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322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먹고 마시면서 발전하는 문화


문명의 출발은 음식에서 시작하였다.



기원전 6000년 경의 메소포타미아에서는 가뭄과 홍수를 극복하기 위하여 농업 생산을 늘려야 했다. 당시 농민들은 바다로 흘러가 버려지는 물을 관리하고 다스리기 위하여 보와 댐을 만들고 운하를 건설했다. 기원 전 3500 년 경 전 세계 인구를 3 천만 명으로 추정한다. 바퀴 달린 수레가 나타나고 문자가 만들어 진다. 


기원 전 24세기 아카드 제국은 다른 왕국들을 정복하고 기원 전 23세기 도시 국가 라가쉬의 구데아 왕조는 여러 왕국으로 분열되었다. 구데아 왕은 최초의 알파벳을 만든 자로 알려져 있다.  



테01.jpg


인류 최초의 알파벳을 창제한 라가쉬의 구데아 왕



기원전 2100년 우르 남무가 창건한 우르가 주변 왕국들을 지배하였다. 이어서 우리에게 그 유명한 법전으로 알려진 함무라비 왕의 바빌로니아가 기원전 2005년부터 1595년 까지 지배한다. 



테02.jpg


3700년 전 바빌로니의 왕 함무라비의 법전





지중해 동양 사람들의 음식 문화 



당시 바빌로니아의 가난한 사람들의 주식은 빵이었다. 당시 200여 가지의 빵이 꿀과 향신료를 배합하여 만들어져 시장에 공급되었다. 


부유한 사람들은 돼지고기를 먹으며 마늘과 양파,과일로 사과, 포도 열대 대추를 곁들이고 타조알과 민물고기를 즐기고 버섯과 야채, 피스타치오를 먹었다.


기원 전 2천년 대부터 포도주와 맥주를 마셨으며 각 가정에는 술 항아리를 가지고 있었다.


음식을 나누며 대화 하는 것은 평화의 상징이다. 음식 나누기를 거부한다는 것은 적대감을 드러낸 것이든지 음식에 독을 넣는 신호였다.


음식을 나누며 언어가 발달하고 문자가 만들어진다. 음식을 나누는 행위는 연회로 발달하고 사회적인 지위와 권위를 상징하기도 한다.


연회의 장은 주방을 책임지고 총 관리한다. 신전에도 음식을 준비하는 다양한 전문 분야가 등장한다. 

연회의 주인공들은 신들이 되기도 하고 인간들이 되기도 한다. 


  

테03.jpg


신이며 인간인 예수의 최후의 만찬. 자리의 위치가 권위와 권력의 서열을 정한다. 



연회의 의식은 권력의 서열을 정한다. 자리가 권력의 상징이다. 식사는 하나의 의식이다. 음악을 하는 사람들 무용수가 등장하고 재주꾼이 등장한다. 


음식만 먹는 것이 아니다. 기록에 따르면 전쟁 시에는 적군의 몸을 뜯어 먹기도 하였다. 영혼이 담긴 그 육신을 먹는다. 굶주림은 가까운 친인척을 잡아 먹기도 하였다. 


기원 전 4세기 말 다리우스 대왕 시절 뉴기니아에서 사탕수수를 발견하였을 때 기록에 따르면 “벌들의 노력 없이 꿀을 주는 갈대 나무”를 찾았다고 흥분하고 있었다



테04.jpg


사탕수수



그 이후 수 천년 동안 설탕은 아주 귀하고 아주 값진 상품이었다. 



(다음에 계속)

                     

유로저널 칼럼니스트 테오
bonjourbible@gmail.com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21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819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64
1680 전문대 졸업자도 영국취업비자 신청가능 한가요? eknews 2012.04.24 8409
1679 아멘선교교회 칼럼 전날 17, 18년 깡패였던 박영문 목사의 천국과 지옥의 증언 file 편집부 2018.04.04 1506
1678 최지혜 예술칼럼 잭슨을 감동시켰다 file 편집부 2020.02.02 2769
1677 최지혜 예술칼럼 재스퍼 존스 : 생존 작가 미술 작품 중 가장 비싼 이유 (6) file 편집부 2022.03.11 235
1676 최지혜 예술칼럼 재스퍼 존스 : 미국 미술의 영웅 (5) file 편집부 2022.03.11 63
1675 최지혜 예술칼럼 재스퍼 존스 : 마음/거울 file 편집부 2022.03.10 56
1674 최지혜 예술칼럼 재스퍼 존스 : “라우센버그가 들라크루아라면 재스퍼 존스는 앵그르다” (4) file 편집부 2022.03.11 156
1673 최지혜 예술칼럼 재스퍼 존스 : “나는 다른 사람이 했던 게 아니라, 단지 내가 해야 할 것을 하기로 결정했다” (3) file 편집부 2022.03.11 153
1672 최지혜 예술칼럼 재스퍼 존스 : “나는 그림이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는 전혀 모른다” (2) file 편집부 2022.03.10 163
1671 최무룡의 영국 회계 칼럼 재산상속세 eknews 2015.02.10 2586
1670 허유림의 문화예술 경제 칼럼 잘못된 장소와 시간, 자아가 없는 우리 file eknews 2017.01.16 1993
1669 최지혜 예술칼럼 작업하는 동안 내가 무엇을 그리는지 나는 모른다- 피카소4 file eknews 2017.07.03 4870
1668 사브리나의 오페라 칼럼 작곡가 푸치니(Puccini)의 라 보엠(La boheme) file eknews 2016.08.23 4375
1667 사브리나의 오페라 칼럼 작곡가 사브리나의 오폐라 이야기 5 쥬세폐 베르디(Giuseppe Verdi)의 맥베스(Macbeth) file eknews 2016.01.01 4546
1666 사브리나의 오페라 칼럼 작곡가 사브리나의 오폐라 이야기 4 지아꼬모 푸치니(Giacomo Puccini)의 마농 레스꼬(Manon Lescaut) file eknews 2015.12.14 4220
1665 사브리나의 오페라 칼럼 작곡가 사브리나의 오폐라 이야기 3 레옹 카발로의 팔리아치 ( Pagliacci) file eknews 2015.12.07 3790
1664 사브리나의 오페라 칼럼 작곡가 사브리나가 읽어주는 오페라 이야기 2 -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file eknews 2015.11.30 3966
1663 사브리나의 오페라 칼럼 작곡가 사브리나가 읽어주는 오페라 이야기 1 - 오페라 Bizet의 카르멘 file eknews 2015.11.24 3361
1662 사브리나의 오페라 칼럼 작곡가 사브리나 ( Sabrina SDHY Park Kim) 소개 eknews 2015.12.03 3716
1661 최지혜 예술칼럼 자화상에 대한 고찰; 신디 셔먼 1 file 편집부 2023.09.20 142
Board Pagination ‹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