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최지혜 예술칼럼
2023.08.01 13:15

경계로 나가기 ; 바넷 뉴먼, 요셉보이스, 이우환

조회 수 1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유로저널 357

경계로 나가기 ; 바넷 뉴먼, 요셉보이스, 이우환

 

5. 현대미술은 어렵다?

몬드리안이나 칸딘스키의 작품에도 형태와 형태 사이에, 선과 선 사이에, 색과 색 사이에, 형태와 배경 사이에 적절한 미적 관계가 존재한다. 우리는 이것을 ‘관계주의’라 부른다.

피트 몬드리안, 빨강, 파랑과 노랑의 구성 II(Composition II in Red, Blue, and Yellow), 1930.jpg

피트 몬드리안, 빨강, 파랑과 노랑의 구성 II(Composition II in Red, Blue, and Yellow), 1930 (사진출처:위키백과)

 

바실리 칸딘스키,원 속의 원, 1923.jpg

 

바실리 칸딘스키,원 속의 원, 1923

 

그런데, 뉴먼의 작품은 어떤가? 그것은 부분과 부분, 부분과 전체의 ‘관계’는 없다. 그저 하나의 전체적 덩어리로 우리들에게 다가온다. 그리고는 우리와 관계를 형성하고 나아가 우리에게 ‘완전한 나’를 만나 그것과 관계을 맺게 한다.

 

바넷 뉴먼, Cathedra, 1951.jpg

바넷 뉴먼, Cathedra, 1951 (사진출처:뮤움)

 

세상의 모든 것은 동시적으로 존재하고 상호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동시다발로 일어나는 이 다른 시간성은 결국 시간의 개념을 넘어선 영원성이다.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인가? 돌덩이, 철판 조각, 그리고 깨진 유리를 놓고서 어떻게 양자물리학에서 거론하는 여러 차원의 동시성과 연관성을 논할 수가 있나? 그리고 빨간색 그림에 그저 테이프 하나를 붙이고서 어떻게 영원성을 말할 수 있단 말인가? 이래서 많은 사람들은 현대미술이 정말 어렵다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현대미술은 진짜로 고매한가? 수준이 너무 높고 빼어나서 도저히 의미를 알 수도 없는 것인가? 아니면, 그저 보기에 아름답지도 않고, 또 누구라도 그릴 수 있으며 만들 수 있을 것 같은 단순한 그림이나 조각을 그저 현학적인 인문학 이론으로 포장해 놓은 것인가?

현대미술사에 있어 그 이름도 유명한 요셉 보이스(Joseph Beuys)의 대표적인 작품에는 의자 위에 비곗덩어리가 놓여진 것이 있다.

 

요셉보이스, 지방(脂肪) 의자, 1964.jpg

요셉보이스, 지방(脂肪) 의자, 1964

 

이것이 바로 ‘지방(脂肪) 의자’(1964)이다. 사람들은 이 작품을 보고 정말 ‘이런 것도 예술작품인가?’라는 의문을 던진다. 냄새 나는 비곗덩어리가 단지 의자 위에 얹어져 있는 게 무슨 의미란 말인가?

지방이 굳어지면 무정형의 혼돈 상태가 비로소 끝이 난다. 요셉 보이스에게는 이것이 그저 비곗덩어리가 아니라, 따뜻함을 통한 정신적 상처의 치유를 의미했다.

이런 새로운 형태의 ‘사회적 조각’은 그 자신의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그가 스무 살 때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났고, 그는 나치의 공군 조종사로 참전했다. 그러다 1943년, 그가 탄 비행기가 러시아군에 의해 격추되었다.

그가 추락한 곳의 원주민인 몽골리안 계통의 타타르족(族)이 그를 발견하고는 불에 탄 그의 몸뚱이에 동물의 비곗덩어리를 발라 응급 처치를 했다. 그리고는 추위에 떠는 그를 펠트 담요에 감싸서 썰매에 태웠다. 이렇게해서 약 8일 만에 그는 기적적으로 살아났다.

요셉 보이스는 관객이 그저 수동적으로 작품을 감상하는 것을 떠나 작가와 직접 상호소통을 할 수 있기를 바랐다. 한 퍼포먼스에서 그는 관객들에게 ‘예술이란 무엇이냐’고 묻었다. 그리고는 거기있는 관객 한 사람 한 사람에게 자신들이 모두 예술가임을 깨닫게 했다.

 

Lee U Fan, Correspondence,1994.jpg

Lee U Fan, Correspondence,1994 (사진출처: MutualARt)

 

텅 빈 공간에 점 하나. 사람들은 이런 이우환의 작품을 두고 ’나도 그릴 수 있겠다’라고 말한다.

