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미국 성장세 둔화에도 연내 금리인상 여전히 유력

by eknews posted May 19,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미국 성장세 둔화에도 연내 금리인상 여전히 유력



올해 초반 혹한 등의 일시적 요인으로 부진했던 미국경제가 점차 반등이 예상되지만, 저유가로 인한 에너지 관련 설비투자 위축과 강달러로 인한 수출 부진이 미국경제의 빠른 상승을 제약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로인해 G경제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조기 금리인상 가능성은 크게 낮아진 것으로 보이며, 하반기중 금리인상이 시작되더라도 인상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경제가 부진한 가운데서도 나홀로 높은 성장세를 유지해 왔던 미국경제는 지난 1분기 미국의 국내총생산(GDP)은 0.2%(연율 기준) 증가하는데 그쳐 지난해 4분기의 2.2%와 3분기의 5%에 비해 크게 낮았고 블룸버그가 조사한 전망기관들의 평균 예상치인 1.0%에 훨씬 못 미쳤다는 점에서 충격이었다.



혹한 및 항만 파업으로 1분기 미국 성장세 부진 


미국경제는 지난해 1분기에도 혹한의 영향으로 투자와 소비, 수출이 부진을 보이면서 -2.1%의 성장률을 기록한 바 있다. 올해 역시 북동부 지역의 혹한이 투자와 소비를 중심으로 경제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아울러 서부지역 주요 항만의 파업사태가 수출 위축을 가져온 요인으로 지적된다. 



혹한과 파업사태와 같은 일시적인 요인 외에도 올해 1분기의 성장 부진에는 저유가와 강달러가 영향을 미쳤다. 저유가는 당초 가계소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소비 증진 효과는 나타나지 않는 대신 셰일오일을 비롯한 에너지 관련 투자를 위축시켜 성장률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저유가의 소비확대 효과가 뚜렷하지 않은 것은 혹한이 소비의 발목을 잡은 데다, 소비자들이 저유가의 지속성 여부를 지켜보는 단계이기 때문으로 추정되고 있다. 



최근 미국의 수출 부진은 미국의 주요 교역 상대국인 중국과 캐나다, 멕시코, 브라질 등의 경제가 둔화되고 있는 것과 함께 지난해 하반기 이후 달러화 가치가 20% 가량 상승한 데 기인한다. 미국경제의 상대적 호조와 금리인상 기대가 달러화 강세로 이어지면서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이다. 



올해는 저유가와 강달러, 세계경제의 부진이 투자와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면서 미국경제의 성장세를 제약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유가가 반등세를 보이고 강달러도 한풀 꺾이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시차 효과와 더불어 지난해 대비 여전히 저유가와 강달러라는 점에서 당분간은 성장세에 도움을 주기는 어렵다.



하지만, 1분기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미국경제의 회복세가 꺾였다기보다는 회복 속도가 다소 느려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미국경제의 꾸준한 회복세가 예상되는 것은 GDP의 70% 가까이 차지하는 민간소비가 비교적 탄탄한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그 동안 고용이 계속 증가한 데다 주가와 주택가격이 강세를 유지하는 등 자산시장이 호조를 보이면서 민간소비가 늘어날 수 있는 기반이 되고 있다. 저유가에 따른 실질소득 증가가 시차를 두고 소비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다만 최근 장기금리가 반등세를 보이고 그 여파로 주가가 하락한 데다, 주택시장의 상승세가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점이 소비와 투자 등의 경제활동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도 연간 2%대 중후반 정도의 성장세가 예상되고 있어 2014년의 2.4%에 비해서는 높아질 전망이다. 



조기 금리인상 가능성 크게 낮아져


지난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성명에서 Fed는 ‘통화정책기조의 정상화를 시작하는데 있어 인내심을 갖겠다’는 표현을 삭제함으로써 금리인상 가능성을 열어두었지만, 4월말 FOMC 회의에서는 1분기 성장 부진이 일시적인 요인에 의한 것이어서 성장 및 고용 회복세가 향후에도 꾸준히 유지될 것으로 보았다. 



그러면서도 노동시장의 개선(실업률 목표치 5.0~5.5%)이 좀 더 진행되고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인 2%(3월 현재 0.3%)에 중기적으로 다가선다는 확신이 들 때 금리인상에 나서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미연준이 주목하는 또 다른 지표는 취업자수와 실업률, 임금상승률 등의 여러 고용지표이다. 



미국의 실업률은 지난해 9월 5%대에 진입한 후 차츰 낮아져 4월 실업률은 3월의 5.5%에서 5.4%로 낮아져 미연준이 완전고용이라고 생각하는 자연실업률(natural unemployment rate) 수준인 5.0~5.5%에 근접해 있다.



1분기의 성장 부진이 일시적 요인이기는 하지만 6월 금리인상 가능성은 이제 크게 낮아졌고, 미연준의 첫 금리인상 시점은 빠르면 9월 또는 연내 금리인상 의견이 일반적이며 속도와 폭은 제한될 가능성이 높다.



임금이나 물가상승률이 강도 높은 긴축이 요구될 정도로 단기간 내 높아질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이미 장기금리가 반등한 데다 금리인상 기대로 달러화가 강세기조를 유지하면서 긴축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셈이기도 하다. 따라서 과거처럼 FOMC 회의 때마다 연속적으로 금리를 인상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미연준이 경기중립적이라고 여기는 연방기금금리 수준은 3% 후반이다. 



유로저널 김세호 기자

   eurojournal01@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