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default_style == 'guest'"> guestbook">

석가모니나 예수나 모두 버리고 비우는 삶을 살았다. 석가모니는 왕자로서 누리던 부귀영화를 다 버리고 옷 한 벌 걸치고 황량한 ...

by 유로저널  /  on Aug 05, 2008 15:16
석가모니나 예수나 모두 버리고 비우는 삶을 살았다. 석가모니는 왕자로서 누리던 부귀영화를 다 버리고 옷 한 벌 걸치고 황량한 곳의 한 그루 보리수 나무에 의지하여 수행을 하였고 예수는 안락한 가정을 떠나 먹을 것도 마실 것도 없는 사막에서 고행을 하였다. 그리고 자기를 버리고 남을 위한 삶을 살았다. 남을 위해 목숨마저 버렸다. 자기의 뜻(욕심, 집착, 정)도 다 버리고 부처님, 하나님의 뜻으로 살았다.

제자를 받을 때에도 석가모니는 재물, 인연 다 버린 사람을 제자로 삼았고 예수도 처자와 전토를 버리고 나를 따르라 하였다. 베드로는 나를 따르라는 말 한 마디에 생업도 팽개치고 예수를 따라나서 제자가 되었다.

석가모니는 열반 3개월 전에 열반에 들 것임을 아난에게 예고하였고 그 때가 되자 춘다가 올린 돼지감자 요리를 먹고 복통과 설사로 탈진되어 열반에 들었다. 열반에 들기 전 죄의식에 사로잡힌 춘다에게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게 도움을 준 수자타의 공덕(功德)*과 같다고 위로 하였다. 예수도 예루살렘에서 수난을 당할 것임을 제자들에게 미리 알려주고 예루살렘에 가서 가롯 유다의 밀고(密告)로 로마 병사에게 붙잡혀 십자가 처형을 받아 죽는다. 두 성현 모두 세상살이를 다 버리고 나서 마지막으로 남은 목숨(자기)마저 버림으로써 ‘다 이루었다’. 그리고 목숨마저 다 버려 이루는 데 있어 석가모니에게는 춘다가 있었고 예수에게는 가롯 유다가 있었다.  * 수자타의 공덕(功德) : 석가모니가 6년간의 고행을 하고 산에서 내려와 강가에 쓰러져 거의 죽음에 이르렀을 때 수자타라는 처녀가 주는 염소 젖을 먹고 기운을 차려 보리수 나무 아래로 돌아가 다시 명상에 몰입하여 40일 만에 깨달음을 얻었다.

석가는 삶의 지침으로 자비(慈悲)를 말하였고 예수는 사랑을 말하였다. 자비나 사랑이나 둘 다 남에게 베푸는 것이다. 진실로 남에게 베풀 수 있는 것은 이기적인 자기가 없을 때 가능하다. 또 베푸는 것은 사람은 물론 만물에 대한 것이다. 결국 자비와 사랑은 같은 말이다. 석가는 인과응보(因果應報)를, 예수는 ‘뿌린 대로 거둔다’ 하였다. 이 또한 같은 말이다.

오늘날과 같이 교통과 통신이 발달하지 못하여 서로의 존재조차도 몰랐던 그 시절에 두 성현이 전한 메시지와 가르침은 너무나 똑 같다. 두 성현의 삶도 조금도 다르지 않다. 또 이 땅에 나타난 시점도 같다. 이것은 인간에게 그와 같은 메시지를 ‘알려주고 가르침을 주는’ 우주의 때가 도래하였음을 뜻한다. 이 세상은 한 치의 오차도 없다. 이 우주에 있는 수많은 개체가 완전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조건.상황이 어떻게 변하든 조화가 유지된다. 나타나 존재함과 생성.소멸하는 모든 것이 필연이다. 성현이 나타난 것도 우연이 아니고 한 치의 오차도 없는 필연이다. 성현들이 전한 ‘되는 때’(다시 오는 때)도 필연적으로 올 것이다.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2 무엇을 두드리고 무엇을 구할 것인가(1) 유로저널 08/10/31 00:31 2456
341 안타까움 유로저널 08/09/28 19:48 2066
340 말을 참 안 들었다(2) 유로저널 08/09/28 19:43 1736
339 말을 참 안 들었다(1) 유로저널 08/09/28 19:42 1773
338 지금 이대로 죽는다면(2) 유로저널 08/09/28 19:39 2158
337 마음의 노예 유로저널 08/09/28 19:27 1550
336 짐 지고 산다(2) 유로저널 08/08/28 12:39 1960
335 짐 지고 산다(1) 유로저널 08/08/28 12:38 1859
334 지식자(知識者)와 지혜자(智慧者) 유로저널 08/08/28 12:34 1705
333 자기중심, 인간중심 유로저널 08/08/28 12:32 1860
332 운명(運命)과 숙명(宿命)의 극복 유로저널 08/08/28 12:29 1859
» 두 성현(聖賢) 이야기(2) 유로저널 08/08/05 15:16 2139
330 두 성현(聖賢) 이야기(1) 유로저널 08/08/05 15:13 2047
329 ‘나’가 없으면 유로저널 08/08/05 14:59 1911
328 이방인(異邦人) 유로저널 08/07/01 14:05 1768
327 휩쓸림 유로저널 08/07/01 14:01 1931
326 역할(役割) – 쓰임새 유로저널 08/07/01 13:55 2275
325 여백(餘白) – II 유로저널 08/07/01 13:52 1905
324 한 알의 알곡이 되기까지 유로저널 08/07/01 13:48 2068
323 알곡과 쭉정이 유로저널 08/07/01 13:16 2389
Board Search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