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2019.10.08 23:39

프랑스의 부유함은 누가 가지고 있나 (3)

조회 수 132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테오의 프랑스 이야기
프랑스의 부유함은 누가 가지고 있나 (3)

국가 부동산의 현황
2010년부터 프랑스 국가는 소유 부동산 현황을 1평방미터까지 정확하게 파악하였다. 국방부는 사용하지 않고 있는 공간이 수 백만 평방미터에 이른다. 버려진 땅, 황폐해 진 지역, 손이 갈 수 없는 지역까지 이루 다 언급할 수 조차 없다.
국가의 7천8백만 평방 미터의 면적을 컨트롤한다. 그 중 15%의 면적이 사용하지 않고 비어 있는 건물이다. 국가의 보유 거주 용지가 1100만 평방 미터 중 백만 평방 미터 이상이 비어 있다. 2015년 거리에서 주무시는 주거 부정자들이 15만명이라고 한다. 

프랑스 도멘느
 프랑스 국가 부동산 판매 부서로 2006년 설립되었다. 

테01.jpg

2007년부터 2012년까지 5년 동안 해외에 소유한 프랑스 국가 부동산을 처분하여 54억 유로를 국가 금고에 가져왔다. 
전체 부동산의 59만 평방 미터를 줄였다. 프랑스 도멘느가 팔기만 한 것은 아니다. 2013년 빠리 19구에 교육청을 위하여 15000m2 의 토지를 구입하였다. 
국가는 여러 행정 부서가 나누어 건물을 사용하고 있다. 지역 적 편차는 있지만 대부분 공무원들은 나름 쾌적한 규모의 사무실을 사용하고 점유하고 있다. 

외국인 부동산 소유
모든 거래는 국가에 세금을 가져다 준다. 
거래를 활성화 시킨다는 것은 국가의 통장에 돈을 쌓아 놓을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다.
하지만 낯선 외국인들이 몰려와 프랑스의 부동산을 산다고 하면 사람들은 나라를 팔아 먹은 것처럼 조바심을 낸다. 
중국인들의 부동산 쇼핑 행태를 언론은 "황색 파탄"이라고 부른다. 중동 자본이 프랑스를 인수 하면 "아랍"을,"카타르"를 경계한다.
부동산을 산다는 것은 피난처를 사는 것이고 그 부동산의 역사와 전통을 사는 것이다. 
외국 자본은 그냥 눈먼 자본은 아니다. 
이익을 실현할 수 있을 때 들어온다. 프랑스 세 법에 특별 조항과 단서를 붙여 가지고 나갈 때 이익을 보장해 주지 않으면 안들어온다. 
2015년 카타르 자본이 프랑스 부동산에 20억 유로 이상을 투자 하였을 때 경제 장관 마크롱은 "답변하고 싶지 않은 특별한 예외가 적용되었다."고 …국가의 이익이 있다면 눈먼 돈도 범죄의 돈도 사기 집단의 돈도 아무 문제가 없다는게 일반적인 지도자들의 생각이다.

테02.jpg
아해 사진 작가, 백만장자, 범죄자, 베르싸이 왕궁 전시회 안내판

뻬리고르 접경 꾸르비피 마을 20여개 농가와 함께 버려진 땅은 "아해Ahae"라는 한국의 사진 작가에게 팔렸다. 이중 적인 삶은 누렸던 "아해"는 어느날 한국의 어느 풀밭에서 죽었고 이 땅은 버려진 상태로 절망에 빠진 그의 아이들에게 넘어갔다.
프랑스 지방, 수 많은 토지와 마을들이 주인을 찾지 못해 버려진 개처럼 수풀 속을 헤메고 있다. 반면에 빠리는 모든 세계 시민의 열망의 대상이다. 빠리 시에 자기 집 주소를 갖는 다는 것은 특별한 매력이다. 외국인들은 프랑스 사람들을, 빠리 시민들을 가능한 멀리 외곽으로, 변두리로 쫓아 내고 있다. 부동산은 알 수 없다. 2009년 빠리의 부동산 가격은 영국 런던보다 20% 저렴하고 뉴욕보다 10% 비쌌다. 5년 후 런던은 빠리보다 100% 비싸고 뉴욕은 70% 비싸졌다. 빠리 시내 130만개의 주거가 87836개의 건물에 들어 있다. 아파트 매매는 일반 시민들의 몫이지만 500만 유로 이상의 저택은 프랑스 인이 구입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10년 전 3%의 외국인이 빠리의 주택을 사들였다면 지금은 8.3%가 가까운 교외가 11.2%를 차지하고 광역 수도권의 9.2%가 외국인 차지다. 빠리 시 소유의 건축물은 부동산 규모의 9%에 달하는  7890개가 있다. 2012년 통계로 빠리시는 공공 임대 주택으로 30만개의 주거를 운용하고 있다. 
빠리의 두 번 째 소유주로 보험회사나 자금 운용사들이 있다. 이들은 전체 운용 자금의 1/3을 부동산에 굴린다. 건축물이 시장의 3%에 해당하는 2624개다. 국내 기업의 부동산 투자는 문화적이나 역사적이라든지 애국적인 동기는 아니다. 단지 경제적 이유다. 빠리 시 번화가 아브뉴 몽떼뉴나 아브뉴 죠르쥬 쌩끄, 아브뉴 대 샹제리제 대부분의 사무실 빌딩은 은행과 보험회사 소유라고 보면 틀림없다.

