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최지혜 예술칼럼
2023.04.10 09:36

‘편안함과 역동성을 동시에’ – 몬드리안1

조회 수 9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유로저널 347  

편안함과 역동성을 동시에’ – 몬드리안1

 

목가적 자연 풍경

멋진 콧수염의 잡힌 정장을 입고 있는 사람은 바로 피에트 몬드리안(Piet Mondrian, 1872~1944)이다. 

Piet Mondriaan.jpg

Piet Mondrian

 

1933 어느 , 몬드리안은 칸딘스키의 집에 초대되어 갔다. 칸딘스키 거실로 들어간 그는 창밖의 나무가 너무 보기 싫다고 창문을 등지고 자리에 앉았다. 하루는 자신의 파리 작업실에서 누군가에게 튤립을 받았는데, 튤립의 초록색 잎을 흰색으로 칠했다.  

정말 몬드리안은 자연을 초록색을 싫어한 것일까? 이것을 두고 단순히 그가 자연을 혐오했다라고 하기는 어렵다. 

그는 완벽함에 대한 약간의 강박증이 있는 아닐까 싶을만큼 변덕스럽고 무질서한 것을 싫어했다. 그래서 그는 언제 어떻게 변화할 모를 자꾸 변화하는 자연을 그리 좋아하지 않았다. 작품을 통해 그는 변화하는 자연의 외형을 묘사하는 것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했다.  

그런데, 그의 초기 작품들은 사실 풍경을 묘사한 자연주의적인 스타일이 많았다. 1892년부터 3년간 암스테르담 국립미술아카데미에서 전통 미술교육을 받으면서 사실주의의 작품을 많이 그렸다. 그리고 졸업을 후에는 인상파나 포스트인상파의 영향을 받아 목가적인 성격의 작품을 선호했다. 

특히 그는 고흐에게서 영감을 많이 받았다. 

Piet Mondrian, Red Chrysanthemum on Blue Background, ca. 1909-1910.jpg

 

Piet Mondrian, Red Chrysanthemum on Blue Background, ca. 1909-1910 (사진출처:Christie’s)

 

이렇게 20대초반까지 그는 인상주의 거장의 작품을 복제하거나 자연주의 스타일을 사용하면서 자신이 살고 있었던 시골 풍경을 주로 많이 그렸다. 

Piet Mondrian. Fen Near Saasveld, 1907.jpg

Piet Mondrian. Fen Near Saasveld, 1907 © www.piet-mondrian.org

 

2. 신조형주의

하지만, 1908~1913 그의 나무 연작을 통해 있듯이 몬드리안은 자연의 형태를 점차적으로 단순화시켜 나갔다. 이때부터 자연주의에서 추상화로 변해가는 몬드리안 특유의 스타일을 만드는 과정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피에트 몬드리안, 붉은 나무, 1908.jpg

Piet Mondrian, Red Tree, 1908 © www.piet-mondrian.org

 

그러다가 그는 1차세계대전 당시의 사회적 혼란을 겪으면서 마침내 자연주의 미술을 버렸다. 그는미술이란 자연과 인간을 점차적으로 소거해 나가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리고 파리에 머물면서 피카소나 조루즈 블랙 입체주의 화가의 영향을 크게 받아 입체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추상화와 기하학적 형태를 이용한 미술이론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Piet Modrian, The Flowering Apple Tree, 1912.jpg

Piet Modrian, The Flowering Apple Tree, 1912 © www.piet-mondrian.org

 

다시 네덜란드로 돌아온 그는 테오 뒤스부르흐와 함께 1917 스틸(De Stijl, 양식)이라는 예술잡지를 창간하면서 새로운 조형 예술을 뜻하는 신조형주의(The New Plastic Art) 이론을 주창했다. 

그는 모든 사물의 형태가 수직과 수평의 대립으로 요약될 있음을 깨닫고는 자신이 발견한 수직·수평 패턴을 통해 공간의 모든 위계를 없애고 보편적이고 근본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해 보고자 했다.

크기와 색상과 관계없이 구성 요소가 동등하다면 그는 항상 조화로운 구성이 가능하다고 믿었다.  구성 요소가 서로 동등성을 획득할수록 자신이 겪었던 불평등한 인간 사회도 역시나 조화롭게 나아질 있기를 바랬다. 

