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최지혜 예술칼럼
2019.09.30 00:20

제2의 현대미술에 관한 논의

조회 수 197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최지혜의 예술 칼럼 (227) 
제2의 현대미술에 관한 논의

4. 복귀한 추상화
게르하르 리히터는 1970년 회색그림을 거쳐 1977년 이후 추상의 세계로 들어서면서 추상화의 복귀에 큰 역할을 했다. 
 
Gerhard Richter, Sketch for Park Piece, 1971.jpg
Gerhard Richter, Sketch for Park Piece, 1971
 
Gerhard Richter, Man Shot Down 2 » 18. Oktober, 1977.jpg
Gerhard Richter, Man Shot Down 2 » 18. Oktober, 1977

리얼리즘에서 사진과 회화의 담론으로, 이제는 추상으로 확장된 리히터의 작품세계는 그의 회화와 사진, 그리고 비디오가 미술의 역사의 어디에 속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990년도부터 시작된 이 논쟁은 ‘제2의 현대미술에 관한 논의’라고 불린다.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논쟁이 확산되던 1970년대 당시, 리히터는 두껍고 밝은 색의 추상화를 선보이면서 추상화를 유럽 미술에서 수면 위로 다시 부상시켰다. 
 
Gerhard Richter, Untitled (Green), 1971.jpg
Gerhard Richter, Untitled (Green), 1971

그래서 모더니즘에서 탄생해 세계 대전으로 인하여 주춤했던 유럽 추상이 다시 고개를 들게 되었다. 이 시기 해석 불가능한 기호로 화면 구성 법칙을 벗어난 작품을 선보였던 헬무트 페덜래(Helmut Federle)와 비합리적인 화면을 붓으로 그려낸 귄터 페르그(Guenther Foerg)의 작품이 합세하면서 유럽 추상의 군이 형성되었다.  
 
Helmut Federle, Landschaft mit Kreis und Doppelkreuz, 1978.jpg
Helmut Federle, Landschaft mit Kreis und Doppelkreuz, 1978
 
Guenther Foerg, no title, 1987.jpg
Guenther Foerg, no title, 1987

추상화는 1980년대 미국에서도 유행하면서 국제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 평면성의 한계를 오브제로 풀어내어 화면의 형태를 변형시킨 스텔라(Frank Stella)와 알 수 없는 기호와 단순한 색면으로 추상화의 새로운 국면을 가능하게 한 스켈리(Sean Scully) 등 추상화는 유럽과 북미까지 확산되었다.  
 
Frank Stella, Talladega II, 1982.jpg
Frank Stella, Talladega II, 1982
 
Sean Scully, Paul, 1984.jpg
Sean Scully, Paul, 1984

그러나, 리히터의 작품을 비롯해 새로 복귀한 추상화는 이전의 추상화는 달랐다. 칸딘스키(Kandinsky)와 몬드리안(Mondrian)의 추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론적인 배경이 필요했지만, 새롭게 부상한 추상화는 관객들이 즐거움을 느낄 눈만 있으면 됐다. 

5. 작가의 정체성
리히터는 동독과 서독을 오가며 회화 양식을 두루 섭렵했지만, 그런 상황 속에서 리히터는 정체성의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Gerhard Richter, Self-portrait, 1996.jpg
Gerhard Richter, Self-portrait, 1996

그의 이러한 고민은 작품들을 통해 그대로 드러난다.  
 
Gerhard Richter, Inpainting (Grey) [326-2], 1972.jpg
Gerhard Richter, Inpainting (Grey) [326-2], 1972

정체성에 대한 그의 고민은 분단된 독일의, 또한 양분화된 현대미술에 맞닿아 있었다. 
 
Gerhard Richter, 5.5.89, 1989.jpg
Gerhard Richter, 5.5.89, 1989

 (다음에 계속…)
유로저널칼럼니스트, 아트컨설턴트 최지혜
메일 : choijihye107@gmail.com
블로그 : blog.daum.net/sam107
페이스북 : Art Consultant Jihye Choi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798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34
2136 최지혜 예술칼럼 한 발자국 뒤에서 나를 바라보게 하는 예술가 - 마리나 아브라모비치 file 편집부 2020.09.28 1570
2135 영국 이민과 생활 학업중단과 60일기간과 방문무비자 file 편집부 2020.06.29 895
2134 영국 이민과 생활 학생비자자, 사업비자는 본국서만 신청토록 eknews 2014.07.29 2352
2133 영국 이민과 생활 학생비자와 수업연한 타임캡 편집부 2018.08.12 1025
2132 영국 이민과 생활 학생비자와 부인취업비자 중 어느 것이 유리한지 유로저널 2010.06.22 3487
2131 영국 이민과 생활 학생비자와 부인취업비자 중 어느 것이 유리한지 유로저널 2010.06.22 3487
2130 영국 이민과 생활 학생비자와 10년영주권 보안책 편집부 2018.12.30 2053
2129 영국 이민과 생활 학생비자연장중 여권을 돌려달라고 할 경우 유로저널 2010.06.22 2824
2128 영국 이민과 생활 학생비자연장중 여권을 돌려달라고 할 경우 유로저널 2010.06.22 2480
2127 영국 이민과 생활 학생비자연장 신청했는데 만료일이후 도착 유로저널 2010.06.22 2682
2126 영국 이민과 생활 학생비자연장 신청했는데 만료일이후 도착 유로저널 2010.06.22 2436
2125 영국 이민과 생활 학생비자에서 취업비자로 전환과 동반합류 eknews 2017.07.04 2233
2124 영국 이민과 생활 학생비자에서 취업비자 전환 eknews02 2011.08.07 3908
2123 영국 이민과 생활 학생비자서 워크비자 전환과 조건 eknews02 2018.06.26 1860
2122 영국 이민과 생활 학생비자로 영주권 10년 버티기 eknews 2011.03.22 4983
2121 영국 이민과 생활 학생비자 휴학 및 방문비자와 10년영주권 eknews 2015.06.01 3468
2120 영국 이민과 생활 학생비자 학업중단과 영국서 배우자비자 신청에 대하여 유로저널 2010.06.22 4041
2119 영국 이민과 생활 학생비자 학업중단과 영국서 배우자비자 신청에 대하여 유로저널 2010.06.22 2795
2118 영국 이민과 생활 학생비자 취업비자 전환과 요즘흐름 편집부 2020.02.10 1110
2117 영국 이민과 생활 학생비자 연장기간과 동반비자 가능여부 eknews 2014.10.08 2763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