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220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혹자는 대한민국의 이념지도만큼 복잡한 지도는 없다고 말한다. 한국전쟁이 낳은 갈등의 씨앗은 전후 반세기에 걸쳐 무럭무럭 자라나 남과 북을 가르고 또 남과 남을 갈랐다. 서로를 의심하고 불신하게 만들고 다른 이의 행동은 자신에 대한 위협으로 여겼다. 같은 신념을 가진 동지라 믿었던 이가 배신하는 것이 일상다반사였다.

진보진영은 진보진영대로 민족이니 자주니, 혹은 계급이니 하면서 갈라졌다. 그리고 그 반대편에는 사회 기득권을 공고히 지키고 있던 보수가 있었다. 사실 보수도 가지각색이었다. 삶은 무저갱이나, 골육상잔의 끔찍한 기억으로 반공으로 내몰린 이가 있는가 하면 역사 이래 사회의 지배적 위치를 점유하고 있던 '진짜 보수'도 있었다.

  실상 이념이란 분류하기 어렵다. 본질적으로 '완전히' 동일한 신념을 가지기란 불가능하기 때문에, 우리가 흔히 말하는 이데올로기는 일종의 스펙트럼이다. 다만 '민족'이나 '국가' 혹은 '공동체'라는 추상적 단위가 이들을 묶어주는 매개체 역할을 했을 따름이다. 이런 본질적인 차이는 한 사회를 정체된 상태로부터 구출한다. 삶의 양식이 변함에 따라 가치 체계가 변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런 자연스러운 현상을 지속하는 가장 건전한 방법은 바로 '다름의 인정'이다. 그것이 가능할 때, 우리는 상대적 가치로서의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인간을 소외로부터 벗어나게 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과정을 거부하는 이들이 있다면, 바로 이들이 '공공의 적'이다. 이들은 다른 이들을 인정하지 않으며, 질시와 파괴, 차별을 일삼는다. '단일화'에 대한 환상에 사로잡혀 '홀로코스트'같은, 인간으로서는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만행도 저지른다. 역사는 이들이 어떻게 파시스트가 되었는지를 생생하게 증명했다.

  지난 10일 한 무리의 파시스트들이 국립현충원을 '습격'했다. 백발이 성성한 150여 명의 사람들이 붉은 가면과 곡괭이를 들고, 현충원에 안장된 김대중 전 대통령의 묘를 파해치겠다고 나섰다. 이들의 외침은 명징한 이분법이다. '좌파=친북=빨갱이'로 이어지는 도상성에 김대중 전 대통령이 한 가운데 서 있다는 것이다.

그들에게 '국립현충원'과 '김대중'의 상징성은 등치될 수 없는 것이었나보다. 이런 퍼포먼스를 통해 그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는 끔찍하기 이를 데 없다. 다른 이의 존재를 용납치 않겠다는 것. 파괴와 분열만이 그들의 무기다.

  동시에 그들은 모순의 한 가운데 서 있다. 민족과 단결을 외치면서 다른 한 편으로는 누군가를 배제하려는 '못된' 습성을 가지고 있다. 마치 '합법'을 외치면서 '비합법'적인 정부 관료로만 구성된 어떤 정부와 경쟁이라도 하듯 이들은 자기당착적이다.

그래서인지 촛불에는 '도심테러'라는 용어까지 써가며 방패와 곤봉으로 답하던 경찰이 낫과 곡괭이에는 수수방관으로 일관한 것도 일견 수긍할만한 행동일게다. 초록은 동색이요, 가재는 게편이 아니던가?

  이명박 대통령이 작년 이맘 때 국격이라는 말을 쓴 적이 있다. '국가의 품격' 정도로 풀이가 가능할 텐데, 이제 그 국격이라는 단어가 언제 쓰여야 하는지 헷갈리게 되어 버렸다.

부도덕한 위장전입자가 떡하니 대통령, 장관후보자, 대법관 자리를 꿰차고 있는 현실이니, 백주 대낮에 벌이는 만행에도 이제는 무덤덤해져야만 하는 걸까?

그들에게 '보수'를 넘어 '극보수'라는 이념적 용어를 붙여주기도 이제는 낯간지럽다.

'꼴통'이라는 비속어가 입에서 맴돈다.

지켜야 할 가치가 무엇인지도 모르는 보수는 보수가 아니다.


<전 유럽 한인대표신문 유로저널, 전 영국 한인대표신문 한인신문, eknews.net>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801 독도의 홀로아리랑 2008.07.22 735
800 독도 유감 file 2012.08.21 3037
799 독도 영유권 망언과 과거사 왜곡 일삼는 일본에 강력히 대응해야 file 2023.01.26 182
798 도요타 리콜과 한국의 자동차 산업 2010.02.10 1158
797 도요타 리콜과 한국의 자동차 산업 2010.02.10 2478
796 도요타 리콜과 한국의 자동차 산업 2010.02.10 1105
795 도요타 리콜과 한국의 자동차 산업 2010.02.10 934
794 도요타 리콜과 한국의 자동차 산업 2010.02.10 939
793 도덕불감증 공화국 2009.09.22 809
792 도덕불감증 공화국 2009.09.22 1913
791 도덕불감증 공화국 2009.09.22 800
790 도덕불감증 공화국 2009.09.22 744
789 도덕불감증 공화국 2009.09.22 759
788 더이상 미룰 수 없는 공수처 설치,국회는 결단을 내려야 file 2020.10.07 3887
787 더 큰 도약의 발판이 되어야 할 나로호 실패 2010.06.16 792
786 더 큰 도약의 발판이 되어야 할 나로호 실패 2010.06.16 2232
785 더 큰 도약의 발판이 되어야 할 나로호 실패 2010.06.16 820
784 더 큰 도약의 발판이 되어야 할 나로호 실패 2010.06.16 893
783 더 큰 도약의 발판이 되어야 할 나로호 실패 2010.06.16 858
782 대화록 논란, 이제는 그만두어야 할 때 file 2013.07.24 2862
Board Pagination ‹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116 Next ›
/ 116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