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독일 고용법

by 유로저널 posted Mar 01,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Extra Form
extra_vars1 |||||||||||||||||||||
extra_vars2 |||||||||||||||||||||||||||||||||||||||||||||||||||||||||||||||||||||||||||||||||
독일 고용법  
    
1. 독일 노동법의 특징

    o 독일 노동법은 ① 사용자에게 두려움을 줄 만큼 피고용인을 보호하고, ② EU Regulation에 따라 개정되며, ③ 노동법원 판결에 많은 영향을 받는 복잡한 체계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함




2. 근로 계약

   o 근로계약은 서면 또는 구술로 가능하지만, 성명, 주소, 근로개시일 등 반드시 서면계약으로 작성하여야 하는 사항이 있음에 주의 필요.




   o 2년이상 고용하거나, 2년 내 3회이상 계약이 연장된 경우에는 근로계약이 무기계약이 됨이 원칙

      - 수습기간 채용은 6개월로 동 기간 내에는 2주전 통고로 해고 가능

  

   o 근로자는 연금보험, 건강보험, 의료보험 등 사회보장세를 납부하는바, 근로자의 부담분의 1/2은 사용자가 부담




  3. 고용상 차별금지

   o 인종, 성별, 연령 등을 이유로 근로자에 대한 차별은 금지됨

     - 특히, 연령에 의한 간접차별이 생기지 아니하도록 사용자는 주의하여야 함




   o 고용상 차별이 있는 경우, 근로자는 근로제공 거부, 고충처리 신청 등 사내절차 외에도 법원에 제소하여, 손해배상청구, 가처분신청 등을 할 수 있음.




  4. 해고

   o 근로자의 근무기간이 6개월 이상이 되면, 일정기간 전에 통지를 하여야 해고의 효력이 발생함. 동 통지기간은 근무기간에 따라 증가함




   o 근로자의 지각, 근무태만 등의 사유가 있는 경우, 해고를 위하여는 3-4 차례 경고가 필요

     - 다만, 사기와 같이 노사간의 신뢰관계의 중대한 침해가 있는 경우에는 사전 경고 없이 즉시 해고 가능

  

  o 해직수당에 대한 근로자의 권리는 당연히 인정되지 아니함.

    - 다만, 근로자가 사용자에게 부당해고를 이유로 제소하지 아니할 것에 합의하고, 임금의 1/2을 해직수당으로 지급 후 해고하는 관행은 인정되고 있음.

  o 근로자 해고를 위하여는 변호사와 사전에 상담하는 것이  해고 후에 의뢰하는 것보다 사용자에게 훨씬 유리함에 주의 요망.  
유로저널광고

Articles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