그리하여 수평선이나 수직선을 많이 사용하고 원색과 무채색을 조합한 색채를 사용하여 모든 추상표현을 기하학적으로 실현하고자 이미지 자체의 표현보다는 이제는 리듬감이 살아있는 구성에 초점을 두었다. 

이렇게조화와 질서 표현하는 작품을 통해 추상표현의 가능성을 찾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면서 극한까지의 기하학화와 단순화를 지향한 몬드리안은 이런 시행착오를 거친 작품에 ‘Composition’이라는 제목을 붙여 수평, 수직의 직선과 삼원색으로 이루어진 그의 대표적인 작품 스타일을 완성시켜 나갔다.  

Piet Mondrian, Composition II in Red, Blue, and Yellow, 1929.jpg

Piet Mondrian, Composition II in Red, Blue, and Yellow, 1929 © www.piet-mondrian.org

 

1930년대까지 몬드리안은 추상화가 그룹 클레어시온에 참여하면서 ‘Composition’시리즈 제작을 계속했다. 그렇게 하여 미술에 있어 재현적인 요소를 완전히 없애버리고,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던 선과 직사각형을 기본으로 하는 자신만의 스타일을 완성했다. 

그는 작품에서 사용되는 수직선을 통해서는 생기를 수평선을 통해서는 평온함을 나타내고자 했다. 그래서 수직선과 수평선이 만나는 부분을 적절하게 배치해 관람자가 편안함과 동시에 역동성을 느낄 있기를 바랬다.  

동등성과 평형

 

(다음에 계속…)

유로저널칼럼니스트, 아트컨설턴트 최지혜

메일 : choijihye107@gmail.com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17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815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56
2160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유럽의 문명과 역사에서-여성의 이야기 (1) file 편집부 2019.03.12 6231
2159 영국 이민과 생활 시민권신청과 영국이름으로 바꾸기 eknews 2013.05.02 6176
2158 오지혜의 ARTNOW 게임의 법칙을 지배하는 자, 데미안 허스트 file eknews 2016.01.12 6150
2157 사브리나의 오페라 칼럼 드뷔시의 펠레아스와 멜리장드 (Pelleas et mellsande) file eknews 2016.04.18 6133
2156 영국 이민과 생활 영국대학 휴학과 비자문제 및 10년영주권 file 편집부 2020.08.31 6126
2155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예술칼럼(46) 현대미술은 '아름다움'이란 단어로 규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5 “이우환 미술관? 한국에 내 이름만으로 된 미술관을 허락한 바 없다” file eknews 2015.11.01 6116
2154 14년 영주권제도 폐지와 대안, 그리고 그 의미 eknews 2012.07.18 6102
2153 영국 이민과 생활 해외서 영국인이나 영주권자와 2년 이상 동거자 비자 유로저널 2011.02.21 6099
2152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 예술칼럼 (36) "삶은 외롭고 서글프고 그리운 것" 2 file eknews 2015.08.10 6086
2151 최무룡의 영국 회계 칼럼 국외송금 2 - 한국에서 해외로 송금하기 eknews 2015.08.24 6044
2150 영국 이민과 생활 영국체류자 부동산 구입비용 한국서 가져오기 eknews 2016.05.10 6041
2149 영국 이민과 생활 영국 비자별 요구 영어성적 eknews 2013.05.28 6020
2148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프랑스의 음식과 음료 문화 (3) file eknews 2014.04.15 6015
2147 사브리나의 오페라 칼럼 가에타노 도니제의 사랑의 묘약 (L'elisir d'amore) file eknews 2016.02.16 5997
2146 영국 이민과 생활 한국국적 상실신고와 거소증신청 eknews03 2017.10.10 5987
2145 영국 이민과 생활 10년 영주권 거절과 추방 eknews 2017.06.27 5986
2144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프랑스 역사 1852-1958 file eknews 2014.02.03 5969
2143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의 예술칼럼 (5)매트릭스로 철학하기...슬라보예 지젝 file eknews 2015.02.02 5966
2142 오지혜의 ARTNOW 영국 하위문화의 탄생과 대중음악 file eknews 2016.04.17 5939
2141 영국 이민과 생활 가족비자 규정 319조와 학생동반비자 거절 file eknews 2012.02.02 5880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