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최지혜 예술칼럼
2019.08.26 23:26

늘 신선한 충격을 안겨주다

조회 수 232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늘 신선한 충격을 안겨주다

이번 서울시립미술관 전시에서 특히 주목되었던 작품이 몇몇 있었다. 첫 번째 섹션 ‘추상표현주의에 대한 반기’에서의 두 작품 ‘The First Marriage(A Marriage of Styles I)’(1962)과 ‘The Second Marriage’(1963)이다.  
 
David Hockney, The First Marriage(A Marriage of Styles I), 1962.jpg
David Hockney, The First Marriage(A Marriage of Styles I), 1962
 
David Hockney, The Second Marriage, 1963.jpg
David Hockney, The Second Marriage, 1963

이 두 작품은 호크니가 현대미술가로서 어떤 방식을 취할지 고민한 흔적을 보여준다. ‘결혼’이란 한 주제를 두고 그가 어떻게 자신의 회화를 발전시켜 왔는지를 여실히 드러낸다.  
그리고, 세 번째 방 ‘자연주의를 향하여’에 걸린 미완성의 2인 초상 ‘George Lawson and Wayne Sleep’(1972~1975)도 호크니의 섬세함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작품이었다. 이것은 특히 그가 고정시점을 극복하기 위해 3년간 매달렸지만 결국 미완성으로 남겨둔 작품이다. 
 
David Hockney, George Lawson and Wayne Sleep, 1972_1975.jpg
David Hockney, George Lawson and Wayne Sleep, 1972~1975

이번 전시 공간의 가장 끝자락의 사진 작품 ‘In the Studio, December 2017’(2017)은 호크니가 데이트모던갤러리에 기증한 것이다. 갤러리가 이것을 기증받자마자 바로 한국의 전시를 위해 보내온 의미 있는 특별한 작품이었다. 
 
David Hockney, In the Studio, December 2017, 2017.jpg
David Hockney, In the Studio, December 2017, 2017

마지막으로 전시장 끝부분의 ‘호크니가 본 세상’에 있는 대작 ‘A Bigger Grand Canyon’(1998)도 주목해 볼 만 했다. 
 
David Hockney,A Bigger Grand Canyon, 1988.jpg
David Hockney, A Bigger Grand Canyon, 1988

이 작품은 1990년대 후반 그의 멀티 캔버스 시리즈 중 하나로, 60개 캔버스로 이뤄져 폭이 7m에 달했다. 호주 국립미술관에서 대여해 온 이 작품은 그의 회고전에 단 한 번도 포함된 적이 없는 것이다.
정열적인 붉은 캐년과는 다르게 그 위를 아주 얇게 메운 지평선의 대비가 돋보였는데, 흡사 그랜드 캐년의 절벽에 올라 광활한 절경을 직접 보는 듯 하는 느낌을 불러일으켰다. 그런데, 정확히 어느 지점에서 바라보는 풍경인지 우리를 헷갈리게 했다. 
호크니는 원근법을 벗어나고자 필사적으로 노력했다. 그는 움직이는 세상을 평면에 어떻게 담고 묘사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면서, 피카소의 큐비즘이나 동양의 두루마리 회화도 접목하며 시점의 변화를 시도해왔다. 
‘A Bigger Grand Canyon’에서도 한 패널이 하나의 시점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것은 그의 포토콜라주 작업과도 비슷한데, 그는 사진으로 찍힌 이미지의 중첩이 서로 다른 시간의 공존과 확장된 시점을 의미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 작품을 통해 호크니는 60개의 패널, 즉 60개의 분열된 소멸점을 이용하여 2차원 평면의 원근법을 무력화하고 인간의 시각 인식 체계와 유사한 다시점 방식으로 관람객의 시선에 다양한 자유로움을 부여했다.  
 
