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최지혜 예술칼럼
2023.01.06 22:07

아트테크는 어떻게 해야 하나? (2) - 우아한 취미

조회 수 13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유로저널 333번 칼럼

아트테크는 어떻게 해야 하나? (2) - 우아한 취미

 

3) ‘사모’ 펀드

2017년, 한 경매사가 자산 운영사와 함께 실적배당형 아트펀드를 발행했다. 이것이 바로 국내 첫 미술품 헤지펀드 ‘W아트전문투자형사 모투자신탁’이다. 더블유 자산운용과 서울옥션이 각각 운용과 자문을 맡아 비공개로 소수 투자자들의 자금 350억 원을 모아 운용해 소위 ‘사모’ 펀드라고 불렸다.

당시 아트 펀드는 주로 헤지펀드로 사고 팔면서 위험이나 손실을 피하는 펀드였다. 이것은 1949년 미국에서 호주 앨프리드 윈슬로 존스가 처음 용어를 사용한 이후로 1980년대 후반 금융 자유화의 확산으로 급속히 성장한 펀드 형식이다.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는 헤지펀드 중 미술품 헤지펀드는 미술품에 실물 투자해 수익을 내는 것이다. 즉, 한 작품에 여러 명이 투자해서 높은 가격에 팔리면 같이 나눠 갖는 시스템이다.

우리 나라의 단색화 작품들이 당시 세계 미술 시장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면서 한국에서 아트 펀드의 바람도 더욱 가속화되었다.

 

정상화 작품 전시 전경 (2011년, 국립현대미술관).jpg

정상화 작품 전시 전경 (2011년, 국립현대미술관)

(사진출처: https://www.seouland.com/arti/culture/culture_general/8357.html)

 

하종현, 접합(Conjunction), 2015.jpg

하종현, 접합(Conjunction), 2015 (사진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171010056500005)

 

4) 매력적인 미술품 투자

미술품 투자가 갖는 장점으로는 다른 금융 상품에 비해 기대 수익률이 높다는 것이다. 그리고 단순한 금융형태가 아니라,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첨단기술과 금융을 결합해 유명 연예인을 광고모델로 내세우는 등 미술품 투자 방식과 투자 대상, 모객 방식 등도 아주 다양하다.

또한 전통 금융 시장과는 큰 관련이 없어 주식처럼 경제 상황에 크게 타격을 받지도 않고, 투자 포트폴리오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무엇보다 이것은 실물 자산이기 때문에 안전 자산으로 분류되고, 정서적 만족감까지 얻을 수 있어 아주 매력적인 투자 방식이다.

 

2. 아트 재테크

1) 미술품 투자에 성공한 사람들

뉴욕 기반의 헤지펀드 매니저 대니얼 로앱은 아트 펀드 투자가 아니라, 컬렉터로서 미술품 투자에 관심을 가졌고 상당한 돈을 벌어 들였다. 2005년 자신이 소장하고 있었던 마르틴 키펜베르거의 작품을 영국의 광고회사 대표이자 사치 갤러리 대표인 찰스 사치에게 팔았다. 이 때 수익률은 500%였다.

마르틴 키펜버르거(Martin Kippenberger, 1953-1997)는 광범위한 스타일과 미디어, 슈퍼픽션, 그리고 도발적이면서 유쾌한 작품으로 잘 알려진 독일 예술가다.

 

Martin Kippenberger, Lonesome, 1983.jpg

Martin Kippenberger, Lonesome?, 1983 (사진출처 : 사치갤러리)

 

그는 2002년부터 키펜베르거의 작품을 꾸준히 사들여 30점 이상을 이미 소유하고 있었는데, 그 중 몇 점은 미술관에 임대를 해 주고 있었다. 그런데, 미술품 컬렉터들이 마르틴 키펜베르거의 작품에 관심을 가지고 사들이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초부터였다.

그러니까, 2002년 대니얼 로앱이 키펜베르거의 작품을 살 때는 이미 가격이 어느 정도 상승한 상태였지만, 그는 작품들을 계속 사들였고 이후 5년 간 그 작품들의 가격은 3배 이상 뛰었다.

우아한 취미로서 이런 미술품 투자를 통해 상당한 돈을 번 유명한 스타들도 많다. 영국의 팝 가수 엘튼 존은 유명한 사진 컬렉터로, 2005년 한국 사진 작가 배병우(1950-)의 소나무 사진을 2,800여만 원에 구입했었다.

 

배병우 작가의 소나무 사진.jpg

배병우 작가의 소나무 사진 (사진출처: 조선일보)

 

2006년에는 미국 뉴욕 소더비 경매에서 배병우의 소나무 사진 한 장이 4800만원에 거래되었다.

