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209.155.195) 조회 수 147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영국 부동산, 경기 침체와 증가된 불확실성에 구매 조건 악화

영국의 부동산 시장이 경기 침체와 증가된 불확실성과 같은 단기 전망 때문에 집값 상승이 침체되고 있고, 브렉시트 절차 및 브렉시트가 경기에 주는 타격이 명확해질 때까지 진전 가능성이 낮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1194-영국 4 사진 2.jpg1194-영국 4 사진 1.png


그나마 영국의 주택 시장은 쉽게 구할 수 있는 주택융자금(모기지)와 정부의 구매 지원 정책을 통해 지난 몇 년간 지원을 받았다.

이에따라 처음 주택을 구매하는 사람들은 불과 5%의 보증금(Deposit)만으로 구매가 가능했으나, 한인 밀집 지역인 KINGSTON 지역을 비롯 런던, 그리고 영국 남서부 지역은 집값이 큰 폭으로 하락해 5% 보증금마저 잃게 되고 있는 실정이다.

영국 일간 Daily Mail지 보도에 따르면  영국에서 주택 평균 가격이 가장 높은 지역은 런던(483,100 파운드), 옥스퍼드(405,600 파운드) 및 케임브리지(427,900 파운드)으로 영국 전체 주택 평균 가격(220,500 파운드)의 두 배 이상이거나 가까웠다.

평균 집값이 £483,100인 런던에서 구매자는 평균 런던인의 연 소득 £37,100의 13배를 벌어야 하고, 평균 집값이 £427,900인 케임브리지에서 구매자들은 해당 도시 평균 소득인 £34,900의 12배가 필요하다. 
반면, 본머스(Bournemouth), 브리스톨(Bristol), 포츠머스(Ports mouth)  및 사우샘프턴(Southamp ton) 또한 집을 구매하는 것이 더욱 더 쉬워졌다. 

집값 상승세가 침체되면서 소득 상승률이 앞서가고 있는 것이다.  

본머스는 1년간 집값이 1% 상승해 평균 £293,100를 기록했으나 구매자들은 그래도 도시 평균 소득의 £30,000 보다 9배를 벌어야 한다. 

한편, 벨파스트(Belfast) 집값은 '극적인 호황과 불황' 이후 주가수익률이 안정돼 도시 평균 소득의 5배를 유지하고 있다. 

에든버러(Edinburgh) 및 카디프(Cardiff)의 주택 가격은 영국 평균 수치며 벨파스트(Belfast), 글라스고(Glasgow), 애버딘(Aberdeen)  및 뉴캐슬(Newcastle)은 지난 20년간 평균 이하를 기록하고 있다. 

영국에서는 이와같은 주택 가격 상승이 정체되거나 오히려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수요에 대한 외부 충격이 없는 상황에서, 침체된 집값 상승에 반해 지속적인 소득 증가로 주택을 구매하기위한 소득 비율이 점점 좁혀지고 있어 주택 가격이 높은 런던, 옥스퍼드 및 케임브리지 지역에서의 주택 구매력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지난 1년간 영국의 가장 잘 알려진 도시들의 평균 집값은 2% 상승했으며, 특히, 에든버러와 리버풀은 지난 1년간 집값이 영국의 가장 큰 20개 도시의 평균 상승률 보다 훨씬 높은 5.8% 상승했다. 
반면, 평균 집값이 £160,000 정도인 애버딘에서는 하락하는 석유 및 가스 가격에 큰 타격을 입어, 지난 1년 간 집값이 4.8% 하락했다. 

한편, 지난 해 5.3% 상승했던 버밍엄의 집값은 3.5% 하락해 £167,000를 기록한 데다가 매물로 나오는 집들에 비해 수요고 부족한 상태라서 더 하락이 예상된다. 레스터, 노팅엄, 셰필드 및 글래스고를 포함한 다른 도시들의 부동산 가격도 성승 폭이 매우 적거나 거의 변동이 없었다. 최근 The Times와 인터뷰에서 신임 재무장관 Saji Javid은 인지세의 부담을 구매자에서 판매자로 옮길 계획이 있다는 소문에 대해 전혀 사실 무근이라고 주장했다.

유로저널 김세호 기자
eurojournal01@eknews.net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노딜 브렉시트 후 영국 거주자들에게 미치는 영향 10가지 file 편집부 2019.09.04 19623
12048 영국 지방 버스, 예산 부족으로 3천개 노선 감축 편집부 2019.10.31 1699
12047 영국 상가중심거리(HIGH ST), 8만5천개 일자리 감소 우려 심화 편집부 2019.10.31 1171
12046 영국, 대기오염으로 인해 뇌졸증 및 심장마비 급증 편집부 2019.10.31 3898
12045 영국 인구, 10년간 이민자들 늘어나면서 300만명 증가 전망 편집부 2019.10.31 1035
12044 브렉시트 3개월 연기로 12월 12일 총선 결정 발표 file 편집부 2019.10.31 883
12043 영국 대학이상 졸업 외국인, 2년간 졸업 후 취업 비자 부활 편집부 2019.10.09 2768
12042 NO DEAL BREXIT, 전국적으로 부동산 가격 폭락 가능성 높아 file 편집부 2019.10.09 1659
12041 영국인 온라인 쇼핑 피해, 지난 해 평균 £725 잃어 편집부 2019.10.09 2041
12040 EU backstop 대안 수용 불가에 존슨, '노딜 브렉시트 강행' 표명 file 편집부 2019.10.09 1396
12039 스코틀랜드 스코틀랜드 독립 지지 집회에 수천 명 참가해 file 편집부 2019.10.09 1339
12038 영국 올 겨울,폭설과 함께 수십 년만에 가장 추울 듯 (1면) file 편집부 2019.10.02 2310
12037 브렉시트 불확실성, 금리 인하로 이어질 가능성 높아 file 편집부 2019.10.02 2028
12036 英 존슨 수상, 대법원 판결 불구 브렉시트 예정대로 추진 file 편집부 2019.10.02 2028
12035 영국 경제, 브렉시트 불확실성 불구 3 사분기 성장 긍정적 전망 편집부 2019.09.25 1495
12034 英, 노딜 브렉시트에 따른 식품 및 의약품 공급차질 불가피 편집부 2019.09.25 2355
12033 英, 'backstop' 대안으로 국경 외 지역 전자적 사전통관 등 제안 편집부 2019.09.25 2208
12032 영국 산업 , 對EU 수출입기업 80%가 통관준비 미흡 편집부 2019.09.25 1672
12031 영국 운전자, 의학질환으로 최근 5년간 363,280건 면허 취소돼 (1면) file 편집부 2019.09.25 1625
12030 영국 온라인 뱅킹 경고, 습관적 사용 신용카드 사기 주의해야 (1면) 편집부 2019.09.11 1948
12029 영국, 학생 지원위해 영국 학교에 푸드 뱅크 설립 증가 file 편집부 2019.09.11 1729
Board Pagination ‹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640 Next ›
/ 64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