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73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위기론과 이건희 회장의 조금 이른 삼성 복귀



  이건희 전 삼성그룹 회장이 지난 24일 경영일선 복귀를 선언했다. 복귀선언의 명분은 경제위기론. 어떤 이유를 붙이기 이전에 그에 대한 특별사면이 내려진 순간부터 그의 복귀는 사실상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진 일이라 그의 복귀가 새로울 것도 없다는 게 일반적 분위기였다. 그럼에도 때마다 들고 나오는 위기론을 다시 들고 나온 것은 주목할 만하다.

  이번 경우는 도요타 자동차 사태로 인한 한국 재계의 위기의식을 디딤돌로 삼았다는 점에서 다소의 구체성을 띄었다면 그렇다고 인정할 만도 하다. 일본식 경영 중에서도 배타적, 세습제왕적 경영 방식만을 유독 답습해온 한국 재계로서는 도요타 사태에 다른 어느 나라의 대기업보다 큰 충격을 받았음 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건희 회장의 위기론은 늘 정치적 상황과 맞물려 나왔다는 점을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이번 경영복구의 명분으로 내세운 위기론 역시 보수 여당이 지방선거를 앞두고 위기에 몰린 상황에서 나왔다는 점에서 맥을 같이 한다.

  그의 발언이 대중들에게 회자되기 시작한 출발점은 1993년 삼성 신경영 10년을 선포하면서부터다. 오래 전 일이라 표현이 정확하다고 장담은 못하지만 대강 뜻은 그랬다. "아내와 자식 빼고는 다 바꾸자" "2등은 아무도 기억해주지 않는다" 등등.

  혁신과 더불어 엘리트주의를 강조한 이 표현이 한동안 참신함으로 대중들에게 어필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김영삼 대통령의 문민정부가 출현하고 오랜 세월 이 땅을 지배했던 군사독재의 끝을 본 시기였다. 이건희 회장의 이런 표현들은 당시 정권의 취향, 나아가 요구와도 맞아떨어졌다. 물론 이런 혁신을 통해 삼성은 비약적 성장을 했으므로 굳이 정치적 의미를 갖다 댈 필요는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후 모두가 말렸다는 자동차 산업에 문민정부의 강력한 지원을 얻어내며 무리하게 뛰어들어 외환위기로 한국 경제 전체가 위기를 맞는 데 일조했다. 삼성 역시 그 후유증을 크게 앓았다.

  그러던 이건희 회장이 참여정부 들어서는 진정으로 위기의식을 느꼈던 듯하다. 2003년 신경영 10년을 정리하면서는 "천재 1명이 1만 명을 먹여 살린다"고 엘리트주의를 표방하고 나선다. 국내외를 부지런히 오가며 석`박사 학위 소지자들을 끌어들이는 데 열중했고 특히 미국 학위 소지자들이 환영을 받았다. 설사 고졸 출신 대통령 체제에서의 평등교육 이념에 대한 반감이 담겨 있었다 해도 글로벌 경영을 표방한 이런 젊은 인재유치 노력 자체를 비판할 이유는 없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무노조'를 자랑하는 삼성의 생산직 노동자들에 대한 노동탄압 사례들이 차곡차곡 쌓여갔다. 김용철 변호사의 양심선언도 이런 배경에서 나왔다.

  2007년 대선을 앞두고는 진보정권의 끝을 보자고 이를 악물었던가 싶을 정도다. 당사자가 겪는 위기도 배경이 됐겠지만 연초부터 예의 위기론이 등장한다. 중국과 일본 사이에 끼어 성장 동력을 잃는다는 샌드위치 위기론, 5~6년 내에 더 큰 위기가 올 것이라는 위기감 극대화 주장들이 쏟아졌다. 재계에서도 함께 화답했다. 당시 한국경제는 여러 어려움 속에서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었다. 모든 경제수치도 호조를 보였다. 그러나 선거를 앞두고 앞으로 몇 년 내에 위기가 올 것이라는 국내 최대 재벌 총수의 발언은 대중들의 위기감을 고조시키기에 충분했다. 그런 분위기 속에서 소위 말하는 경제 대통령이 출현했다.

  이번 경영 일선 복귀의 명분으로 다시 등장한 것이 위기론이다. 물론 위기의 근거는 도요타 사태였다. 그렇다고 이번 위기론이 대규모 광고물량으로 언론의 입을 막고 비판에 귀를 막다가 대규모 리콜 사태를 빚은 도요타의 전철을 피해갈 계기가 될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위기론을 들고 나온 시점이 차라리 이건희 회장을 선거를 앞둔 보수 여당의 위기탈출을 돕기 위한 해결사로 보이게 한다. 도요타의 대규모 리콜 사태는 이미 2009년 10월부터 시작됐다. "당분간 평창 올림픽에 전념하겠다"며 "삼성이 약해지면 돕겠다"고 말하던 지난 2월이면 도요타 사태는 이미 충분히 진행된 때다. 그 사이에 갑자기 위기가 고조됐다? 글쎄다.




<전 유럽 한인대표신문 유로저널, eknews.net>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381 국정감사와 막장드라마, 정치권은 국민을 그만 우롱해라 file 2014.10.08 1738
380 에볼라 바이러스로 인한 전 세계적 공포, 대책 마련이 시급해 2014.10.14 2264
379 또 국가재난급 참사, 정부와 정치권의 무책임감과 심각한 부패가 국가 개조의 대상 file 2014.10.21 2291
378 빚공화국 대한민국, 부채 감축에 적극나서야 한다. 2014.11.02 2223
377 10년 만에 47개국과 FTA 맺는 통상대국 변모에 기대 크다 file 2014.11.11 1570
376 복지논쟁에 대한 불편한 단상,언어 순화부터 해야 file 2014.11.18 1732
375 대한민국 저출산의 늪, 대책 마련에 더 적극 나서야 file 2014.11.25 2549
374 찌라시든 감찰보고서든, 내용의 사실 여부를 밝혀야 한다. file 2014.12.02 1946
373 땅콩과 비행기, 그리고 '또라이 같은 분노' file 2014.12.09 2478
372 최근 원유가격 하락과 또다시 재기된 국제 음모론 file 2014.12.16 3161
371 통진당 해산과 민주주의,그리고 헌재의 미래 file 2014.12.25 2577
370 국가 기반시설 보안을 국민 사활이 걸린 문제로 인식해야 file 2015.01.11 2205
369 국민 민심에 메아리없는 대통령의 기자회견 file 2015.01.13 2067
368 지금이 보육정책의 틀을 바꿀 황금시간이다. file 2015.01.20 2143
367 고환율과 세금으로 대기업 살리고 서민 죽이는 서민증세는 규탄되어야 file 2015.01.27 2201
366 각종 정책 헛발질대신 제대로된 노동정책에 심혈을 기울여야 file 2015.02.03 1841
365 MB회고록통해 방어한 자원외교, 국조에서 진실 밝혀야 한다 file 2015.02.10 1670
364 파란만장한 이완구 총리, 내각 주도력 회복에 힘을 쏟아야 file 2015.02.17 1469
363 대한민국 미래 청년들을 위해 노동시장 양극화 해소해라 file 2015.02.25 1963
362 62년만에 사문화된 간통죄, 성숙한 사회 건설은 국민 몫 file 2015.03.03 1932
Board Pagination ‹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16 Next ›
/ 116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