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사회
2025.11.15 21:52
한국 취업자의 주당 평균 근로시간, 10년 새 8시간 감소
조회 수 5 추천 수 0 댓글 0
한국 취업자의 주당 평균 근로시간, 10년 새 8시간 감소 자영업자와 고용주의 근무 시간이 취업 근로자보다 길어, 여성 근로자가의 근무시간 더 길어 우리나라 취업자의 주당 평균 근로시간이 2010∼2020년 10년 새 8시간 가까이 감소했고, 성별론 남성의 주당 근무 시간이 42.8시간으로 여성(37.9시간)보다 길었다..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이 인용해 전달한 울산대병원 작업환경의학과 김양호 교수팀이 근로환경조사를 분석한 결과, 2020년엔 자영업자는 주당 평균 45.5시간, 고용주는 주당 평균 48.3시간, 근로자는 주당 평균 39.3시간을 근무했다. 한국 근로자의 주당 평균 근로시간은 2010년 47.1시간에서 2014년 44.1시간, 2017년 42.7시간, 2020년 39.3시간으로 지속해서 줄었다. 주 평균 48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의 비율은 2010년 37.0%에서 2020년 12.5%로 감소했다. 주 40시간(법정근로시간)을 준수한 근무자의 비율은 2017년 47.2%에서 2020년 52.8%로 증가했다. 주당 40시간 이상 근무하는 근로자의 비율은 2020년에도 높은 수준(27.7%)을 유지했다. 이는 주 40시간 근로기준법이 적용되지 않는 5인 미만 사업장에서 일하는 근로자가 전체의 약 13%를 차지하기 때문으로 추정됐다. 김 교수팀은 논문에서 “근로시간 감소추세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연간 평균 근로시간은 1,915시간”이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인 프랑스(1,490시간)ㆍ독일(1,349시간)ㆍ미국(1,791시간) 일본(1,607시간) 등보다 여전히 길다”고 지적했다. 2020년엔 근로자의 절반 이상(52.8%)이 주당 40시간 근무했다. 자영업자의 26.8%와 고용주의 25.1%는 최소 주당 60시간 일했다. 근로기준법 적용 대상이 아닌 자영업자의 주당 근로시간도 2010년 평균 55.2시간에서 2020년 45.5시간으로 감소했다. 하지만 근로기준법의 보호를 받는 근로자와 달리 자영업자와 사업주는 근로자보다 더 많은 시간을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유로저널 김한솔 기자 hskim@theeurojournal.com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