그리고 2007년에는 ‘소나무 3A-004’와 ‘소나무 3A 002’는 홍콩 크리스티에서 당시 홍콩 달러로 108만달러(약 1억5천만원)에 거래되었다.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휴 그래튼, 잭 니콜슨, 그리고 안젤리나 졸리, 브래드 피트 등 할리우드 스타들부터, ‘스타 워즈’의 감독인 조지 루카스나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 드림윅스 애니메이션 창설자 데이비드 게펜도 아주 유명한 미술품 컬렉터들이다.

특히, 데이비드 게펜은 그의 8조 원에 달하는 자산 중 20%가 미국의 추상화가 잭슨 폴락, 위렘 드쿠닝, 마크 로스코, 그리고 재스퍼 존스 등과 같은 미국 추상화가들의 작품에 투자하고 있다고 한다.

2006년 그는 자신의 소장품 폴락의 ‘NO. 5’(1948)을 당시 최고가인 1,569억 원에 팔았다.

 

잭슨 폴락, NO. 5, 1948.jpg

잭슨 폴락, NO. 5, 1948

 

이것은 1948년 화가 알폰소 오소리오가 167만원(약 1,500달러)에 샀다가 미국 미디어 회사 어드밴스 퍼블리케이션의 CEO인 새뮤얼 어빙 뉴 하우스 주니어에게 팔았고, 이것을 데이비드 게펜이 구입해 소장하고 있다가 되 판 것이다. 57년 동안 1만 배 이상이 상승한 가격으로 수익을 냈다.

영국의 영화 배우이자 제작자인 휴 그랜트는 앤디 워홀의 작품 ‘리즈’로 208억 원의 차익을 남긴 적이 있다.

 

휴 그랜트, 앤디 워홀 'LIZ'.jpg

휴 그랜트, 앤디 워홀 'LIZ'

 

이 작품은 영화 배우 엘리자베스 테일러의 초상화로, 휴 그랜트는 2001년 이것을 약 38억 원에 샀다. 그리고 그는 이것을 2007년 뉴욕 크리스티 경매에서 246억원에 되팔았다. 물론 그 수익으로 그는 더욱 많은 미술품들을 사 들였다.

 

(다음에 계속…)

 

유로저널칼럼니스트, 아트컨설턴트 최지혜

메일 : choijihye107@gmail.com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8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799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37
2139 T1G비자 취업비자 상호 전환시 영주권 문제 유로저널 2010.06.22 2940
2138 입국심사 때마다 서류들고 심사받아야 하나요? 유로저널 2010.06.22 2629
2137 20만파운드 투자로 사업비자를 신청하는 경우 어떤 과정이 있어야 하는지요? 유로저널 2010.06.22 2722
2136 영국 이민과 생활 어린이 학생비자 연장할때 가디언도 같이 가야 하나요? 유로저널 2010.06.22 3511
2135 영국 이민과 생활 영국서 학생비자 연장시 재정증명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유로저널 2010.06.22 3384
2134 영국 이민과 생활 영주권 신청시 동반자가 18세 넘은 경우 유로저널 2010.06.22 3709
2133 영국 이민과 생활 동반자가 영국에서 다른 비자신청가능한가요? 유로저널 2010.06.22 3150
2132 영국 이민과 생활 영국영주권 받으면 유럽에서 취업가능 한가요? 유로저널 2010.06.22 3802
2131 영국 이민과 생활 학생비자연장 신청했는데 만료일이후 도착 유로저널 2010.06.22 2682
2130 영국 이민과 생활 항소후 비자신청 가능하나요? 유로저널 2010.06.22 3292
2129 영국 이민과 생활 학생비자연장중 여권을 돌려달라고 할 경우 유로저널 2010.06.22 2824
2128 영국 이민과 생활 영어성적 2년 지난 것 사용 가능한가요? 유로저널 2010.06.22 4184
2127 영국 이민과 생활 학생비자 학업중단과 영국서 배우자비자 신청에 대하여 유로저널 2010.06.22 4042
2126 영국 이민과 생활 학생비자와 부인취업비자 중 어느 것이 유리한지 유로저널 2010.06.22 3487
2125 영국 이민과 생활 박사과정 마지막 비자연장 어떻게 해야 할까? 유로저널 2010.07.20 5759
2124 영국 이민과 생활 T1G연장시 승인점수 어떻게 적용되나요? 유로저널 2010.07.20 3168
2123 영국 이민과 생활 영국출생 아이 비자문제 어떻게 해야 하나요? 유로저널 2010.07.21 4007
2122 영국 이민과 생활 내년 이민 시점 잡기와 이민 정원제 유로저널 2010.07.27 3229
2121 영국 이민과 생활 이전비자 거절 기록과 투자 사업 비자 신청 유로저널 2010.08.04 4161
2120 영국 이민과 생활 PSW비자에서 T1G비자 혹은 T2G비자 전환방법 유로저널 2010.08.11 5747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