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인도시장에 중국 바람 거세진다

by eknews posted Dec 15,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인도시장에 중국 바람 거세진다

저가경쟁력을 앞세운 중국 제품이 지난 2004년 이후 인도 수입시장에서 요지부동의 1위 를 차지하고 있으며, 시간이 갈수록 중국제품의 인도 점유율은 높아질 전망이다. 

중국제 철강, 전자, 비단, 신발, 완구, 도자기, 자동차 부품 등이 부지불식간에 인도시장을 잠식한 상태이다. 지난 2014년 인도의 전체 수입시장에서 중국의 점유율은 12.7%를 기록했고, 중국 공산품의 점유율이 세계시장에서 18.4%인데 비해 인도 공산품 시장에서 중국의 점유율은 27.9%에 이르고 있다. 

중국의 13개 품목(전체 234개 품목 가운데)이 10억달러 이상의 수출실적을 기록했으며, 휴대폰과 컴퓨터(부품 포함)에서만 128억 3천만달러의 실적을 거두웠다.

점유율 측면에서도 10대 품목 가운데 3개 품목이 50% 이상의 점유율을 보이면서, 공산품 시장점유율이 지난 2000년의 4.1%에서 2014년에 27.9%로 크게 늘어났다.

반면 인도 제품의 중국시장 진출은 미진한 편이어서 인도의 대중무역수지는 만성적인 적자 상태이다. 인도의 대중 무역적자는 지난 2010년에 238억달러에서 2014년에는 448억달러로 사상최대 수준으로 확대되었다. 인도의 전체 무역적자액이 지난 2010~2014년에 연평균 2.2% 증가한데 비해 대중 무역적자액은 같은 기간 연평균 17.1% 늘어났다.

1024-국제 4 사진.png

인도 정부는 중국제품의 범람에 대해서 반덤핑관세와 긴급수입제한조치 등으로 대응하는 한편 ‘메이크 인 인디아’ 정책 아래 중국업체들의 현지투자를 유도하는 모습이다. 

핸드폰 수입에 대해 차별적 소비세를 부과하면서 중국의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은 앞다퉈 인도 진출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현재 중국의 대인도 FDI투자액은 11억 6천만달러로서 한국의 16억달러에 못 미치고 있지만, 인프라 투자 진출과 구자라트주의 중국공단 설립이 현실화되면 곧 한국을 추월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한편, 중국은 지난 1978년부터 개혁개방 정책을 취하고 수출주도형 성장전략에 나서면서 중국은 ‘세계의 공장’으로 등장했고 중국제품은 ‘메이드 인 차이나’ 기치 아래 전세계로 팔려나갔다. 이에 비해 인도는 내수시장의 규모를 과신하여 수출에 적극적이기보다 수입대체 전략을 취했다. 수출시장에서 경쟁하는데 무관심하고 규모의 경제를 등한시하면서 인도 제품의 경쟁력은 점차 떨어지고 제조업 환경도 악화되었다. 

중국은 세계의 공장으로 부상하며 규모의 경제에 따른 저가 경쟁력을 내세워 전세계 공산품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인도에서도 공산품 수입시장에서 중국은 지난 2004년부터 1위를 놓치지 않고 있다. 이에 비해서 인도를 식민통치하기도 했던 영국은 지난 2000년에 인도 공산품 수입시장에서 3위를 차지했다가, 점점 하락하여 2014년에는 14위로 뒤쳐졌다.

인도 경제는 지난해 7.3% 성장한데 이어 금년에도 7% 이상의 성장률이 예상되며 건실한 이머징마켓으로 평가받고 있다. 중국을 앞서는 성장세와 12억 5천만명의 소비자가 있는 인도는 수입시장으로서의 유망성이 앞으로 더 커질 것이 분명하다. 
인도 정부는 공식적으로 중국상품의 덤핑을 금지한다는 방침을 강화하고 있다.

인도 무역부 니르말라 시따라만 장관은 지난 8월초 “중국의 덤핑을 막기위해서 여러 조치들을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내무장관을 맡고 있는 라지나쓰 싱도 지난 9월초 뭄바이에서 중국산 제품에 대해 관세를 올려서 덤핑을 막겠다고 말했다.

모디 정부는 중국산 제품의 공세를 현지생산 투자로 유도하려는 자세를 보이고 있다. 제조업과 인프라 건설이 시급한 모디정부는 지난 2014년 하반기부터 ‘메이크 인 인디아’ 캠페인을 펼치고 있는데, 중국의 참여는 일거양득이 될 수 있다.

중국이 해외투자 금액순으로 세계 3위 국가라는 점을 고려할 때 대인도 투자는 아직까지 보잘 것 없는 수준이다. 중국경제의 특성상 지금까지는 원자재 확보 목적의 해외투자가 많았기에 아프리카, 호주, 인도네시아 등이 중국의 주된 투자대상지였고, 자원수입국인 인도는 여기서 제외됐던 것이다. 앞으로 제조업과 인프라 부문에서는 중국의 대인도 투자유입이 늘어날 유인이 많아 보인다.


<표: 한국경제 신문 전재 >
유로저널 김세호 기자
   eurojournal01@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