최무룡의 영국 회계 칼럼 조세피난처 그리고 역외탈세 TAX HAVENS & OFFSHORE EVASION eknews 2015.09.21 1938
617 그리니의 명상이야기 나의 기준이 옳은가 eknews 2015.09.20 1555
616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 예술칼럼(42) 날마다 세상과 만나라 2 file eknews 2015.09.20 2150
615 영국 이민과 생활 한국서 영국비자 신청 결핵검사 영어시험 eknews 2015.09.15 3966
614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프랑스 문화 예술 산책 - 강간 그리고 예술적 살인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치 file eknews 2015.09.14 3017
613 최무룡의 영국 회계 칼럼 아마존과 세금 AMAZON & TAX eknews 2015.09.14 2743
612 그리니의 명상이야기 나는 소인이로소이다 eknews 2015.09.13 1305
611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 예술칼럼(41) 날마다 세상과 만나라 1 file eknews 2015.09.13 2494
610 영국 이민과 생활 영국에서 결혼한 이후 한국에서 배우자비자 신청 eknews 2015.09.08 3611
609 그리니의 명상이야기 우주의 심정 eknews 2015.09.07 1324
608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 예술칼럼(40) 예술이 삶에 대한 해석이자 제기(提起)이다 3 file eknews 2015.09.07 2848
607 최무룡의 영국 회계 칼럼 스타벅스 커피와 세금 STARBUCKS COFFEE & TAX eknews 2015.09.07 2899
606 영국 이민과 생활 영주권자 해외 출생 아이 입국영주권 eknews 2015.09.01 2527
605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프랑스 문화 예술 산책, 빛과 어둠의 시대 – 살인의 계절 file eknews10 2015.08.31 3173
604 유로저널 와인칼럼 박 우리나라의 프랑스 와인 기행 52 : 프랑스 와인 자습서 제8장 루아르(Loire) – 3 file eknews 2015.08.31 2464
603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 예술칼럽(39) 예술이 삶에 대한 해석이자 제기(提起)이다 2 file eknews 2015.08.30 3186
602 그리니의 명상이야기 무엇을 위하여 자신을 바치나 eknews 2015.08.30 1466
601 최무룡의 영국 회계 칼럼 중계무역 INTERMEDIATE TRADE & TAX eknews 2015.08.30 3641
600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프랑스 예술산책 : 철의 여인 에펠탑 (La Dame de Fer La Tour )Eiffel file eknews 2015.08.24 4260
Board Pagination ‹ Prev 1 ...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