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2022.04.04 16:28				 EU, 2030년까지 실제 최종 소비량 36%까지 감축 검토
																																			조회 수 424					추천 수 0					댓글 0									 EU, 2030년까지 실제 최종 소비량 36%까지 감축 검토 
 유럽연합(EU)이 에너지 효율 목표를 강화를 추진하면서 2030년까지 에너지 총소비 및 실제 최종 소비량을 대폭 감축할 것을 검토중이다. 에너지 실제 최종 소비량은 에너지 총소비에서 에너지 전환과정의 손실 등을 제외한 실제 소비량을 말한다. 유럽KBA에 따르면 유럽의회, EU 이사회 및 EU 집행위원회 세 기관이 2030년까지 작년 EU의 에너지 총소비(primary energy consumption)의 39%, 실제 최종 소비량(final energy consumption)의 36%를 감축토록 의무화하는 에너지효율지침 개정안을 마련하고 있다. 현행 EU 에너지효율지침(EED)은 2030년까지 에너지 총소비와 최종 소비를 모두 32.5% 감축토록 권고하고 있으나, 법적 구속력이 없다. EU 집행위는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EED 지침 개정안 제안 당시와 현재의 상황에 큰 변화가 발생함에 따라서 지침의 에너지 효율 목표도 수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개정안 제안 당시 잠재적 에너지 효율 개선의 경제효과가 기술 잠재력보다 5% 낮아 에너지 효율 투자 대비 경제적 효과가 부정적으로 평가되었으나,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이런 상황적 전제가 변경되어 더 높은 감축량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유럽의회는 2030년까지 EU의 에너지 총소비 45.5% 및 최종 소비 43% 감축을 추진, 집행위의 EED 개정안보다 더욱 강화된 목표를 요구하고 있다. 유럽의회 환경위원회 EED 협상 담당인 엘레오노라 에비 의원은 1% 에너지 효율 개선이 EU의 가스 수입 2.6%를 감축할 수 있다며, EED 개정안의 목표의 강화를 촉구하고 있다. 
 유로저널 김세호 기자 eurojournal01@eknews.net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 ||||||||||||||||||||||||||||||||||||||||||||||||||||||||||||||||||||||||||||||||||||||||||||||||||||||||||



























 폴란드, 2030년까지 지역난방위한 석탄 사용 완전 중단
							폴란드, 2030년까지 지역난방위한 석탄 사용 완전 중단
							 EU, 러시아 에너지 의존도 완화위해 미국산 LNG 추가 수입
							EU, 러시아 에너지 의존도 완화위해 미국산 LNG 추가 수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