라데팡스

테03.jpg
빠리 중심 샹제리제에서 대중 교통으로 10분 거리 프랑스의 만하탄 이라고 부르는 라데팡스

32헥타르의 면적에 70여개의 고층 빌딩, 45000명의 학생과 주민 25000명 500개의 기업에 160000명의 종업원들이 살고 있다. 전체 사무실 면적만 450000m2 빠리 지역 현대식 사무실의 50%를 점하고 있다. 전체 사무실의 40% 이상이 외국인 투자로 구성되어 있다. 

프랑스에서 가장 높은 사무실 빌딩들
1. TOUR FIRST 231m 빠리 라 데팡스
2. TOUR MONTPARNASSE 210m 빠리
3. TOUR MAJUNGA  195m 라데팡스
4. TOUR TOTAL 190m 라데팡스

                         (다음 호에 계속)
                          유로저널 칼럼니스트 테오
bonjourbible@gmail.com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68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5022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20105
481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먹고 마시면서 발전하는 문화-문명의 출발은 음식에서 시작하였다. file 편집부 2019.06.12 3224
480 에이미리의 파리에서 랑데뷰 테니스의 축제 롤랑 가로스 ( Roland Garros) file 편집부 2019.06.05 3225
479 영국 이민과 생활 한국음식으로 영국에서 비즈니스 하려면 한인신문 2009.05.20 3228
478 영국 이민과 생활 내년 이민 시점 잡기와 이민 정원제 유로저널 2010.07.27 3229
477 최지혜 예술칼럼 우리의 삶을 흔들어 놓는 예술가 2 - 김수자 ( 1 ) file eknews 2016.09.04 3230
476 영국 이민과 생활 2015년 8월부터 바뀐 영국 학생비자법 eknews 2015.09.29 3234
475 최지혜 예술칼럼 나는 반항하는 사람이다 - 아이 웨이웨이 4 file eknews 2017.05.21 3235
474 영국 이민과 생활 배우자비자 귀국부부 재정증명과 고용확인서 eknews 2013.12.03 3239
473 영국 이민과 생활 조기유학으로 자식 인생길 열어주려면, 한국어 가르치라!‏ 유로저널 2009.01.27 3240
472 영국 이민과 생활 미국이민 환상을 버려라! (1) 한인신문 2009.07.08 3241
471 영국 이민과 생활 조기유학, 언제 시작하는 것이 좋을까? 한인신문 2009.05.20 3242
470 최지혜 예술칼럼 예술가가 사랑한 예술가 2 – 아시아 앤디워홀, 무라카미 다카시 3 file eknews 2016.06.19 3243
469 유로저널 와인칼럼 박우리나라의 프랑스 와인 기행 25: 프랑스 와인 자습서 제3장 Bordeaux – 3 file eknews 2014.07.22 3245
468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꿈과 추억에 사로잡힌 화가 마르크 샤갈 (Marc Chagall) 2 - 파리에서의 샤갈 - file eknews 2016.05.03 3246
467 영국 이민과 생활 PSW비자 앞으로 어떻게 바뀔 것인가? 유로저널 2010.12.15 3254
466 박심원의 사회칼럼 이 시대의 바벨탑 file eknews 2017.02.20 3257
465 영국 이민과 생활 T1E사업비자와 영국이민 eknews 2014.09.02 3258
464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꿈과 추억에 사로잡힌 화가 마르크 샤갈 (Marc Chagall) 5 file eknews 2016.05.24 3267
463 아멘선교교회 칼럼 생은 곧 유일하신 참 하나님과 그의 보내신 자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것이니이다 eknews02 2018.10.03 3269
462 영국 이민과 생활 T1E에서 취업비자 전환과 영주권 eknews 2013.06.25 3272
Board Pagination ‹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 113 Next ›
/ 113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