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92세 광복군 출신 독립운동가 대통령 면전서 “건국절은 역사왜곡”

by eknews posted Aug 15, 20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92세 광복군 출신 독립운동가 대통령 면전서 “건국절은 역사왜곡”



김영관 전 광복군동지회장(92·발표 사진)이 12일 박근혜대통령 면전에서 보수진영 일부의 ‘건국절 제정론’에 대해 “역사왜곡”이라고 강하게 비판하면서 건국절의 반(反)역사성과 부당함을 강도높게 역설했다. 


박 대통령도 지난해 광복절 경축사에서 “광복 70주년이자 건국 67주년을 맞는 역사적인 날”이라고 건국절 주장에 힘을 실었던 만큼 박 대통령을 향한 비판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박 대통령은 올해 광복절 경축사에서도 건국 68주년이라고 밝혔다.


당시 박 대통령의 발언은 1919년 상하이 임시정부 수립과 대한민국 건국 선포를 무시하고 이승만 정부 수립일을 건국일로 정해야 한다는 뉴라이트 진영의 주장을 지지한 것으로 해석돼 논란을 불렀다.


김 전 회장은 박 대통령이광복 71주년을 맞아 원로 애국지사와 독립유공자 유족들을 청와대로 초청해 연 오찬행사 모두 발언에서 “대한민국이 1948년 8월 15일 출범했다고 이날을 ‘건국절’로 하자는 일부 주장이 있다”며 “이는 역사를 외면하는 처사일뿐 아니라 헌법에 위배되고, 실증적 사실과도 부합되지 않고, 역사왜곡이고, 역사의 단절을 초래할 뿐”이라고 밝혔다.


그는 “대한민국은 1919년 4월11일 중국 상하이에서 탄생했음은 역사적으로도 엄연한 사실”이라며 “왜 우리 스스로가 역사를 왜곡하면서까지 독립투쟁을 과소평가하고, 국란시 나라를 되찾고자 투쟁한 임시정부의 역사적 의의를 외면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했다. 



4- 1.jpg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광복절 경축사에서 건국일을 1948년 8월 15일, 정부 수립일로 다시 공식적으로 언급해 정치권의 논란이 일고 있다.  건국의 기점을 1919년 상하이 임시정부가 아니라 1948년 정부 수립일로 봐야 한다는 주장은 그간 뉴라이트 등 보수층에서 꾸준히 제기해온 사안으로 박 대통령이 논란이 있는 사안을 지난해에 이어 공식적으로 언급함으로써 건국절 제정론의 정당성에 힘을 실어주려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건국 시점을 언제로 볼 것이냐의 문제는 단순한 표현의 문제가 아니라 정체성의 문제로 헌법엔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고 나와 있음을 들어, 진보 성향의 역사학계와 시민사회에서는 이런 움직임에 대해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부정하고, 또 친일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한 보수층이 그 굴레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라고 주장한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은 “대한민국은 1919년 중국 상하이에서 건국됐다”면서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강조한 반면, 새누리당은 광복절 논평에서 박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오늘의 대한민국의 건국을 언급하며 건국의 의미를 강조했다.    박광온 더민주 수석대변인은 현안 브리핑에서 “건국절 주장은 신식민사관”이라며 “일체의 건국절 주장을 폐기할 것을 국민과 함께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박 수석대변인은 “대한민국은 기미독립운동과 함께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서 건국됐다. 제헌헌법은 ‘1919년 건국, 1948년 재건’이라고 명확하게 선언했다”며 “명백한 역사적 사실과 헌법 규정이 있는 데도 건국절을 주장하는 것은 독립을 위해 몸과 마음을 바치신 선열들과 민족혼을 능멸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박 대통령이 제71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안중근 의사 순국지를 잘못 말했다가 청와대가 뒤늦게 정정했다.     박 대통령은 “안중근 의사께서는 차디찬 하얼빈의 감옥에서 ‘천국에 가서도 우리나라의 회복을 위해 힘쓸 것’이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말했다.    하지만 당시 하얼빈에는 일본의 수감시설이 없었고, 안중근 의사의 유언은 뤼순 감옥에서 사형 집행 직전 남겨진 것이었다.   <사진: 청와대 홈페이지 전재>




또 “우리의 쓰라리고 아팠던 역사에서 교훈을 얻어 오늘과 내일에 대비해야 한다는 마음으로 감히 말씀 드린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1910년 8·29 국치일(한일합병일)을 기념일로 지정하고, 국군의날을 광복군 창설일인 9월 17일로 변경할 것 등을 건의했다. 김 전 회장은 1944년 학병으로 일본군에 징집당했다 탈출한 뒤 광복군에 합류했다.


1948년 8월 15일 정부수립일을 ‘대한민국 건국일’로 봐야 한다는 주장은 일제 강점기에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의미를 폄하하는 것으로, ‘임시정부 법통’을 명시한 헌법에 위배될 뿐 아니라, 항일 독립운동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연결고리를 끊어 사실상 친일세력의 복권을 꾀하는 것이란 비판이 제기돼 왔다.


특히, 뉴라이트는 1948년 8월 15일 정부수립일을 ‘대한민국 건국일’로 주장해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부인하고 이승만 정권에 정통성을 부여하려는 의도라는 비난을 받아 왔다.


박 대통령은 그러나 이어진 인사말에서  “광복 71주년을 맞아 여러분을 청와대로 모시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인사말만 한 데 이어 “나라를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방어체계인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해 온갖 유언비어가 난무하고 일부에선 오히려 혼란을 부추기기도 한다”면서 사드 배치 필요성만 강조하면서 김 선생의 지적에 대해선 답변하지 않았다.



   유로저널 김세호 기자

   eurojournal01@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