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default_style == 'guest'"> guestbook">
“저는 이 동그란 백 원짜리가 제일 좋아요. 백 원짜리는 멀리 있는 우리 엄마와 얘기를 할 수 있게 해주거든요...” 한 여대생이 ...
by 한인신문 / on Jan 12, 2010 07:22
“저는 이 동그란 백 원짜리가 제일 좋아요. 백 원짜리는 멀리 있는 우리 엄마와 얘기를 할 수 있게 해주거든요...” 한 여대생이 어느 병원 암병동에 간호사 실습을 나갔다. 암병동 중에서도 소아 병동이었는데, 그곳에 유난히 눈이 동그랗고 창백한 피부를 가진 9살 된 여자 아이가 있었다. 늘 말이 없이 침대에 걸터앉아 있는 그 아이에게 여학생은 누구보다 관심이 갔다. “지혜야, 언니가 동화책 읽어줄까?” “…" “그럼 지혜가 언니한테 노래 하나 불러줄래?” “…” 하지만 그 아이는 아무 말이 없었다. 주사를 맞을 때도 가만히 있었다. 그 아이의 부모는 이혼을 하여 아빠는 중동으로 떠났고, 엄마는 재혼을 했다. 그래서 할머니만 가끔 병문안을 와 줄 뿐이었는데, 안타까운 것은 할머니 역시 시장에서 장사를 하던 중 쓰러지는 바람에 더 이상 아이를 돌보러 올 수 없었다. 그러는 동안 아이의 말수는 더욱 적어졌고, 나중에는 자폐증에 걸린 것처럼 변했다. 문제는 병원장이 지원하던 보조금조차 원장이 바뀌는 바람에 더 이상 지급이 안 되어 어쩔 수 없이 퇴원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 되어 버렸다. 그래서 그 여대생을 비롯하여 몇몇 간호사들이 퇴원을 앞둔 아이를 위해 병실에서 조그만 송별파티를 하기로 했다. 간호사들은 모두가 작은 선물을 준비하여 아이에게 주었는데, 급히 오느라 아무 선물을 준비하지 못한 그 여대생은 망설이던 중 돈을 주기로 했다. 그냥 주기가 뭣해서 아이에게 선택을 하도록 했다. "지혜야, 여기 백 원짜리, 천 원짜리, 만 원짜리가 있는데, 이 중에 네가 가장 가지고 싶어하는 걸 하나 줄테니 뽑아봐” 병실에 있던 모든 사람들은 아이가 당연히 만 원짜리 지폐를 집을 줄 알았다. 하지만 아이는 주저 하지 않고 백 원짜리 동전을 집는 게 아닌가? “지혜야, 아직 어떤 게 큰 지 모르는가보구나. 이중에는 만 원짜리가 제일 좋은거야. 동전 대신에 이걸로 가지려무나.” 그 여대생이 만원을 내밀자, 아이는 잠시 가만 있다가 입을 열었다. “저는 이 동그란 백 원짜리가 제일 좋아요. 백 원짜리는 멀리 있는 우리 엄마와 얘기를 할 수 있게 해주거든요...” 그 이야기를 듣자 병실 안에 있던 모든 사람들은 자기 호주머니에 있던 동전을 있는 대로 털어서 아이에게 주고 말았다. 세상에 있는 것들은 두 종류로 가치를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눈에 보이는 가치이고, 다른 하나는 눈에 보이지 않는 가치이다. 많은 사람들이 물질적인 가치를 중요시 여기고 할 수만 있으면 그러한 가치들을 더욱 모으려고 하지만, 진정한 가치는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감추인 보화와 같은 눈에 보이지 않는 가치들을 소개하는 성경이 인류 최대의 유산으로 보존되는 것이다.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Eknews-강운학 목사의 칼럼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