이우환은 자신의 작품 제작을 위해 캔버스, 물감, 붓을 모두 특수 제작한다. 캔버스는 두께가 보통 것보다 두껍고 미리 흰색으로 네 번에서 다섯 번 정도 칠해져 있는 것으로 작업한다. 물감은 구입해서 쓰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직접 돌을 구해서 그것을 갈아서 사용하고, 붓도 표현하기 알맞게 크기를 맞춰서 그가 주문 제작한 것이다.

이렇게 준비된 캔버스를 바닥에 눕힌 뒤, 그는 점과 비슷한 크기의 종이를 꺼내 캔버스 위에 이리저리 놓아보며 그릴 위치를 정한다. 점 한두 개가 큰 캔버스 안에서 서로 밀고 잡아당기는 에너지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그는 그 점을 어디쯤 놓을 것인 지를 한참을 고민한다.

그리고 위치를 잡으면 물감을 찍은 붓으로 점을 찍는데, 이때 캔버스가 땅에 놓여있기 때문에 허리를 구부려 점을 찍어야 한다. 캔버스를 세워놓고 그리는 것보다 이렇게 함으로써 더 안정적으로 그림을 그릴 수 있기 때문에 땅에 놓고 작업한다고 한다.

점을 찍는 동안 숨을 잘못 쉬면 몸과 손이 흔들리고 점의 형태가 망가질 수도 있기 때문에 숨을 내쉬면서 하거나 아예 숨을 참고 작업한다. 이 과정은 단 한번으로 끝나지 않는다. 물감이 마르면 다시 그리기를 몇 번이고 반복한다. 이렇게해서 최종적으로 점 하나를 그리는데 두어 달 가까운 시간이 걸린다.

 

6. 보편성

바넷 뉴먼, 요셉 보이스, 그리고 이우환도 모두 보편적 예술에 바탕을 두고 작업을 했다. 하지만, 그들은 보통 예술가들과는 달리 미술사에 기록된 특별한 예술가들이 되었다.

그렇다면 그들만의 특수한 특징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보편성에서 한 발짝 물러나 경계로 나갔다는 것이다.

(다음에 계속…)

 

유로저널칼럼니스트, 아트컨설턴트 최지혜

메일 : choijihye107@gmail.com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21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819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65
420 아멘선교교회 칼럼 하나님의 날이 임하기를 바라보고 간절히 사모하라 편집부 2019.12.30 703
419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가난한 사람들과 문화 예술 file 편집부 2020.01.13 1010
418 최지혜 예술칼럼 보편적인 휴머니즘 file 편집부 2020.01.13 6991
417 박심원의 사회칼럼 박심원의 영화로 세상 읽기 : (56) 그물 file 편집부 2020.01.13 811
416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28) 그대들 모두가 챔피언! ( '2019 연말 파리 시음회' - Le Grand Tasting 2019 Paris- 스케치) file 편집부 2020.01.13 1208
415 영국 이민과 생활 2020년 올해 영국이민 전망 편집부 2020.01.13 1473
414 에이미리의 파리에서 랑데뷰 새로운 사마리탱 Samaritaine의 유혹 file 편집부 2020.01.13 1673
413 아멘선교교회 칼럼 주 음성 외에는 더 기쁨없도다 편집부 2020.01.13 800
412 아멘선교교회 칼럼 우리 하나님의 말씀은 영영히 서리라 하라 편집부 2020.01.14 1128
411 최지혜 예술칼럼 워싱턴 스퀘어의 피카소 file 편집부 2020.01.20 806
410 박심원의 사회칼럼 박심원의 영화로 세상 읽기 : (57) 기장 아브 라에드 Captain Abu Raed file 편집부 2020.01.20 705
409 영국 이민과 생활 EEA패밀리 거주권과 10년 영주권 편집부 2020.01.20 845
408 에이미리의 파리에서 랑데뷰 파리에서 가장 이국적인 Jardin des serres d' Auteuil file 편집부 2020.01.20 1864
407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정의에 관한 신화와 예술의 시선 file 편집부 2020.01.21 1118
406 아멘선교교회 칼럼 사랑은 오래 참고 사랑은 온유하며 편집부 2020.01.21 865
405 최지혜 예술칼럼 미국 땅에서 창작된 최고의 작품 file 편집부 2020.01.27 1369
404 아멘선교교회 칼럼 그가 우리 안에 거하시는 줄을 우리가 아느니라 편집부 2020.01.27 1096
403 에이미리의 파리에서 랑데뷰 역동적인 파리의 작은 빌리지 르 마레 Le Marais file 편집부 2020.01.27 1288
402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정의 진리에 관한 예술가들이 그린 정의 (1) file 편집부 2020.01.27 2147
401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 스물 아홉번째 이야기 나폴레옹(Napoléon)이 사랑한 와인마을, 그곳에서의 축제 (1) file 편집부 2020.01.28 1461
Board Pagination ‹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