데이비드 호크니2.jpg
데이비드 호크니

이것은 나이 80세가 된 데이비드 호크니가 그의 스튜디오에서 아직 미완성인 두 작품을 걸어두고 심사숙고하고 있는 장면이다. 
사실 데이비드 호크니는 많은 사랑과 관심을 받는 작가라는 것을 애써 소개하지 않아도 될 만큼 유명한 작가이다. 그리고 많은 아티스트들에게조차 동경의 대상이 된지 오래다. 왜냐하면 1960년대부터 계속해서 다양한 작업을 시도해 온 그는 자신보다 더 어리고 젊은 작가들에게 늘 신선한 충격을 안겨주고 있기 때문이다. 
 
David Hockney, The Arrival of Spring in Woldgate, East Yorkshire in 2011 (twenty eleven),  25 February, 2011,  iPad drawing printed on paper.jpg
David Hockney, The Arrival of Spring in Woldgate, East Yorkshire in 2011 (twenty eleven) - 25 February, 2011 - iPad drawing printed on paper 55 x 41 1/2 inches

비록 겉모습은 말 그대로 백발의 할아버지의 모습이다. 
 
David Hockney, Self-portrait, 20 March 2012 (1219), 2012.jpg
David Hockney, Self-portrait, 20 March 2012 (1219), 2012

하지만, 자신의 작품에 대해서는 분야를 막론하고 많은 이들에게 독창적인 영감을 불어넣고 있는 여전히 혈기왕성한 작가이다. 
 
David Hockney, Summer Sky, 2008 - Edition 25 inkjet printed computer drawing on paper.jpg
David Hockney, Summer Sky, 2008 - Edition: 25 inkjet printed computer drawing on paper

유로저널칼럼니스트, 아트컨설턴트 최지혜
메일 : choijihye107@gmail.com
블로그 : blog.daum.net/sam107
                                                페이스북 : Art Consultant Jihye Choi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21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819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66
500 박심원의 사회칼럼 책 읽는 사람이 지도자가 될 수밖에 없다 file eknews 2017.07.11 3160
499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그림이 있는 여행 - 고갱과 함께 ( 4 ) file eknews 2016.07.10 3162
498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뮤즈들과 찾아가는 예술 이야기, 역사이야기 – 쟌느 다르크 file 편집부 2019.11.11 3162
497 영국 이민과 생활 미국이민 환상을 버려라! (2) 한인신문 2009.07.21 3163
496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성차별 3 file eknews 2014.06.09 3164
495 영국 이민과 생활 부모님 누가 모셔야 하나? 한인신문 2009.05.20 3166
494 박심원의 사회칼럼 가물어 메마른 땅 file eknews 2016.11.21 3167
493 에이미리의 파리에서 랑데뷰 열정의 여인 마담 클리코 그리고 샴페인 뵈브 클리코 file 편집부 2019.07.23 3168
492 영국 이민과 생활 T1G연장시 승인점수 어떻게 적용되나요? 유로저널 2010.07.20 3169
491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프랑스 문화 예술 산책, 빛과 어둠의 시대 – 살인의 계절 file eknews10 2015.08.31 3173
490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 예술칼럽(39) 예술이 삶에 대한 해석이자 제기(提起)이다 2 file eknews 2015.08.30 3187
489 유로저널 와인칼럼 박 우리나라의 프랑스 와인 기행 7 : 와인의 나라에서 막걸리를 생각하다. file eknews 2014.02.10 3188
488 영국 이민과 생활 우린 무엇으로 사나? 한인신문 2009.05.20 3191
487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프랑스 예술산책 : 살인의 시대, 혁명의 바람이 피 바람으로.. (1) file eknews 2015.09.22 3196
486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아프로디테의 탄생 file eknews 2016.10.23 3196
485 영국 이민과 생활 10년거주 영주권 신청조건과 특별배려 eknews 2015.02.10 3209
484 미국이민 환상을 버려라! (1) 한인신문 2009.07.08 3212
483 영국 이민과 생활 2015년 영국총선과 영국이민정책 방향 eknews 2015.01.02 3214
482 오지혜의 ARTNOW 예술의 또 다른 역할 – Political Art file eknews 2016.11.21 3219
481 최지혜 예술칼럼 우리의 삶을 흔들어 놓는 예술가 2 - 김수자 ( 1 ) file eknews 2016.09.04 3220
Board Pagination ‹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