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2025.10.30 03:04
EU 철강업계, 생존 위기 호소하며 미국식 관세 부과 촉구(8월 31일자)
조회 수 5 추천 수 0 댓글 0
EU 철강업계, 생존 위기 호소하며 미국식 관세 부과 촉구 유럽연합(EU) 철강 산업계가 값싼 중국산 철강의 유입과 미국의 50% 관세부과로 인해 산업 붕계 위기에 놓여 심각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이어 EU 철강업계는 중국산 철강이 제 3국을 경유해 관세를 회피하지 못하도록 미국식 “용융 및 주조”(Melted and Poured) 규정을 EU에도 도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2024년 EU의 철강 수입은 2,800만 톤에 달해 전체 판매량의 1/4을 차지했으며, 이는 2012/13년 대비 두 배 수준에 이르렀다. 또한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해 EU는 매년 380만 톤 규모에 달했던 대미 철강 수출이 대부분 사라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따라 EU 내부에서는 강력한 보호무역 조치 도입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본격화하고 있어 EU에 철강 수출하는 한국의 경우도 더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 유럽철강협회(Eurofer)는 필수 제품에 대해서는 무관세 수입을 허용하되,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물량에는 고율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EU집행위는 2025년 3/4분기 말까지 수입 제한 규정을 채택할 계획이며, 철강·알루미늄 및 파생 제품 수출에 관한 관세율 할당에 대해 미국과 협상 중이다. 한편 독일 티센크루프 철강 회사가 제철소 생산 능력을 축소하고 직원 수를 11,000명 감축하겠다고 발표하는 등 철강업계는 미국의 관세 면제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 EU 철강 산업이 EU 전체 산업 중 가장 열악한 상황에 놓여 있다고 강조했다. 유로저널 김세호 대기자 shkim@theeurojournal.com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
||||||||||||||||||||||||||||||||||||||||||||||||||||||||||||||||||||||||||||||||||||||||||||||||||||||||||

























