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2025.07.15 22:29
유로화의 기축통화로서의 달러 대안 가능성 주장
조회 수 143 추천 수 0 댓글 0
유로화의 기축통화로서의 달러 대안 가능성 주장 급변하는 미국의 무역 정책으로 인해 달러의 기축통화로서의 지위가 흔들리고 있으며 이는 유로화에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 총재는 5월 26일, 달러의 기축통화로서의 지위가 흔들리고 있어 이는 유로화에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밝히면서 EU가 예측 가능한 정책과 법치주의를 바탕으로 글로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유로화가 신뢰할 수 있는 대안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의 전제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첫째, 금융 시장의 통합·규제 완화·창업 생태계 강화·단일 시장 내 장벽 완화 등 경제 구조 개혁 둘째, 미국 국채시장 규모(29억 달러) 대비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EU 공동채권 발행을 확대하여 글로벌 투자자에게 충분한 규모의 유로화 표시 안전 자산을 제공이 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기축 통화(基軸通貨, key currency)란, 국제 단위의 결제나 금융 거래의 기본이 되는 화폐를 의미한다. 나무 위키에 따르면 현재 명확히 무엇이 기축통화냐를 확실히 정의하는 지침은 없다. 그러나 무엇이 기축통화의 역할을 하는지는 따져볼 수 있다. 기축 통화가 되기 위해서는 첫째로 해당 통화 발행 국가의 군사력과 외교적 영향력이 압도적인 우위여야 한다. 두 번째로 압도적인 금 보유량[2]이 있어야 한다. 세 번째로 금융업이 엄청나게 발달된 첨단 금융 시장이 존재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가의 신용도와 물가가 안정되어야 한다. 이 조건들을 가장 잘 충족하는 나라가 미국이다. 그래서 미국 달러가 기축 통화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 세계 어느 국가에서나 가치를 인정받는 금을 기축 통화라고 보는 의견도 존재한다. 이외에도 유로화, 엔화, 파운드를 준기축통화로 보는 의견이 존재한다. 다만 이러한 화폐들은 거래량은 있지만 달러 대비 비중이 적어 주요 무역 결제 통화로 보기도 한다. 전 세계 거래소에서 차익거래가 빠르게 이루어지기에 시장 환율이 안정적으로 변동하기 때문이다. 유로저널 김세호 기자 shkim@theeurojournal.com ![]()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