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경제
2025.08.10 13:31
7월 수출 플러스·무역수지 흑자, '역대 7월 수출 최대'
조회 수 179 추천 수 0 댓글 0
7월 수출 플러스·무역수지 흑자, '역대 7월 수출 최대' 반도체 수출 7월 중 최대실적 기록…자동차 수출도 2개월 연속 증가 트럼프 관세 부과로 세계 무역 질서가 혼란에 빠진 가운데 한국의 7월 수출이 역대 7월 최고치를 기록했고, 무역수지도 흑자 폭이 크게 증가했다. 산업통상자원부 발표에 따르면 7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5.9% 증가한 608.2억 달러, 수입은 0.7% 증가한 542.1억 달러, 무역수지는 66.1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였다. 7월 수출은 역대 7월 중 최대실적인 608.2억 달러(+5.9%)를 기록하면서 2개월 연속 증가하였다. 2025년 수출 추이를 살펴보면 1월 492억 달러(△10.1%)→2월 523억 달러(+0.4%)→3월 581억 달러(+2.8%)→4월 581억 달러(+3.5%)→5월 572억 달러(△1.3%)→6월 598억 달러(+4.3%)→7월 608억 달러(+5.9%)로 5월이래 3개월 연속 증가했다. 7월에는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반도체 147.1억달러(+31.6%), 자동차 58.3억달러(+8.8%), 선박 22.4억달러(+107.6%)3개 품목 수출이 증가하였다. 반도체 수출은 메모리 반도체(94.7억 달러, +39.3%)를 중심으로 고정가격 상승 흐름과 HBM·DDR5 등 고부가제품의 견조한 수요가 지속되면서 역대 7월 중 최대실적인 147.1억 달러(+31.6%)를 기록하였다. 자동차 수출은 EU·CIS·중남미 등 미국 외 주요 시장에서 호실적을 보이는 가운데, 하이브리드차·내연기관차가 증가하면서 전체적으로 8.8% 증가한 58.3억 달러를 기록, 2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선박 수출은 탱커·LNG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수출물량이 확대되면서 107.6% 증가한 22.4억 달러를 기록 5개월 연속 증가하였다. 반면, 석유제품(42.1억 달러, △6.3%)과 석유화학(37.5억 달러, △10.1%) 수출은 저유가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글로벌 공급과잉 등의 영향으로 제품가격이 하락하면서 감소 흐름을 지속하였다. 한편, 15대 주력품목 외 수출은 142.0억 달러(+7.6%)를 기록하면서 사상 첫 140억 달러대를 기록하였다. 특히, 농수산식품(10.8억 달러, +3.8%), 화장품(9.8억 달러, +18.1%), 전기기기(15.6억 달러, +19.2%) 등 수출은 역대 7월 중 최대실적을 기록하면서 2월부터 6개월 연속 월별 1위 실적을 경신하였다. 7월에는 9대 주요 지역 중 6개 지역에서 수출이 증가하였다. 아세안 109.1억 달러(+10.1%), 미국 103.3억 달러(+1.4%), EU 60.3억달러(+8.7%), 중남미 26.8억 달러(+4.4%), 인도 17.9억달러(+10.7%), CIS 12.2억 달러(+21.5%)는 증가한 반면, 7월 최대 수출시장인 대(對)중국 수출은 주요 수출품목인 석유화학 및 무선통신기기 수출 둔화로 3.0% 감소한 110.5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또한, 일본(24.8억 달러, △4.7%), 중동(14.7억달러, △36.4%) 지역도 수출이 감소했다. 한편 9대 주요 지역 외에도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 주요 수출국인 대만으로의 수출은 반도체 수출이 두 배 수준으로 증가하면서 전체적으로는 68.0% 증가한 46.6억 달러를 기록, 역대 7월 중 최대실적을 경신하였다. 7월 수입은 0.7% 증가한 542.1억 달러로, 에너지 수입(96.7억 달러)은 11.3% 감소하였으나, 에너지 외 수입(445.5억 달러)은 3.7% 증가하면서 무역수지는 전년 동월 대비 29.9억 달러 증가한 66.1억 달러 흑자를 기록, 7월 기준으로 ’18년(68.9억 달러) 이후 최대 흑자 규모를 보였다. 한국 유로저널 류형상 선임기자 hsryu@theeurojournal.com ![]()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