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117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지난 몇 주간 동안 영국 주요 언론의 교육 관련 뉴스들을 보면, 공통적으로 눈에 띄는 내용이 있다. 바로 영국 대학들의 지나치게 관대한(?) 학위 수여 행태에 대한 지적이다. 모두가 알다시피 영국은 오랫 동안 외국 유학생들을 유치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익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상당한 이익을 얻어왔다. 자국 학생에 비해 최소 3배에 달하는 비싼 등록금을 납부하는 외국인 유학생들은 비단 영국 대학들뿐만 아니라 영국 경제 전반에 막대한 수익을 가져다 준 게 사실이다.

그런데, 이 같은 사실에 솔깃한 영국 대학들이 보다 많은 외국인 유학생들을 유치하기 위해, 또 이를 위해서 자신들의 대학 순위를 높이고 좋은(?) 이미지를 선전하기 위해 교육 기관으로서 무너뜨려서는 절대 안 되는 영역, 즉 학위 수여 기준 및 우등생 선정 기준을 의도적으로 타협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상적으로 학업을 수행하기에는 영어 실력이 모자라는 외국인 유학생들을 여과없이 입학시키고, 또 이들의 학업 중에 표절이나 컨닝을 적당히 눈감아주고, 무엇보다 자격이 되지 않는 이들에게 무사히 학위를 수여하고, 심지어는 우등생으로 선정하는 사례가 포착되었으며, 문제는 이를 대학 자체에서 권장하고, 심지어는 담당자들에게 의미심장한 압력을 넣었다는 놀라운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외국인 유학생들을 더욱 끌어들이고, 그래서 이들로부터 얻는 수익에 지나치게 집착한 나머지 발생하는 폐해다.

물론, 이제껏 언론 보도를 통해 밝혀진 바에 따르면, 옥스브릿지를 비롯한 최고 명문 대학들에서는 아직 이 같은 현상이 포착되지 않고 있으며, 또 타 대학들에서도 주로 Post graduate 이상 되는 학위와 관련해서만 이 같은 현상이 두드러질 뿐, 학부 과정은 여전히 철저한 관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사실, 이전부터 학위 과정 입학부터 착실히 진행되는 정통 유학이 아닌, 그러니까 한국에서 대학을 마쳤거나 아니면 대학을 마치고 직장 경력까지 갖고 있는 이들이 석사 이상 학위를 목적으로 하는 유학일 경우에 유난히 영국의 석사 과정이 선호되어 왔던 게 사실이다. 그 이유는 물론 영국 명문 대학들의 우수한 교육 과정이 가장 큰 이유겠지만, 사실 2년에서 3년까지 소요되는 미국의 주요 대학 석사 과정에 비하면 대부분 1년에서 1년 반 내에 마칠 수 있는, 상대적으로 짧은 영국의 석사 과정이 매력적인 것도 하나의 이유가 될 것이다.

자국에서의 학사 학위를 가지고 영국에서 석사 과정에 들어가는 게 아무래도 영국에서 GCSE나 A레벨부터 수학하고 대학 학위 과정에 진학하는 것에 비하면 쉬울 것이고, 그러다 보니 간혹 영어 실력이 부족한 이들도 무리 없이 석사 과정에 진학할 수 있었다. 또, 졸업 시에도 그다지 까다롭지 않은 과정을 통해 학사 과정보다는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학위를 얻을 수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영국 대학들 입장에서는 비싼 등록금을 내면서 학교 재정을 뒷받침해주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가치가 상당히 중요했을 것이고, 외국인 유학생들이 대학을 선정하는 기준이 명성, 순위, 또 얼마나 쉽게 학위를 받을 수 있느냐 하는 것인 만큼, 대학들로서는 학위 수여자와 우등생 수여자를 증가시켜 대학 순위를 높이는 한편, 이들이 수월하게 학위를 마칠 수 있는 학교라는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노력했을 것이다.

