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통계로 본 광복70년, 최빈국 대열에서 세계 6위 수출국 급부상

by eknews posted Aug 11,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통계로 본 광복70년, 최빈국 대열에서 세계 6위 수출국 급부상


무역 수지: 

박정희,전두환,노태우,김영삼 재임시 대규모 적자로 외환위기 원인 제공, 

김대중,노무현 재임시 대규모 흑자 전환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총소득(GNI)이 근 70년 만에 420배가량 증가했고, 국내총생산(GDP)은 1953년 477억원에서 2014년 1485조원으로 3만1000배 이상 증가하면서 세계 13위로 올라섰다.



중앙정부, 지방정부, 기금을 합친 일반 정부의 GDP 대비 총지출 규모도 1970년에는 20%에서 지난해 32%로 증가했다.

실질 GDP 성장률은 1953년~2014년의 61년간 연평균 7.3%씩 성장했으며, 경제개발 5개년계획 등으로 1961~1991년의 30년간 연평균 9.7%의 고도성장이 달성되었다.



 2000년대 이후 경제가 전반적으로 성숙 단계에 접어들면서 연평균 4% 정도의 성장률을 보이면서 2014년 성장률은 3.3%로, OECD 회원국 평균 1.7%보다 높은 편이었다.



1953~2014년 중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인 해는 1980년  2차 석유파동의 영향으로 -1.7%, 1998년에는 외환위기로 -5.5% 성장률을 보였다.



1인당 GNI(국민총소득)는 같은 기간 67달러(1953년도)에서 1970년에 257달러, 1980년에 1686달러, 1990년에 6505 달러, 2000년에는 11865달러, 2010년에는 22170 달러에 이어 2014년에는 2만8180달러로 420배가량 증가했다.



1인당 GNI는 1953년 67달러에서 1977년 1000달러, 1994년 1만 달러, 2006년 2만 달러를 각각 돌파했으며, 구매력평가(PPP) 기준으로 환산한 한국의 2014년 1인당 GDP는 3만 4,356달러로, OECD 회원국 평균(3만 8817달러)의 88.5%에 이르렀다.




수출 1964년 1억 달러에 이어 2014년 5,727억 달러로 증가


통계청이 10일 발간한 통계로 본 광복 70년 한국사회의 변화 책자에 따르면 수출 규모는 1956년 2,500만 달러에서 1964년에는 국민 최대 수출 목표인 1억 달러 달성에서 2014년 5,727억 달러로 증가해 세계 6위 수출국으로 올라섰고, 수출액은 전 세계 수출 총액의 3.1%를 차지하며 세계 6위 규모가 되었다. 



수출주도형 경제개발이 이뤄지면서 수출규모 크게 증가해 1964년, 1971년, 1977년, 1995년에 각각 1억 달러, 10억 달러, 100억 달러, 1000억 달러를 돌파했다.



2014년 수출과 수입을 합한 한국의 무역액은 1조 980억 달러로 세계 무역 총액 중 2.9%이며 세계 8위 규모이며, 무역의존도(GNI 대비 수출, 수입, 국외수취요소소득, 국외지급요소소득 합계의 비중)는 1956년 15.2%에서 2014년  99.5%로 증가했다. 

수출품은 19060년대에는 철광석, 1970년에에는 섬유류, 1980년대에는 의류가 1위였다가 1992년부터 반도체가 1위로 올라섰다. 




무역수지 적자로 외환위기 주원인이 되어


경상수지는 1990년대 중반까지 적자 기조를 보이면서 누적된 무역 적자로 외환 위기의 주용인 되었으며 김대중 정부인 1998년 이후부터 흑자 기조로 전환됐다.



경상수지 누적 적자를 전 대통령 통치기간에 따라 분석해보면 박정희( 1961년부터 1979년) 전 대통령 기간에는 -250억 달러 적자, 전두환(1980년부터 1987년) 전 대통령 기간에는 -59억달러 적자, 노태우 (1988년부터 1992년) 전 대통령 기간에는 -96억 달러 적자, 김영삼(1993년부터 1997년) 전 대통령 기간에는 -374억 달러 적자를 기록해 1961년부터 1997년 까지 누적 적자는 총 -779 억 달러로 외환 위기의 근본적인 원인이 되었다.




김대중, 노무현 정부, 건국이래 최초의 무역흑자 기록


이어 김대중 (1998년부터 2002년) 전 대통령 기간에는 건국이래 처음으로 흑자를 기록해 5 년동안 무려 943억 달러를 벌어들였고, 이어 노무현 (2003년부터 2007년) 전 대통령 기간에도 960억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외환보유액도 지난해 말 3636억 달러(GDP 대비 25.8%)로 외환위기이던 1997년 204억 달러 (GDP의 3.7%)보다 18배나 증가했다.



반면, 환율은 2014년 1달러당 평균 1053.22원으로 1965년 266.58원에 비해 약 4배 상승(원화가치 74.7%절하)했다.



1007-경제 3 사진 1.png 1007-경제 3 사진 2.png 1007-경제 3 사진 3.png 1007-경제 3 사진 4.png 1007-경제 3 사진 5.png




1953년 48.2%이던 농림어업 비중은 지난해 2.3%로 감소했다. 이 과정에서 중화학공업육성정책으로 자동차는 1955년에 최초로 7대가 생산된 뒤, 2002년 300만대 생산 돌파. 2014년 생산량은 452만대로 세계 5위, 선박 건조량은 1955년 2000GT에 불과하다가 1974년 현대 울산조선소, 1981년 대우 옥포조선소가 준공되면서  건조량 크게 증가해 2013년 선박 건조량은 1003.7만CGT(2122.5만GT)로 세계 2위, 철강 생산량(조강 기준)은 1960년 5만MT였던 데서 1970년대 포항제철소 1~4기가, 1987년 광양제철소가 준공 되면서 생산량 크게 증가해 2013년 생산량은 6606만MT로 세계 6위에 올랐다. 



서비스업은 1980년대 이후 비중이 크게 증가하면서 지난해 59.4%를 차지했다. 1997년 말 396.3%에 달했던 제조업 부채비율은 2013년 92.9%로 대폭 줄었다. 



                             박정희 전 대통령 집권 당시 아시아 국가 성장률 (단위: %)



1007-경제 3 사진 7 (상의할 것).png



남성 경제활동참가율은 1963∼2014년 78.4%에서 73.7%로 감소한 반면에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은 37.0%에서 51.1%로 증가했다.



제조업 월평균 근로시간은 1970년 232시간에서 지난해 186.7시간으로 감소했다. 노동조합 조직률은 1977년 25.4%에서 2013년 10.3%로 줄어들었다. 소비자물가는 2014년이 1965년보다 36배 높았다.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에서 한국의 총인구(내국인)는 1949년 2017만명보다 2.4배 늘어난 약 4799만명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숫자는 2013년 158만명에 달했는데 이는 1948년 2만명에 비해 79배 증가한 것이다.



해외관광이 크게 늘면서 1988년 처음 10억달러를 넘은 내국인 여행경비는 2014년 현재 200억달러에 근접하고 있다.

1946년 약 1000대에 불과하던 승용차 등록대수는 지난해 총 1575만대로 급격하게 늘었다.



여성경제활동 참가율은 1963년 37%에서 2014년 51.1%로 증가, 제조업 월평균 근로시간은 1970년 232시간에서 2014년 187시간으로 감소했다.



한국 유로저널 김세호 기자

    eurojournal01@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