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외국인 투자기업 96% “연평도 포격에도 정상경영”

by 유로저널 posted Jan 02,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외국인 투자기업 96% “연평도 포격에도 정상경영”

국내에 진출한 외국인 투자기업 대부분은 이번 연평도 포격에도 정상적인 경영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외국인 투자기업 6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북한리스크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응답기업의 96.3%는 ‘연평도 포격에도 정상적인 경영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투자유보나 사업장 축소 등 비상경영에 착수했다고 응답한 기업은 3.7%에 그쳤다.

비상경영에 착수하지 않는 이유로 기업의 43.8%는 ‘전쟁 비화 가능성 희박’을 꼽았으며, ‘경제펀더멘탈 등 남한의 월등한 국력(32.4%)'과 ‘북한의 무력도발이 일시적 사건에 그칠 가능성(19.3%),기타(4.5%)'가 뒤를 이었다.
‘북한의 추가도발 등 안보리스크가 더 고조될 경우, 사업조정을 할 생각인가?’라는 물음에 41.7%의 기업은 ‘사업조정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답했고, 58.3%는 ‘실질적 사회혼란이 없는 한 사업조정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사업조정 내용으로는 ‘투자유보’(49.6%)를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사업장 축소’(33.0%)와 ‘사업장 철수’(17.4%)를 꼽았다.

대한상의는 “외국인 투자기업들은 북한리스크를 어느 정도 감안하고 한국에 진출해서인지 최근의 북한도발에 대해 별다른 경영상의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다”면서 “우리도 북한의 동향을 예의주시하되, 큰 동요없이 의연한 태도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대북 사업에 대해서는 응답기업의 68.4%가 ‘개성공단이 북한을 변화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북한이 투자를 보호해 주더라도 진출할 의사는 없다’고 답한 기업이 82.7%에 달해 부정적 입장을 드러냈다.
또한 중국의 투자매력도를 100점으로 했을 때 북한의 투자매력도는 37.4점으로 매겨 중국의 3분의 1정도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외투기업 국적별로 살펴보면, 일본과 중국에서 온 기업들이 각각 46.2점과 44.6점을 준 반면, 미국·유럽기업은 33.3점, 30.2점을 줘 아시아지역 국가들이 그나마 북한투자에 더 큰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투자매력도에 이같이 낮은 점수를 준 이유로는 ‘불안정한 경제·대외개방 정책(37.1%)'을 가장 많이 들었고, 낮은 구매력(28.2%), SOC 등 열악한 기업환경(11.1%),통행불편 등 제도적 애로(17.8%), 기타(5.8%)의 차례대로 꼽혔다.

북한의 추가도발 방지를 위한 역점과제로 국론통합과 국방태세 확립(40.0%), 미국 등 관련국들과의 국제공조 강화(31.3%)를 주로 지적한 반면, 대화와 협상(23.1%), 대북지원(5.6%) 등의 유화책 비중은 낮게 나왔다.

‘북핵폐기나 한반도평화 정착 시 북한의 투자매력도’를 묻는 질문에는 가장 많은 52.7%의 기업이 ‘중국보다 못하지만 지금보다 훨씬 높은 수준으로 올라갈 것’이라고 답했으며, ‘중국과 비슷’하거나 ‘중국보다 높은 수준으로 올라갈 것’이란 응답도 각각 12.9%, 11.7%나 됐으며,지금과 같은 수준이라는 응답도 22.7%나 되었다.

이에 대해 상의는 “이같은 외투기업들의 응답은 북핵폐기와 시장개방 시 우리 정부의 대북지원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며 “북한의 입장에서도 경제난 극복을 위해서는 외자유치가 절실한데 군사적 행동보다는 시장개방에 따른 투자유치가 더 현명한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또 북한리스크가 한국의 대외신인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으로는 안정적 경제성장(38.6%), 해외홍보 강화(33.6%), 확고한 대북억제력 천명(18.1%),기타(9.7%) 등을 들었다.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조사 결과 우리 경제가 북한의 도발에 좌우되지 않을 것이라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신뢰가 매우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북한리스크로 금융시장 등이 잠시 출렁거릴 수는 있겠지만 악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유로저널 김세호 기자
eurojournal01@eknews.net


<전 유럽 한인대표신문 유로저널, eknews.net>

www.eknews.net는 최대발행부수와 최대발행면을 통해
전유럽 16 개국 한인사회로 유일하게 배포되고 있는 주간신문 유로저널의 홈페이지입니다.
기사 제보를 비롯한 광고 문의 등은 아래 연락처를 이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44 (0)208 949 1100, +44 (0)786 8755 848
eurojournal@eknews.net 혹은 eurojournals@hotmail.com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