문제는 이 같은 현상이 본격화되고, 또 무엇보다 이 같은 소식이 세계 전역으로, 한국으로 전달될 경우에는 자칫 영국 대학 학위 자체가 신뢰를 잃는 사태로 이어질 위험성도 같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나 안 그래도 미국 학위에 비해 영국 학위가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는 한국에서 이 같은 인식이 확산될 경우에는 학업 후 한국으로 돌아가는 유학생들이 처할 불이익은 물론, 그 파장이 우리 재영 한인들에게도 일정 부분 악영향을 미칠 것 같다.

영국 대학들이 당장은 학위를 쉽게 수여하고, 우등생을 쉽게 수여해서 외국인 유학생들을 유치하는 데는 효과를 보겠지만, 결국 영국 대학과 영국 학위에 대한 불신이 확산되면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게 될 것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유학생들도 마찬가지다. 당장은 적당히 넘어가주고, 적당히 졸업시켜주는 영국 대학이 고마울 지는 몰라도, 이는 결국 본인에게 불이익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사실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외국인 유학생들이 중요한 자금줄(?)로 여겨지는 현상을 되돌리기에는 너무 늦었지만, 영국 대학들이 교육 기관으로서 절대 타협되어서는 안 되는 영역만큼은 반드시 사수하길 바란다. 그래서, 영국의 대학에서, 영국에서 수학한 이들의 가치가 진정으로 인정받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2299 한미일 연합훈련은 일본의 군사적 역할 인정하는 것임을 명심해야 2022.10.12 48
2298 검찰 통치 중단하고 민생 경제 챙겨라 file 2022.10.03 56
2297 윤 후보 부부의‘무속 연루설',청문회 수준에서 해명해야 2022.02.28 67
2296 윤석열의 정치보복 선언,'본부장 비리 부터 해소해야' 2022.02.28 70
2295 연일 터지는 김건희 주가 조작 의혹, 검찰은 원칙대로 수사하라 file 2022.02.28 77
2294 159명 희생당한 이태원 참사, 윗선은 서면조사도 없는 종결에 '특검만이 답' file 2023.01.16 80
2293 대장동 사건과 주가 조작 의혹, 특검 도입이 시급하다 file 2022.03.17 82
2292 윤대통령의 경축사와 취임 100일 기자회견은 '양두구육' 2022.08.24 82
2291 이태원 참사의 국정조사,국회와 정치의 필요성을 보여줄 기회다 2022.11.30 82
2290 대통령실 이전, 총비용 명확히 밝히고 국회 동의 얻어라 file 2022.09.19 89
2289 론스타 ISDS 패소, 당시 관료들 민·형사 책임 물어야 file 2022.09.06 91
2288 유로저널 홈페이지의 방문자 폭증으로 증설 작업이 3 개월이상 소요되어 임시로 미게재분을 각각 모아서 게재합니다. 2022.02.28 93
2287 과거 보수 정권에서 이미 실패한 '대기업·부자 감세 정책' 복사판,'재검토해야' file 2022.07.06 94
2286 대통령의 당 대표 선거 개입은 정당 민주주의의 명백한 훼손 ! file 2023.02.06 94
2285 김일성 사망 28년, 한국 정치는 여전히 그 귀신의 지배 받아 2022.10.27 100
2284 이태원 참사, 안전대책 부실의 '예고된 100% 인재' file 2022.10.31 102
2283 헌법재판관을 모독·겁박하는 국가는 온전한 민주공화국이 아니다. file 2023.03.27 105
2282 연이은 외교 참사, 막말 해명하고, 외교안보실·외교부 문책해야 file 2022.09.26 119
2281 민주당 이재명 당 대표 구속영장, 검찰 주장만이 아닌 법리 공방이 우선해야 file 2023.02.20 121
2280 일본의 역사 왜곡을 규탄하며, 윤 당선인은 입장 분명히 해야 file 2022.04.04 123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5 Next ›
/ 1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