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최지혜 예술칼럼
2019.12.02 00:37

추상화는 심오한 현실에 이르는 한 방법

조회 수 135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최지혜의 예술 칼럼 (234) 
추상화는 심오한 현실에 이르는 한 방법

1939년부터 추상회화를 그리기 시작한 그의 예술은 추상표현주의적 요소와 기하학적 요소의 부단한 교류를 통한 정적인 것과 동적인 것의 대비에다 색채로서 형(形)을 만든다는 관점에서 출발했다.
 
Hans Hofmann, Untitled,  1939.jpg
Hans Hofmann, Untitled, 1939

그리고 '밀고 당김'(push and pull)이라 이름 붙인 색조들의 상대적 관계는 캔버스의 평면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표현의 깊이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정착되었다. 
그것은 이후 기하학적인 형태의 구성으로 점차 기울어져 갔다.
 
Hans Hofmann, Untitled, July 20, 1942.jpg
Hans Hofmann, Untitled, July 20, 1942

1940년부터 그는 완전히 추상화만을 그렸는데, 그는 추상화가 심오한 현실에 이르는 한 방법이라고 믿었다. 

Hans Hofmann, Untitled, 1940.jpg
Hans Hofmann, Untitled, 1940

필요한 요소가 드러나게 하기 위해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하거나 단순화시키는 방법과 능력을 그는 추상이라고 정의했다.  
 
Hans Hofmann, Untitled, 1941.jpg
Hans Hofmann, Untitled, 1941


1944년 뉴욕에서 호프만은 첫 개인전을 가졌다. 
버몬트의 베닝턴 대학 (Bennington College)에서의 이 첫 회고전을 기획한 클레멘트 그린버그 (Clement Greenberg)를 비롯하여 여러 비평가들로부터 그는 대단한 찬사를 받았다. 

Hans Hofmann, Ambush, 1944.jpg
Hans Hofmann, Ambush, 1944

Hans Hofmann, Integration, c. 1944.jpg
Hans Hofmann, Integration, c. 1944

HANS HOFMANN, Red Sun, 1949.jpg
Hans Hofmann, Red Sun, 1949

Hans Hofmann, Pink Phantasie, 1950.jpg

Hans Hofmann, Pink Phantasie, 1950

6. '추상표현주의'
추상표현주의의 용어의 유래는 미술평론가 알프레드 바가 1929년 미국에서 전시되고 있었던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의 초기작품을 가르켜 형식은 추상적이지만 내용은 표현주의적이라고 언급한데서 비롯되었다.

Wassily Kandinsky, Improvisation no. 30 (Canons), 1913.jpg
Wassily Kandinsky, Improvisation no. 30 (Canons), 1913

(다음에 계속…)


유로저널칼럼니스트, 아트컨설턴트 최지혜
메일 : choijihye107@gmail.com
블로그 : blog.daum.net/sam107
                                                페이스북 : Art Consultant Jihye Choi



유로저널광고

  1.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Date2024.06.02 Category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By편집부 Views8
    read more
  2.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Date2021.05.03 Category이윤경의 예술칼럼 By편집부 Views4799
    read more
  3.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Date2019.01.29 Category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By편집부 Views19837
    read more
  4. 11월 파리에서 만남

    Date2019.11.08 Category에이미리의 파리에서 랑데뷰 By편집부 Views1468
    Read More
  5.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25) 부르고뉴(Bourgogne) 피노 누와(Pinot Noir), 그 매혹의 이름!

    Date2019.11.08 Category유로저널 와인칼럼 By편집부 Views1210
    Read More
  6. 미국의 아방가르드

    Date2019.11.10 Category최지혜 예술칼럼 By편집부 Views1300
    Read More
  7. 뮤즈들과 찾아가는 예술 이야기, 역사이야기 – 쟌느 다르크

    Date2019.11.11 Category테오의 프랑스이야기 By편집부 Views3162
    Read More
  8. 프랑크 게리의 가장 한국적인 표현

    Date2019.11.12 Category에이미리의 파리에서 랑데뷰 By편집부 Views2234
    Read More
  9. 파트너비자 주의사항 그리고 문제해결방법

    Date2019.11.15 Category영국 이민과 생활 By편집부 Views916
    Read More
  10. 뮤즈들과 찾아가는 예술이야기, 단테의 뮤즈 베아트리

    Date2019.11.18 Category테오의 프랑스이야기 By편집부 Views1533
    Read More
  11. 모더니즘의 기본 개념

    Date2019.11.18 Category최지혜 예술칼럼 By편집부 Views1402
    Read More
  12. 파리 도시에서 발견한 다양한 한국 문화

    Date2019.11.18 Category에이미리의 파리에서 랑데뷰 By편집부 Views1698
    Read More
  13. 피앙세비자 준비부터 영주권까지

    Date2019.11.19 Category영국 이민과 생활 By편집부 Views1224
    Read More
  14. 인생의 결국은 천국과 지옥으로 나눠지는데… !

    Date2019.11.20 Category아멘선교교회 칼럼 By편집부 Views1016
    Read More
  15. 하나님이 세상( 사람 )을 사랑하사

    Date2019.11.20 Category아멘선교교회 칼럼 By편집부 Views1256
    Read More
  16. 20세기의 가장 영향력 있는 미술 교사

    Date2019.11.25 Category최지혜 예술칼럼 By편집부 Views1408
    Read More
  17. 박심원의 영화로 세상 읽기: (54) 미스터 소크라테스

    Date2019.11.25 Category박심원의 사회칼럼 By편집부 Views1702
    Read More
  18. 미투에 고발당한 폴란스키의 작품 나는 고발한다

    Date2019.11.26 Category에이미리의 파리에서 랑데뷰 By편집부 Views2111
    Read More
  19. 프랑스 역사가 만든 뮤즈, 혁명의 뮤즈, 공화국의 뮤즈 마리안느와 함께 (1)

    Date2019.11.26 Category테오의 프랑스이야기 By편집부 Views1762
    Read More
  20. 한 번 죽는 것은 사람에게 정하신 것이요

    Date2019.11.26 Category아멘선교교회 칼럼 By편집부 Views924
    Read More
  21. 일시 동거 못한 부부 배우자비자

    Date2019.11.26 Category영국 이민과 생활 By편집부 Views1435
    Read More
  22. 추상화는 심오한 현실에 이르는 한 방법

    Date2019.12.02 Category최지혜 예술칼럼 By편집부 Views1352
    Read More
  23.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26) 니스(Nice)에서 만난, 부르고뉴(Bourgogne) 와인 만드는 의사선생님

    Date2019.12.02 Category유로저널 와인칼럼 By편집부 Views1258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