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불법 유출 대한제국 국새 등 인장 9점, 한미 공조로 압수

by eknews posted Dec 02,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불법 유출 대한제국 국새 등 인장 9점, 한미 공조로 압수

문화재청은 한국전쟁 기간 미군에 의해 덕수궁에서 불법 반출된 국새, 어보 등 인장 9점이 지난 18일 미국 센디에고에서 미국 국토안보부 수사국(HSI, 이하 미국 수사국)에 의해 압수되었음을 확인했다. 

이번 압수는 미국 수사국이 인장 9점에 대한 사진 자료 등 정보를 지난 9월 23일 문화재청에 제보하였고, 문화재청은 ‘보인부신총수(寶印符信總數)’ 등 역사적 기록에 따라 9점의 인장이 조선왕실과 대한제국의 인장임을 확인하고 대검찰청을 경유하여 지난 10월 21일 미국 수사당국에 수사를 요청하면서 이루어진 것이다. 

927-문화 2 사진.jpg 

압수된 인장은 대한제국 국새인 황제지보(皇帝之寶), 순종이 고종에게 태황제(太皇帝)의 존호를 올리면서 1907년에 제작한 수강태황제보(壽康太皇帝寶), 조선왕실에서 관리임명에 사용했던 유서지보(諭書之寶)와 준명지보(濬明之寶), 조선 헌종의 서화 감상인인 향천심정서화지기(香泉審定書畵之記)를 비롯하여 조선왕실에서 사용한 우천하사(友天下士), 쌍리(雙?), 춘화(春華), 연향(硯香) 등 모두 9점이다. 

특히 ‘황제지보(皇帝之寶)’는 대한제국의 선포(1897년)를 계기로 제작된 것으로 고종황제의 자주 독립의지를 상징하는 국새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있다. 

또 ‘수강태황제보(壽康太皇帝寶)’는 1907년에 고종황제가 수강태황제로 존봉(尊奉)되는 의식을 기념하기 위하여 제작된 것으로 상세한 내용이 ‘융희원년존봉도감의궤(隆熙元年尊奉都監儀軌)와 고종가상존호옥책문(高宗可上尊號玉冊文)’에 기록되어 있다. 

‘유서지보(諭書之寶)’는 지방의 절도사나, 관찰사의 임명장에 사용하기 위하여 제작된 것이고 ‘준명지보(濬明之寶)’는 춘방(春坊, 왕세자 교육 담당 관청)의 관원에게 내리는 교지에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대한제국 황실의 보인(寶印)과 부신(符信)을 설명하기 위해 제작된 ‘보인부신총수(寶印符信總數)’에 상세 그림과 설명이 수록되어 있다. 

조선 헌종의 ‘향천심정서화지기(香泉審定書畵之記)’를 비롯하여 조선왕실 인장인 우천하사(友天下士), 쌍리(雙?), 춘화(春華), 연향(硯香) 등은 ‘보소당인존(寶蘇堂印存)’에 상세 그림과 설명이 수록되어 있다. 

국새, 어보 등 조선왕실과 대한제국의 인장은 개인 간에 사적 경로를 통해 거래할 성질이 아니며 국가의 권위와 존엄은 물론 우리나라 국민의 자긍심과 직접 관련된 국가상징유물이라는 점에서 반드시 환수되어야 할 문화재이다. 
한국 유로저널 안하영 기자
   eurojournal16@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