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73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지난 몇 주간 동안 영국 주요 언론의 교육 관련 뉴스들을 보면, 공통적으로 눈에 띄는 내용이 있다. 바로 영국 대학들의 지나치게 관대한(?) 학위 수여 행태에 대한 지적이다. 모두가 알다시피 영국은 오랫 동안 외국 유학생들을 유치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익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상당한 이익을 얻어왔다. 자국 학생에 비해 최소 3배에 달하는 비싼 등록금을 납부하는 외국인 유학생들은 비단 영국 대학들뿐만 아니라 영국 경제 전반에 막대한 수익을 가져다 준 게 사실이다.

그런데, 이 같은 사실에 솔깃한 영국 대학들이 보다 많은 외국인 유학생들을 유치하기 위해, 또 이를 위해서 자신들의 대학 순위를 높이고 좋은(?) 이미지를 선전하기 위해 교육 기관으로서 무너뜨려서는 절대 안 되는 영역, 즉 학위 수여 기준 및 우등생 선정 기준을 의도적으로 타협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상적으로 학업을 수행하기에는 영어 실력이 모자라는 외국인 유학생들을 여과없이 입학시키고, 또 이들의 학업 중에 표절이나 컨닝을 적당히 눈감아주고, 무엇보다 자격이 되지 않는 이들에게 무사히 학위를 수여하고, 심지어는 우등생으로 선정하는 사례가 포착되었으며, 문제는 이를 대학 자체에서 권장하고, 심지어는 담당자들에게 의미심장한 압력을 넣었다는 놀라운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외국인 유학생들을 더욱 끌어들이고, 그래서 이들로부터 얻는 수익에 지나치게 집착한 나머지 발생하는 폐해다.

물론, 이제껏 언론 보도를 통해 밝혀진 바에 따르면, 옥스브릿지를 비롯한 최고 명문 대학들에서는 아직 이 같은 현상이 포착되지 않고 있으며, 또 타 대학들에서도 주로 Post graduate 이상 되는 학위와 관련해서만 이 같은 현상이 두드러질 뿐, 학부 과정은 여전히 철저한 관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사실, 이전부터 학위 과정 입학부터 착실히 진행되는 정통 유학이 아닌, 그러니까 한국에서 대학을 마쳤거나 아니면 대학을 마치고 직장 경력까지 갖고 있는 이들이 석사 이상 학위를 목적으로 하는 유학일 경우에 유난히 영국의 석사 과정이 선호되어 왔던 게 사실이다. 그 이유는 물론 영국 명문 대학들의 우수한 교육 과정이 가장 큰 이유겠지만, 사실 2년에서 3년까지 소요되는 미국의 주요 대학 석사 과정에 비하면 대부분 1년에서 1년 반 내에 마칠 수 있는, 상대적으로 짧은 영국의 석사 과정이 매력적인 것도 하나의 이유가 될 것이다.

자국에서의 학사 학위를 가지고 영국에서 석사 과정에 들어가는 게 아무래도 영국에서 GCSE나 A레벨부터 수학하고 대학 학위 과정에 진학하는 것에 비하면 쉬울 것이고, 그러다 보니 간혹 영어 실력이 부족한 이들도 무리 없이 석사 과정에 진학할 수 있었다. 또, 졸업 시에도 그다지 까다롭지 않은 과정을 통해 학사 과정보다는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학위를 얻을 수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영국 대학들 입장에서는 비싼 등록금을 내면서 학교 재정을 뒷받침해주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가치가 상당히 중요했을 것이고, 외국인 유학생들이 대학을 선정하는 기준이 명성, 순위, 또 얼마나 쉽게 학위를 받을 수 있느냐 하는 것인 만큼, 대학들로서는 학위 수여자와 우등생 수여자를 증가시켜 대학 순위를 높이는 한편, 이들이 수월하게 학위를 마칠 수 있는 학교라는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노력했을 것이다.

문제는 이 같은 현상이 본격화되고, 또 무엇보다 이 같은 소식이 세계 전역으로, 한국으로 전달될 경우에는 자칫 영국 대학 학위 자체가 신뢰를 잃는 사태로 이어질 위험성도 같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나 안 그래도 미국 학위에 비해 영국 학위가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는 한국에서 이 같은 인식이 확산될 경우에는 학업 후 한국으로 돌아가는 유학생들이 처할 불이익은 물론, 그 파장이 우리 재영 한인들에게도 일정 부분 악영향을 미칠 것 같다.

영국 대학들이 당장은 학위를 쉽게 수여하고, 우등생을 쉽게 수여해서 외국인 유학생들을 유치하는 데는 효과를 보겠지만, 결국 영국 대학과 영국 학위에 대한 불신이 확산되면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게 될 것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유학생들도 마찬가지다. 당장은 적당히 넘어가주고, 적당히 졸업시켜주는 영국 대학이 고마울 지는 몰라도, 이는 결국 본인에게 불이익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사실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외국인 유학생들이 중요한 자금줄(?)로 여겨지는 현상을 되돌리기에는 너무 늦었지만, 영국 대학들이 교육 기관으로서 절대 타협되어서는 안 되는 영역만큼은 반드시 사수하길 바란다. 그래서, 영국의 대학에서, 영국에서 수학한 이들의 가치가 진정으로 인정받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361 경제 회복을 위해 부자들의 헌신을 명령한 영국의 결정이 부럽다 2009.04.24 2001
360 4.13 총선 공천에서 보여준 여당의 오만과 후안무치 file 2016.03.22 2001
359 '한중일 삼국지' 외교에 한국만의 목소리가 필요하다 file 2017.03.21 2001
358 국회는 국민의 대표답게 '식물,동물'이 아닌 인간다운 수준을 보여라 file 2019.05.01 2005
357 석연치 않은 국정원의 도감청 의혹,3류 정보정치 중단해야 file 2015.07.21 2008
356 세종시 출구전략 2010.06.23 2010
355 재난의 전조, 정부와 국민에 사전에 알리는 경고다 ! file 2014.08.26 2013
354 증거조작 의혹, 특검만이 답이다. file 2014.03.11 2019
353 요동치는 한중경제, 새로운 사고와 전략이 필요하다 file 2015.12.01 2022
352 2 년만에 돌아온 한인축제(Korean festival), 아름다운 결실을 기대한다 2009.08.07 2023
351 미네르바 무죄에 나타난 수사법, 그리고 사회 2009.04.21 2030
350 북핵문제, 그 임계점에 즈음하여 2006.05.29 2032
349 안철수와 민주당의 신당에 진정한 정치개혁을 기대한다 file 2014.03.04 2033
348 새누리당의 최대 위기,청와대와 친박계는 국민을 의식해야 file 2015.06.30 2042
347 미 통상압력, 여야할 것없이 지혜모아 대처해야 file 2018.02.21 2042
346 정부와 여당의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반대한다 file 2015.09.08 2044
345 사법절차를 정치보복이라는 박근혜, 추상같은 판결로 응징해야 file 2017.10.18 2044
344 방송인 김제동과 보수의 몰염치 2009.10.13 2047
343 피맛골 훼손하는 한국, 영국으로부터 한 수 배워라 file 2008.09.25 2048
342 일본 총리의 동북아 공동체 발언의 전제조건 2009.11.18 2049
Board Pagination ‹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 116 Next ›
/ 116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