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  | |||||||||||||||||||||||||||||||||||||||||||||||||||||||||||||||||||||||||||||||||||||||||||||||||||||||||||
| 
 | |||||||||||||||||||||||||||||||||||||||||||||||||||||||||||||||||||||||||||||||||||||||||||||||||||||||||||
| 
 |  
										2019.06.26 03:21				 유럽연합, 2030년까지 석탄 화력발전 퇴출 계획 불발 가능성 높아
																																			조회 수 3674					추천 수 0					댓글 0									 유럽연합, 2030년까지 석탄 화력발전 퇴출 계획 불발 가능성 높아 유럽연합(EU)이 EU의 파리 기후협정 목표달성을 위해 2030년까지 석탄 화력발전 종료 계획에 6 개국만 호응하고 있어 관심이 모아진다.  이렇게 되면, EU가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최소 40%의 온실가스를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이다.     유럽은 2015년 파리 협정 체결 이후 오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과 비교해 4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린피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0년 이후 7년간 석탄화력발전소를 운영했거나, 건설 계획 중이던 1675개 발전회사 중 25% 이상이 관련 사업을 철폐했다. 특히 벨기에와 스코틀랜드는 작년 6월 기준으로 석탄발전 용량이 0이다.  하지만, EU 집행위 발표에 따르면 프랑스는 2022년, 이탈리아와 아일랜드는 2025년, 덴마크, 스페인, 네덜란드, 핀란드 및 포르투갈은 2030년까지 석탄 발전을 완전 중단키로 약속해 6 개국만 발표하고 나머지 국가들은 침묵하고 있다. EU 최대 온실가스 배출국으로 EU 석탄 소비의 약 1/3을 차지하는 독일도 조만간 석탄 화력발전 중단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2035~2038년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석탄 화력발전 퇴출을 결정한 8개 회원국의 사용량 합계는 EU 전체 사용량의 20%에 불과, 나머지 20개 회원국이 석탄 화력발전 퇴출에 소극적으로 나올 경우 2030년에도 현재 석탄 사용량의 40%가 계속해서 사용될 전망이다. 한편, EU는 2050년까지 모든 회원국의 탄소중립경제(carbon-neutral economy) 달성을 위해 석탄 화력발전 등 석탄 기반 전기생산을 조기에 완전퇴출한다는 계획을 발표했었다. 한편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에너지통계월보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경우 작년 9월 말 누적 기준으로 석탄 에너지 발전 부문의 소비 비중은 43.9%로, 2016년 44.5%보다는 소폭 감소했다. 수력과 기타 재생에너지 소비 비율은 3.4%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전세계 원전은 2017년 7월 현재 448기로 전세계 전력생산량의 약 11%를 차지하고 있다.건설중이거나 건절 계획중인 원전은 160기(중국이 20기)로 폐로 원전을 대체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 중국, 인도 등 인구가 많은 국가들이다. 유로저널 김세호 기자   eurojournal01@eknews.net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 ||||||||||||||||||||||||||||||||||||||||||||||||||||||||||||||||||||||||||||||||||||||||||||||||||||||||||


























 범유럽 고속도로 통행료 부과 정책 도입 가능성 부상 (1면)
							범유럽 고속도로 통행료 부과 정책 도입 가능성 부상 (1면)
							 페이스북의 가상화폐 도입 계획에 유럽국가들 검증 요구
							페이스북의 가상화폐 도입 계획에 유럽국가들 검증 요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